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기타: 46. Microsoft의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 - Azure RemoteApp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672

Java: 22.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Java SE (Embedded Web Server) 호스팅
; https://www.sysnet.pe.kr/2/0/12686

Java: 23.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Tomcat 호스팅
; https://www.sysnet.pe.kr/2/0/12690

.NET Framework: 1998. Azure Functions를 사용한 간단한 실습
; https://www.sysnet.pe.kr/2/0/13037

개발 환경 구성: 736.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 https://www.sysnet.pe.kr/2/0/13830

개발 환경 구성: 749. 파이썬 - Azure App Service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하기 전의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946

개발 환경 구성: 750. 파이썬 - Azure App Service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후의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947




파이썬 - Azure App Service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하기 전의 환경

지난 글에서 파이썬 웹 앱을,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 https://www.sysnet.pe.kr/2/0/13830

배포했었는데요, 이게 참 중간에 너무 생략된 단계가 많아서 혼란이 오는 부분이 있습니다. 관련 내용이 문서화로 공개돼 있긴 한데요,

Built-in images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azure/app-service/faqs-app-service-linux#built-in-images

빠른 참조를 위해 필요한 만큼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




우선, 처음 App Service를 만들고 나면 기본적으로 다음의 메시지를 담은 HTML을 호스팅하는 예제가 자리 잡게 됩니다.

Your web app is running and waiting for your content

Your web app is live, but we don’t have your content yet. If you’ve already deployed, it could take up to 5 minutes for your content to show up, so come back soon.

Built with Python

...[생략]...

이 상태에서 SSH 접속을 하게 되면, 초기 시작 디렉터리가 /home/site/wwwroot로 나오고 그 하위에 기본 파이썬 예제 파일들이 있습니다.

/home/site/wwwroot# ls -l
total 4
-rwxrwxrwx 1 nobody nogroup 3269 May 13 05:47 hostingstart.html

얼핏 이 파일이 기본 화면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 cat hostingstart.html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title>Microsoft Azure App Service - Welcome</title>
    <link rel="shortcut icon" href="https://appservice.azureedge.net/images/app-service/v4/favicon.ico" type="image/x-icon" />
    <link href="https://appservice.azureedge.net/css/app-service/v4/bootstrap.min.css" rel="stylesheet" crossorigin="anonymous" />
    <style>
        html, body {
            height: 100%;
            background-color: #ffffff;
            color: #000000;
            font-size: 13px;
        }

        * {
            border-radius: 0 !important;
        }
    </style>
    <script src="https://appservice.azureedge.net/js/app-service/v4/loc.min.js" crossorigin="anonymou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window.onload=function (){try{var a=window.location.hostname; if (a.includes(".azurewebsites.net")){a=a.replace(".azurewebsites.net", "")};var b=document.getElementById("depCenterLink"); b.setAttribute("href", b.getAttribute("href") + "&sitename=" + a); loc()}catch (d){}}</script>
</head>
<body>
    <nav class="navbar"><div class="navbar-brand "><div class="container pl-4 ml-5"><img src="https://appservice.azureedge.net/images/app-service/v4/azurelogo.svg" width="270" height="108" alt="" /></div></div></nav><div class="container-fluid mr-2 mt-5 pt-5"><div class="row"><div class="col-xs-12 col-sm-12 d-block d-lg-none d-xl-none d-md-block d-sm-block d-xs-block"><div class="text-center"><img src="https://appservice.azureedge.net/images/app-service/v4/web.svg" /></div></div><div class="pl-5 ml-5 col-xl-5 col-lg-5 col-md-10 col-sm-11 col-xs-11"><div class="container-fluid"><div class="row"><h2 id="upRunning">Your web app is running and waiting for your content</h2></div><div class="row mt-4 pt-4"><div id="appIsLive" style="font-size:16px;width: 516px;">Your web app is live, but we don’t have your content yet. If you’ve already deployed, it could take up to 5 minutes for your content to show up, so come back soon.</div></div><div class="row mt-4"><h5 class="mt-5"><img src="https://appservice.azureedge.net/images/app-service/v4/code.svg" /><span id="supporting">Supporting Node.js, Java, .NET and more</span></h5></div></div></div><div class="col-xl-5 col-lg-5 col-md-12 d-none d-lg-block"><div class="text-left"><img src="https://appservice.azureedge.net/images/app-service/v4/web.svg" /></div></div><div class="col-xl-1 col-lg-1 col-md-1"></div></div><div class="row mt-4"><div class="container-fluid"><div class="row mt-3"><div class="pl-5 ml-5 col-md-2 mt-4"><p><span id="haventDeployed">Haven’t deployed yet?</span><br /><span id="useDCenter">Use the deployment center to publish code or set up continuous deployment.</span><br /><a id="depCenterLink" href="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57852"><button class="btn btn-primary mt-4" type="submit" id="deplCenter">Deployment center</button></a></p></div><div class="pl-5 ml-5 col-md-2 mt-4"><p><span id="newWebSite">Starting a new web site?</span><br /><span id="followQS">Follow our Quickstart guide to get a web app ready quickly.</span><br /><a href="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84231"><button class="btn btn-primary mt-4" type="submit" id="quickStart">Quickstart</button></a></p></div></div></div></div></div>
</body>
</html>

