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45. Linux / WSL 환경에 Miniconda 설치하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7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Linux / WSL 환경에 Miniconda 설치하기

파이썬 환경에서 "virtualenv + 패키지 관리자"와 같은 개념으로 conda가 있습니다. 그 conda가 패키징된 대표 제품으로 Anaconda가 있고, Miniconda는 Anaconda의 경량화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사실상 "Miniconda + 각종 부가 패키지 = Anaconda"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암튼, WSL 환경이라면 기본 패키지의 용량이 40GB가 넘는 Anaconda보다는 역시나 Miniconda가 좋겠죠? ^^

Installing Miniconda
; https://www.anaconda.com/docs/getting-started/miniconda/install#linux-terminal-installer

설치 방법도 간단하고 여느 리눅스랑 다를 바 없습니다.

$ wget https://repo.anaconda.com/miniconda/Miniconda3-latest-Linux-x86_64.sh

$ bash ./Miniconda3-latest-Linux-x86_64.sh

...[생략]...

Preparing transaction: done
Executing transaction: done
entry_point.py:256: DeprecationWarning: Python 3.14 will, by default, filter extracted tar archives and reject files or modify their metadata. Use the filter argument to control this behavior.
installation finished.
Do you wish to update your shell profile to automatically initialize conda?
This will activate conda on startup and change the command prompt when activated.
If you'd prefer that conda's base environment not be activated on startup,
   run the following command when conda is activated:

conda config --set auto_activate_base false

You can undo this by running `conda init --reverse $SHELL`? [yes|no]
[no] >>>

You have chosen to not have conda modify your shell scripts at all.
To activate conda's base environment in your current shell session:

eval "$(/home/testusr/miniconda3/bin/conda shell.YOUR_SHELL_NAME hook)"

To install conda's shell functions for easier access, first activate, then:

conda init

Thank you for installing Miniconda3!
$

마지막 질문에 "yes"라고 답하지 않으면 WSL Shell 시작 시 conda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no'를 선택했어도 괜찮습니다, ^^ 이런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conda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데요, 기본 설치 경로가 "/home/사용자이름/miniconda3"이므로 이런 식으로 명령어를 내리면 됩니다.

// conda 활성화
testusr@testpc:~$ source ~/miniconda3/bin/activate
(base) testusr@testpc:~$

// conda 비활성화
(base) testusr@testpc:~$ conda deactivate
testusr@testpc:~$

게다가, 다음의 명령어를 내리면,

$ conda init --all

설치 시 "yes"라고 답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언제든 선택 가능합니다. 참고로, 위와 같은 명령어는 결국 사용자의 "~/.bashrc" 파일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 cat ~/.bashrc

# ...[생략]...

# >>> conda initialize >>>
# !! Contents within this block are managed by 'conda init' !!
__conda_setup="$('/home/testusr/miniconda3/bin/conda' 'shell.bash' 'hook' 2> /dev/null)"
if [ $? -eq 0 ]; then
    eval "$__conda_setup"
else
    if [ -f "/home/testusr/miniconda3/etc/profile.d/conda.sh" ]; then
        . "/home/testusr/miniconda3/etc/profile.d/conda.sh"
    else
        export PATH="/home/testusr/miniconda3/bin:$PATH"
    fi
fi
unset __conda_setup
# <<< conda initialize <<<

추가된 코드에 따라, WSL Shell 화면을 열면 자동으로 conda가 활성화된 상태로 시작합니다. (프롬프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base) testusr@testpc:~$

원한다면, 저렇게 추가된 Shell 코드를 .bashrc 파일을 편집해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접 삭제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대신해 주는 conda 명령어를 이용해도 됩니다.

(base) testusr@testpc:~$ conda init --reverse

또는, .bashrc 파일의 코드는 그대로 두면서 WSL Shell 시작 시 conda 활성화를 on/off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굳이 삭제까지 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 WSL Shell 시작 시 conda 비활성화
(base) testusr@testpc:~$ conda config --set auto_activate_base false

// WSL Shell 시작 시 conda 활성화
(base) testusr@testpc:~$ conda config --set auto_activate_base true




이후 문서에 따라,

# Managing environments
# https://docs.conda.io/projects/conda/en/latest/user-guide/tasks/manage-environments.html

가상 환경에 대한 CRUD도 해보고,

// 가상 환경 생성

$ conda create --name test_env
Channels:
 - defaults
Platform: linux-64
Collecting package metadata (repodata.json): done
Solving environment: done

