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966. Ubuntu -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51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Ubuntu -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설치해 둔 Ubuntu 24.04 LTS에서 외부 접속이 안 됩니다. ^^;

$ ping www.naver.com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또 DNS 서버 설정이 풀렸나 싶었더니... 그건 또 아닙니다.

$ resolvectl status
Global
         Protocols: -LLMNR -mDNS -DNSOverTLS DNSSEC=no/unsupported
  resolv.conf mode: stub
Current DNS Server: 8.8.8.8
       DNS Servers: 8.8.8.8

...[생략]...

그러니까, IP를 직접 찍어도 연결이 안 됩니다.

$ ping 23.212.12.248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보니까, 라우팅 테이블이 꽤나 한산합니다. ^^;

$ ip route
192.168.100.0/24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00.50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192.168.10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0

보통은 아래에서처럼 "default via ..." 같은 게 있어야 하는데,

// 정상적인 경우였다면,

$ ip route
default via 192.168.100.1 dev eth1 proto static metric 100 
192.168.100.0/24 dev eth1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100.25 metric 100 
...[생략]...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0.0.0.0         192.168.100.1   0.0.0.0         UG        0 0          0 eth1
...[생략]...

그게 없는 것입니다. 즉, 오로지 192.168.100.x 대역의 IP에 대해서만 eth0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default gateway 설정만 추가하면,

$ sudo ip route add default via 192.168.100.1 dev eth0

// (2025-07-08 업데이트) 위의 명령어로 인한 변화는 재부팅 후 사라집니다.
// How to add persistent IP routes in Ubuntu 20.04 server
// ; https://askubuntu.com/questions/1345376/how-to-add-persistent-ip-routes-in-ubuntu-20-04-server 
// 1. edit config file in /etc/netplan
//    routes:
//    - to: default
//      via: 192.168.100.1
// 2. sudo netplan generate
// 3. sudo netplan apply

이후 정상적으로 ping이 됩니다.

$ ping www.microsoft.com
PING e13678.dscb.akamaiedge.net (23.40.45.184)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a23-40-45-184.deploy.static.akamaitechnologies.com (23.40.45.184): icmp_seq=1 ttl=54 time=3.29 ms
64 bytes from a23-40-45-184.deploy.static.akamaitechnologies.com (23.40.45.184): icmp_seq=2 ttl=54 time=3.08 ms
...[생략]...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8/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67정성태8/23/200937209.NET Framework: 158. 닷넷 프로파일러 - IL 코드 재작성 [14]
766정성태8/23/200938187.NET Framework: 157. C# 4.0 - dynamic 키워드 [4]파일 다운로드1
765정성태8/22/200932042.NET Framework: 156. XamDataGrid의 UnboundField 사용파일 다운로드1
764정성태8/21/200926203Windows: 47. Windows Virtual PC에 설치된 Windows 7 VPC에서 Aero 효과 사용 [3]
763정성태8/20/200929772Windows: 46. Windows 7 - XP 모드 응용 프로그램 바로가기 만드는 방법 [2]
762정성태8/18/200935247개발 환경 구성: 48. 개발자 PC 환경 - 유니코드(Unicode)를 위한 설정 [3]
760정성태8/17/200941768개발 환경 구성: 47. XmlCodeGenerator 1.0.0.4 업데이트 [2]
759정성태8/16/200933519.NET Framework: 155. 닷넷 프로파일러의 또 다른 응용: Visual Studio 2010 Historical Debugging
758정성태8/15/200927156VS.NET IDE: 65. WPF 프로젝트용 Visual Studio 패치들 [2]
757정성태8/12/200926583오류 유형: 84. TFS 작업 항목 보기 오류 - 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
756정성태8/9/200925729오류 유형: 83. A revocation check could not be performed for the certificate.
755정성태8/6/200923424.NET Framework: 154. 이벤트 2중 구독
754정성태7/16/200935931VS.NET IDE: 64. Visual Studio 2010 - 64bit 혼합 모드 디버깅 지원
753정성태7/15/200934407.NET Framework: 153. WPF와 WinForm의 Shown 이벤트 시점
752정성태7/14/200930254개발 환경 구성: 46. .NET Service Bus 응용 사례: SocketShifter [2]파일 다운로드1
751정성태7/9/200931135.NET Framework: 152. 순환 참조와 XmlSerializer파일 다운로드1
750정성태7/7/200931549.NET Framework: 151. Team Explorer가 설치되지 않은 PC에서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748정성태7/2/200930198.NET Framework: 150. WPF - Property Element 사용 의미파일 다운로드2
747정성태7/1/200948965.NET Framework: 149.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3]파일 다운로드1
746정성태6/25/200936052.NET Framework: 148. WPF - 데이터 바인딩 시의 예외 처리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45정성태6/22/200927791.NET Framework: 147. WPF - Binding에 Sibling 요소 지정 [2]파일 다운로드1
744정성태6/21/200926306.NET Framework: 146.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2]파일 다운로드1
743정성태6/17/200930792.NET Framework: 145. Unity Container 개체 풀이
742정성태6/17/200930078.NET Framework: 144. WPF -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이 null이라면? [3]
740정성태6/12/200927691.NET Framework: 143. WPF - Transform의 역변환파일 다운로드1
739정성태6/8/200940806.NET Framework: 142.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5]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