내용은 같아도 파일 경로는 다릅니다. 첫 페이지가 어딘지 찾기 전에 SSH로 접속한 경우 기본 실행 환경을 구성하는 ~/.bashrc 파일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home/site/wwwroot# cat ~/.bashrc
# ...[주석 생략]...

export PATH="$PATH:/opt/mssql-tools18/bin"
cd /home
alias vizviewer=/opt/startup/code_profiler/vizviewer.sh
export APP_PATH="/home/site/wwwroot"
cd $APP_PATH
export VIRTUALENVIRONMENT_PATH="/home/site/wwwroot/antenv"
. antenv/bin/activate

즉, "cd ..."를 통해 /home/site/wwwroot로 이동하고, 그다음 파이썬 가상 환경인 antenv를 활성화시키는데요, 사실 처음 App Service가 생성된 시점에는 저 디렉터리가 없으므로 SSH 접속 시 저 코드에서 이런 오류 메시지가 나옵니다.

   _____                               
  /  _  \ __________ _________   ____  
 /  /_\  \\___   /  |  \_  __ \_/ __ \ 
/    |    \/    /|  |  /|  | \/\  ___/ 
\____|__  /_____ \____/ |__|    \___  >
        \/      \/                  \/ 
A P P   S E R V I C E   O N   L I N U X

Documentation: http://aka.ms/webapp-linux
Python 3.12.9
Note: Any data outside '/home' is not persisted
-bash: antenv/bin/activate: No such file or directory
root@pywebapp-f00b3990:/home/site/wwwroot# 

그리고 .bashrc의 구성을 이해하려면 Azure App Service 인스턴스가 뜰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살펴봐야 하는데요,

# ps aux
USER         PID %CPU %MEM    VSZ   RSS TTY      STAT START   TIME COMMAND
root           1  0.0  0.0   2480    68 ?        SNs  06:11   0:00 /bin/sh /opt/startup/startup.sh
root          29  0.0  0.0  13352   420 ?        SNs  06:11   0:00 sshd: /usr/sbin/sshd [listener] 0 of 10-100 startups
root         986  0.0  0.0   6896   172 ?        SN   06:11   0:00 bash /run-diag.sh
root         988  1.1  1.3 3224032 25740 ?       SNl  06:11   0:05 ./DiagServer
root        1011  0.0  0.0   6744  1012 ?        SNs  06:11   0:00 /usr/sbin/cron
root        1023  0.1  1.1 187388 21608 ?        SNl  06:11   0:00 /opt/python/3.12.9/bin/python3 /opt/python/3/bin/gunicorn application:app
root        1026  0.1  1.6 286584 30468 ?        SNl  06:12   0:00 /opt/python/3.12.9/bin/python3 /opt/python/3/bin/gunicorn application:app
root        1029  0.5  1.6 285456 31204 ?        SN   06:12   0:02 /opt/python/3.12.9/bin/python3 /opt/python/3/bin/gunicorn application:app
root        1030  0.5  1.5 285480 30188 ?        SN   06:12   0:03 /opt/python/3.12.9/bin/python3 /opt/python/3/bin/gunicorn application:app
root        1051  0.0  0.1  13464  2992 ?        SNs  06:13   0:00 sshd: root@pts/0
root        1053  0.0  0.1   7160  3384 pts/0    SNs  06:13   0:00 -bash
root        1073  0.0  0.1   9756  3240 pts/0    RN+  06:20   0:00 ps aux

/opt/startup/startup.sh 스크립트의 구성으로 인해,

# cat /opt/startup/startup.sh 
#!/bin/sh

echo 'export APP_PATH="/home/site/wwwroot"' >> ~/.bashrc
echo 'cd $APP_PATH' >> ~/.bashrc

# Enter the source directory to make sure the script runs where the user expects
cd /home/site/wwwroot

export APP_PATH="/home/site/wwwroot"
if [ -z "$HOST" ]; then
                export HOST=0.0.0.0
fi

if [ -z "$PORT" ]; then
                export PORT=80
fi

export PATH="/opt/python//bin:${PATH}"
echo 'export VIRTUALENVIRONMENT_PATH="/home/site/wwwroot/antenv"' >> ~/.bashrc
echo '. antenv/bin/activate' >> ~/.bashrc
  echo WARNING: Could not find virtual environment directory '/home/site/wwwroot/antenv'.
  echo WARNING: Could not find package directory '/home/site/wwwroot/__oryx_packages__'.
GUNICORN_CMD_ARGS="--timeout 600 --access-logfile '-' --error-logfile '-' -c /opt/startup/gunicorn.conf.py --chdir=/opt/defaultsite" gunicorn application:app

~/.bashrc에 있던 내용 중 아래의 분량만큼은,

export APP_PATH="/home/site/wwwroot"
cd $APP_PATH
export VIRTUALENVIRONMENT_PATH="/home/site/wwwroot/antenv"
. antenv/bin/activate

App Service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마다 startup.sh에 의해 언제나 재구성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App Service의 SSH 접속 시마다 .bashrc가 실행돼 /home/site/wwwroot에서 시작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서, 그래서 최초 호스팅되는 페이지의 경로는 /opt/startup/startup.sh 파일의 마지막에 있는 gunicorn 시작 명령어로 알 수 있습니다.

