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파이썬 - 소스 코드의 파일 경로를 지정한 모듈 로드

예를 들어, main.py 및 sub.py가 다음과 같이 있을 때,

$ pwd
/mnt/c/temp

$ cat main.py
print('main: loaded')

import sub
sub.sub_func()

$ cat sub.py
print('sub: loaded')

def sub_func():
    print('sub: sub_func called')

$ python main.py
main: loaded
sub: loaded
sub: sub_func called

다른 디렉터리에 있는 파이썬 소스 코드에서 저 sub.py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SourceFileLoader 타입을 사용해 이렇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 pwd
/mnt/c/test

$ cat call_main.py
import os

print('call_main:', os.getcwd())

module_path = '/mnt/c/temp'
module_name = 'sub'

module_path = module_path + os.sep + module_name + '.py'

from importlib.machinery import SourceFileLoader
module = SourceFileLoader(module_name, module_path).load_module()  # sub.py 모듈 로드
print('call_main:', module.__name__)

module.__dict__['sub_func']()  # sub.py에 정의된 sub_func 함수 호출

$ python call_main.py
call_main: /mnt/c/test
sub: loaded
call_main: sub
sub: sub_func called

보통 다른 언어를 사용하던 개발자들, 특히 C# 개발자들이라면 SourceFileLoader.load_module() 메서드를 단순히 DLL 로드와 유사하다고 오해할 수 있는데, 위의 출력에서도 볼 수 있듯이 sub.py에 있는 코드 자체가 수행된다는 점에서 (로드가 아닌) Run이라는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출력에 "sub: loaded"가 나타남)

게다가, 한 번 로드가 됐어도 다시 load_module 함수를 호출하면 재차 sub.py의 코드가 실행됩니다. 따라서 그런 부작용을 막고 싶다면 미리 sys.modules에서 조회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 cat call_main.py
import os
import sys


def is_loaded(module_name):
    return module_name in sys.modules


print('call_main:', os.getcwd())

module_path = '/mnt/c/temp'
module_name = 'sub'

module_path = module_path + os.sep + module_name + '.py'

from importlib.machinery import SourceFileLoader
module = SourceFileLoader(module_path, module_path).load_module()
print('call_main:', module.__name__)

module.__dict__['sub_func']()

# 만약 if 문 없이 실행하면 sub.py의 코드가 다시 실행됨
if not is_loaded(module_path):
    module = SourceFileLoader(module_path, module_path).load_module()




그렇다면, sub.py가 아닌 main.py를 로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쉽게도 이번에는 오류가 발생하는데요,

$ cat call_main.py
# ...[생략]...

print('call_main:', os.getcwd())

module_path = '/mnt/c/temp'
module_name = 'main'

# ...[생략]...

# main.py를 로드하므로 sub_func 검색/실행은 주석 처리
# module.__dict__['sub_func']()

$ python call_main.py
call_main: /mnt/c/test
main: loaded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all_main.py", line 17, in <module>
    module = SourceFileLoader(module_path, module_path).load_modul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522, in _check_name_wrapper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1022, in load_modul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847, in load_modul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265, in _load_module_shim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702, in _load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671, in _load_unlocked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843, in exec_modul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219, in _call_with_frames_removed
  File "/mnt/c/temp/main.py", line 3, in <module>
    import sub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sub'

여기서도 또 주의해야 할 점이, main.py 자체를 로드하는데 실패한 것이 아니고, 그 내부의 코드를 실행하는 중에 오류가 발생했다는 점입니다. 위의 출력에 보면 분명히 main.py에 있던 "main: loaded" 메시지가 나오고 이후 "import sub"를 실행하는 시점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입니다.

재미있는 건, 그렇다면 모듈이 로드된 것은 맞다고도 볼 수 있는데 sys.modules에는 main.py 모듈이 등록돼 있지 않습니다. 즉, 파이썬의 경우 (전통적인 의미의) 모듈 로딩과 그것의 실행이 모두 성공해야만 비로소 "loaded" 상태가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경우에 sub.py까지 로드가 잘 되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처음에는 cwd(current working directory)가 모듈 검색 경로에 포함될 거라 생각했는데요, 물론 call_main.py를 main.py와 함께 있는 디렉터리에서 실행하면 정상 동작을 하지만,

// call_main.py를 /mnt/c/temp 디렉터리에 복사

$ pwd
/mnt/c/temp

$ python call_main.py
call_main: /mnt/c/temp
main: loaded
sub: loaded
sub: sub_func called
call_main: /mnt/c/temp/main.py

