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45. Linux / WSL 환경에 Miniconda 설치하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9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Linux / WSL 환경에 Miniconda 설치하기

파이썬 환경에서 "virtualenv + 패키지 관리자"와 같은 개념으로 conda가 있습니다. 그 conda가 패키징된 대표 제품으로 Anaconda가 있고, Miniconda는 Anaconda의 경량화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사실상 "Miniconda + 각종 부가 패키지 = Anaconda"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암튼, WSL 환경이라면 기본 패키지의 용량이 40GB가 넘는 Anaconda보다는 역시나 Miniconda가 좋겠죠? ^^

Installing Miniconda
; https://www.anaconda.com/docs/getting-started/miniconda/install#linux-terminal-installer

설치 방법도 간단하고 여느 리눅스랑 다를 바 없습니다.

$ wget https://repo.anaconda.com/miniconda/Miniconda3-latest-Linux-x86_64.sh

$ bash ./Miniconda3-latest-Linux-x86_64.sh

...[생략]...

Preparing transaction: done
Executing transaction: done
entry_point.py:256: DeprecationWarning: Python 3.14 will, by default, filter extracted tar archives and reject files or modify their metadata. Use the filter argument to control this behavior.
installation finished.
Do you wish to update your shell profile to automatically initialize conda?
This will activate conda on startup and change the command prompt when activated.
If you'd prefer that conda's base environment not be activated on startup,
   run the following command when conda is activated:

conda config --set auto_activate_base false

You can undo this by running `conda init --reverse $SHELL`? [yes|no]
[no] >>>

You have chosen to not have conda modify your shell scripts at all.
To activate conda's base environment in your current shell session:

eval "$(/home/testusr/miniconda3/bin/conda shell.YOUR_SHELL_NAME hook)"

To install conda's shell functions for easier access, first activate, then:

conda init

Thank you for installing Miniconda3!
$

마지막 질문에 "yes"라고 답하지 않으면 WSL Shell 시작 시 conda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no'를 선택했어도 괜찮습니다, ^^ 이런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conda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데요, 기본 설치 경로가 "/home/사용자이름/miniconda3"이므로 이런 식으로 명령어를 내리면 됩니다.

// conda 활성화
testusr@testpc:~$ source ~/miniconda3/bin/activate
(base) testusr@testpc:~$

// conda 비활성화
(base) testusr@testpc:~$ conda deactivate
testusr@testpc:~$

게다가, 다음의 명령어를 내리면,

$ conda init --all

설치 시 "yes"라고 답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언제든 선택 가능합니다. 참고로, 위와 같은 명령어는 결국 사용자의 "~/.bashrc" 파일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 cat ~/.bashrc

# ...[생략]...

# >>> conda initialize >>>
# !! Contents within this block are managed by 'conda init' !!
__conda_setup="$('/home/testusr/miniconda3/bin/conda' 'shell.bash' 'hook' 2> /dev/null)"
if [ $? -eq 0 ]; then
    eval "$__conda_setup"
else
    if [ -f "/home/testusr/miniconda3/etc/profile.d/conda.sh" ]; then
        . "/home/testusr/miniconda3/etc/profile.d/conda.sh"
    else
        export PATH="/home/testusr/miniconda3/bin:$PATH"
    fi
fi
unset __conda_setup
# <<< conda initialize <<<

추가된 코드에 따라, WSL Shell 화면을 열면 자동으로 conda가 활성화된 상태로 시작합니다. (프롬프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base) testusr@testpc:~$

원한다면, 저렇게 추가된 Shell 코드를 .bashrc 파일을 편집해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접 삭제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대신해 주는 conda 명령어를 이용해도 됩니다.