GUNICORN_CMD_ARGS="--timeout 600 --access-logfile '-' --error-logfile '-' -c /opt/startup/gunicorn.conf.py --chdir=/opt/defaultsite" gunicorn application:app


--chdir=/opt/defaultsite 옵션으로 인해 작업 디렉터리가 바뀌는데요, 바로 그 디렉터리에 Azure App Service의 기본 화면을 보여주는 html 파일이 위치하게 됩니다.

# ls /opt/defaultsite/ -l
total 20
-rw-rw-r-- 1 root root  351 Mar  3 07:26 application.py
-rw-rw-r-- 1 root root 3447 Mar  3 07:26 hostingstart_dep.html
-rw-rw-r-- 1 root root 4560 Mar  3 07:26 hostingstart.html
drwxr-xr-x 2 root root 4096 May 13 06:12 __pycache__

그리고 gunicorn이 실행하는 application:app 함수는,

# cat /opt/defaultsite/application.py 
from flask import Flask
import os
app = Flask(__name__, static_folder='/opt/defaultsite')

@app.route('/')
def root():
    if os.path.isdir('/home/site/deployments') and len(next(os.walk('/home/site/deployments'))[1]) > 1:
        return app.send_static_file('hostingstart_dep.html')
    else:
        return app.send_static_file('hostingstart.html')

저렇게 Flask 프레임워크를 초기화하고 hostingstart.html 파일을 '/' 루트 요청의 응답으로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정도면, 대충 구조가 눈에 들어오시죠?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9/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16정성태9/30/201726933디버깅 기술: 99. (닷넷) 프로세스(EXE)에 디버거가 연결되어 있는지 아는 방법 [4]
11315정성태9/29/201744295기타: 68.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구매하신 분들을 위한 C# 7.0/7.1 추가 문법 PDF [8]
11314정성태9/28/201725164디버깅 기술: 98.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닷넷 버전 확인하는 방법
11313정성태9/25/201723585디버깅 기술: 97. windbg - 메모리 덤프로부터 DateTime 형식의 값을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12정성태9/25/201727084.NET Framework: 685. C# - 구조체(값 형식)의 필드를 리플렉션을 이용해 값을 바꾸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11정성태9/20/201719100.NET Framework: 684. System.Diagnostics.Process 객체의 명시적인 해제 권장
11310정성태9/19/201725032.NET Framework: 683. WPF의 Window 객체를 생성했는데 GC 수집 대상이 안 되는 이유 [3]
11309정성태9/13/201721627개발 환경 구성: 335. Octave의 명령 창에서 실행한 결과를 복사하는 방법
11308정성태9/13/201723785VS.NET IDE: 121.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일부 텍스트 파일을 무조건 메모장으로만 여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07정성태9/13/201726576오류 유형: 421. System.Runtime.InteropServices.SEHException - 0x80004005
11306정성태9/12/201724682.NET Framework: 682. 아웃룩 사용자를 위한 중국어 스팸 필터 Add-in
11305정성태9/12/201725881개발 환경 구성: 334. 기존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를 이용해 Github의 신규 생성된 repo에 올리는 방법 [1]
11304정성태9/11/201722504개발 환경 구성: 333. 3ds Max를 Hyper-V VM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03정성태9/11/201726685개발 환경 구성: 332. Inno Setup 파일의 관리자 권한을 제거하는 방법
11302정성태9/11/201722256개발 환경 구성: 331. SQL Server Express를 위한 방화벽 설정
11301정성태9/11/201720225오류 유형: 420. SQL Server Express 연결 오류 - A network-related or instance-specific error occurred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SQL Server.
11300정성태9/10/201725898.NET Framework: 681. dotnet.exe - run, exec, build, restore, publish 차이점 [3]
11299정성태9/9/201724275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11298정성태9/8/201727906VC++: 119. EnumProcesses / EnumProcessModules API 사용 시 주의점 [1]
11297정성태9/8/201724515디버깅 기술: 96.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96정성태9/8/201726036웹: 36. Edge - "이 웹 사이트는 이전 기술에서 실행되며 Internet Explorer에서만 작동합니다." 끄는 방법
11295정성태9/7/201724944디버깅 기술: 95. Windbg - .foreach 사용법
11294정성태9/4/201724034개발 환경 구성: 329.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1]
11293정성태9/4/201725434개발 환경 구성: 328. Visual Studio(devenv.exe)를 배치 파일(.bat)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
11292정성태9/4/201723649오류 유형: 419. Cannot connect to WMI provider - Invalid class [0x80041010]
11291정성태9/3/201723776개발 환경 구성: 327. 아파치 서버 2.4를 위한 mod_aspdotnet 마이그레이션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