단순히 main.py가 cwd와 같은 디렉터리라고 해서 실행되는 것도 아님을 아래의 실행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emp 디렉터리에서 ./test 디렉터리에 있는 call_main.py를 실행

$ pwd
/mnt/c/temp

$ python /mnt/c/test/call_main.py
call_main: /mnt/c/temp
main: loaded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mnt/c/test/call_main.py", line 18, in <module>
    module = SourceFileLoader(module_path, module_path).load_modul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522, in _check_name_wrapper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1022, in load_modul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847, in load_modul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265, in _load_module_shim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702, in _load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671, in _load_unlocked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_external>", line 843, in exec_module
  File "<frozen importlib._bootstrap>", line 219, in _call_with_frames_removed
  File "/mnt/c/temp/main.py", line 3, in <module>
    import sub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sub'

이에 대한 정확한 기준은, 해당 경로가 sys.path에 포함돼 있는지입니다. 예를 들어, "python /mnt/c/test/call_main.py"라고 실행하면 sys.path는 기본적으로 이렇게 구성되는데,

[
    '/mnt/c/test', 
    '/home/kevin/miniconda3/envs/py38build/lib/python38.zip', 
    '/home/kevin/miniconda3/envs/py38build/lib/python3.8', 
    '/home/kevin/miniconda3/envs/py38build/lib/python3.8/lib-dynload', 
    '/home/kevin/miniconda3/envs/py38build/lib/python3.8/site-packages'
]

결국 최초 실행되는 call_main.py 파일을 포함한 경로(위의 경우 /mnt/c/test)가 sys.path에 포함되기 때문에 main.py는 sub.py를 찾을 수 없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위의 코드를 어느 환경에서나 잘 동작하게 하려면 sys.path를 이런 식으로 조정해 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module_path = '/mnt/c/temp'
module_name = 'main'

if not module_path in sys.path:
    sys.path.append(module_path)




참고로 SourceFileLoader.load_module 함수는 deprecated 되었으니,

Import arbitrary python source file. (Python 3.3+)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9009932/import-arbitrary-python-source-file-python-3-3

대신 exec_module 함수를 사용하라고 권장하는군요. ^^ (그래도 테스트해보면 python 3.11까지도 잘 지원되고 있습니다.)

# module = SourceFileLoader(module_name, module_path).load_module()

loader = SourceFileLoader(module_name, module_path)
import types
mod = types.ModuleType(loader.name)
loader.exec_module(mo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6/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41정성태1/31/201728853.NET Framework: 639.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4) - CLR JIT 컴파일러의 P/Invoke 호출 규약 [1]파일 다운로드1
11140정성태1/27/201723429.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파일 다운로드1
11139정성태1/22/201726709.NET Framework: 637.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3) - x64 환경의 __fastcall과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8정성태1/20/201725414VS.NET IDE: 113.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1137정성태1/20/201722452Windows: 135. AD에 참여한 컴퓨터로 RDP 연결 시 배경 화면을 못 바꾸는 정책
11136정성태1/20/201722679오류 유형: 375.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135정성태1/20/201723258Windows: 134. Windows Server 2016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가 사라졌다면? [1]
11134정성태1/20/201731663.NET Framework: 636. System.Threading.Timer를 이용해 타이머 작업을 할 때 유의할 점 [5]파일 다운로드1
11133정성태1/20/201727510.NET Framework: 635.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2) - x86 환경의 __fastcall [1]파일 다운로드1
11132정성태1/19/201739634.NET Framework: 634.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1) - x86 환경에서의 __cdecl, __stdcall에 대한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1정성태1/13/201728373.NET Framework: 633. C# - IL 코드 분석을 위한 팁 [2]
11130정성태1/11/201729177.NET Framework: 632. x86 실행 환경에서 SECURITY_ATTRIBUTES 구조체를 CreateEvent에 전달할 때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29정성태1/11/201733018.NET Framework: 631. async/await에 대한 "There Is No Thread" 글의 부가 설명 [9]파일 다운로드1
11128정성태1/9/201725748.NET Framework: 630. C# - Interlocked.CompareExchange 사용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11127정성태1/8/201727766기타: 63. (개발자를 위한) Visual Studio의 "with MSDN" 라이선스 설명
11126정성태1/7/201732608기타: 62. Edge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Favorites)를 편집/백업/복원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25정성태1/7/201729263개발 환경 구성: 310. IIS - appcmd.exe를 이용해 특정 페이지에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를 제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11124정성태1/4/201732616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8140.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5639.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3364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31505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51595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41689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6603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8886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