(base) testusr@testpc:~$ conda init --reverse

또는, .bashrc 파일의 코드는 그대로 두면서 WSL Shell 시작 시 conda 활성화를 on/off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굳이 삭제까지 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 WSL Shell 시작 시 conda 비활성화
(base) testusr@testpc:~$ conda config --set auto_activate_base false

// WSL Shell 시작 시 conda 활성화
(base) testusr@testpc:~$ conda config --set auto_activate_base true




이후 문서에 따라,

# Managing environments
# https://docs.conda.io/projects/conda/en/latest/user-guide/tasks/manage-environments.html

가상 환경에 대한 CRUD도 해보고,

// 가상 환경 생성

$ conda create --name test_env
Channels:
 - defaults
Platform: linux-64
Collecting package metadata (repodata.json): done
Solving environment: done

## Package Plan ##

  environment location: /home/testusr/miniconda3/envs/test_env



Proceed ([y]/n)? y


Downloading and Extracting Packages:

Preparing transaction: done
Verifying transaction: done
Executing transaction: done
#
# To activate this environment, use
#
#     $ conda activate test_env
#
# To deactivate an active environment, use
#
#     $ conda deactivate

(base) $

// 더욱 편리한 점은, 보통 특정 버전의 python 개발 환경을 구성하고 싶을 때 인자로 지정해 가상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 conda create --name py311build python=3.11

// 가상 환경 조회

$ conda env list

# conda environments:
#
base                 * /home/testusr/miniconda3
test_env               /home/testusr/miniconda3/envs/test_env

$ conda info --envs

# conda environments:
#
base                 * /home/testusr/miniconda3
test_env               /home/testusr/miniconda3/envs/test_env

// 가상 환경 활성/패키지 설치

$ conda activate test_env
(test_env) testusr@testpc:~$

// pip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 (Pip installs Python packages)
(test_env) testusr@testpc:~$ conda install pip
...[생략]...

(test_env) testusr@testpc:~$ pip install pymssql
...[생략]...

(test_env) testusr@testpc:~$ python -c 'import pymssql; print(pymssql.__version__)'
2.3.4

// conda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 (whereas conda installs packages which may contain software written in any language.) 
(test_env) testusr@testpc:~$ conda install numpy
...[생략]...

(test_env) testusr@testpc:~$ python -c 'import numpy; print(numpy.__version__)'
2.2.5


// 가상 환경 비활성
(test_env) testusr@testpc:~$ conda deactivate
(base) testusr@testpc:~$


// 가상 환경 삭제
(base) testusr@testpc:~$ conda remove --name test_env --all

구성한 가상 환경을 conda-pack 도구를 이용해 tar.gz로 패키징도 해보면,

$ conda install conda-pack
$ which conda-pack
/home/testusr/miniconda3/envs/test_env/bin/conda-pack

$ conda-pack -n test_env -o test_env.tar.gz

기본적인 활용법은 모두 끝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3/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46정성태10/25/201718742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6928.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19317.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20183.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19171.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20151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19484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20228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18412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7592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1931.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4922.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18725.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18968.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11325정성태10/14/201719754.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11324정성태10/13/201721271디버깅 기술: 101. windbg - "*** WARNING: Unable to verify checksum for" 경고 없애는 방법
11322정성태10/13/201718983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11321정성태10/11/201720472.NET Framework: 688. NGen 모듈과 .NET Profiler
11320정성태10/11/201721189.NET Framework: 687.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과 NGen의 "profiler-enhanced images" [1]
11319정성태10/11/201728880.NET Framework: 686. C# - string 배열을 담은 구조체를 직렬화하는 방법
11318정성태10/7/201721477VS.NET IDE: 12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는 C# 콘솔 프로그램 제작 [1]
11317정성태10/4/201726771VC++: 120. std::copy 등의 함수 사용 시 _SCL_SECURE_NO_WARNINGS 에러 발생
11316정성태9/30/201724578디버깅 기술: 99. (닷넷) 프로세스(EXE)에 디버거가 연결되어 있는지 아는 방법 [4]
11315정성태9/29/201740856기타: 68.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구매하신 분들을 위한 C# 7.0/7.1 추가 문법 PDF [8]
11314정성태9/28/201722518디버깅 기술: 98.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닷넷 버전 확인하는 방법
11313정성태9/25/201720023디버깅 기술: 97. windbg - 메모리 덤프로부터 DateTime 형식의 값을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