## Package Plan ##

  environment location: /home/testusr/miniconda3/envs/test_env



Proceed ([y]/n)? y


Downloading and Extracting Packages:

Preparing transaction: done
Verifying transaction: done
Executing transaction: done
#
# To activate this environment, use
#
#     $ conda activate test_env
#
# To deactivate an active environment, use
#
#     $ conda deactivate

(base) $

// 더욱 편리한 점은, 보통 특정 버전의 python 개발 환경을 구성하고 싶을 때 인자로 지정해 가상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 conda create --name py311build python=3.11

// 가상 환경 조회

$ conda env list

# conda environments:
#
base                 * /home/testusr/miniconda3
test_env               /home/testusr/miniconda3/envs/test_env

$ conda info --envs

# conda environments:
#
base                 * /home/testusr/miniconda3
test_env               /home/testusr/miniconda3/envs/test_env

// 가상 환경 활성/패키지 설치

$ conda activate test_env
(test_env) testusr@testpc:~$

// pip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 (Pip installs Python packages)
(test_env) testusr@testpc:~$ conda install pip
...[생략]...

(test_env) testusr@testpc:~$ pip install pymssql
...[생략]...

(test_env) testusr@testpc:~$ python -c 'import pymssql; print(pymssql.__version__)'
2.3.4

// conda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 (whereas conda installs packages which may contain software written in any language.) 
(test_env) testusr@testpc:~$ conda install numpy
...[생략]...

(test_env) testusr@testpc:~$ python -c 'import numpy; print(numpy.__version__)'
2.2.5


// 가상 환경 비활성
(test_env) testusr@testpc:~$ conda deactivate
(base) testusr@testpc:~$


// 가상 환경 삭제
(base) testusr@testpc:~$ conda remove --name test_env --all

구성한 가상 환경을 conda-pack 도구를 이용해 tar.gz로 패키징도 해보면,

$ conda install conda-pack
$ which conda-pack
/home/testusr/miniconda3/envs/test_env/bin/conda-pack

$ conda-pack -n test_env -o test_env.tar.gz

기본적인 활용법은 모두 끝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3/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3정성태12/25/201223089.NET Framework: 352. x64에서 필수로 지정하도록 바뀐 STAThread 특성 [2]
1392정성태12/21/201232983사물인터넷: 1. .NET Micro Framework - 넷두이노 플러스 [7]
1391정성태12/21/201226299.NET Framework: 351. JavaScriptSerializer, DataContractJsonSerializer, Json.NET [3]파일 다운로드1
1390정성태12/20/201224499.NET Framework: 350. String 데이터를 Stream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389정성태12/12/201222747.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8정성태12/12/201223866.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7정성태12/12/201228850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1386정성태12/12/201230329디버깅 기술: 5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네이티브 DLL을 추출하는 방법 [1]
1385정성태12/12/201225624디버깅 기술: 52. Windbg - The version of SOS does not match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
1384정성태12/12/201230362개발 환경 구성: 178.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
1383정성태12/10/201226276개발 환경 구성: 177. 기업용 메신저를 위한 Office Communicator Server 2007 설치 [1]
1382정성태12/8/201229035개발 환경 구성: 176. WebPagetest 서버 - 설치 및 테스트
1381정성태12/5/201227627.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380정성태11/28/201237644.NET Framework: 346. 닷넷 개발자에게 Node.js의 의미 [17]
1379정성태11/26/201230767.NET Framework: 345. C# 부호(+, -)에 대한 비트 변환 [1]
1378정성태11/22/201232141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1377정성태11/19/201225587.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
1376정성태11/15/201230775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
1375정성태11/15/201226547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374정성태11/13/201224549개발 환경 구성: 175. Visual Studio의 "Extension Manager"에서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되었다면!
1373정성태11/13/201225194.NET Framework: 343. VB.NET 어셈블리의 .NET Reflector 소스 코드를 분석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항
1372정성태11/1/2012119942Windows: 67.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 [57]
1371정성태10/31/201227657.NET Framework: 342. Python의 zip과 with 문 context를 C#과 비교하면. [3]파일 다운로드1
1370정성태10/31/201222856VS.NET IDE: 75. Visual Studio - "Active Solution Platform" 변경을 툴바에서 하는 방법
1369정성태10/31/201236127개발 환경 구성: 174. 윈도우에서 Mono 개발 환경 구성 [4]
1368정성태10/31/201227570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