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968. snap으로 설치한 "dotnet run" 실행 시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3967

닷넷: 2341.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969




snap으로 설치한 "dotnet run" 실행 시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오류

이상하군요, Ubuntu 24.04 환경에서 snap을 이용한 dotnet-sdk로, dotnet build도 되고 대상 DLL에 대한 실행도 잘 되는데,

$ sudo snap install dotnet-sdk --classic
...[생략]...

$ dotnet new console
$ dotnet build

$ dotnet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testapp.dll
Hello, World!

이것을 "dotnet run" 명령어로 수행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2대의 Ubuntu 24.04 환경 중 한 곳에서만 발생했습니다.)

$ dotnet run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testapp: symbol lookup error: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 ld --version
GNU ld (GNU Binutils for Ubuntu) 2.42
Copyright (C) 2024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This program is free software; you may redistribute it under the terms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version 3 or (at your option) a later version.
This program has absolutely no warranty.

$ ldd --version
ldd (Ubuntu GLIBC 2.39-0ubuntu8.4) 2.39
Copyright (C) 2024 Free Software Foundation, Inc.
This is free software; see the source for copying conditions.  There is NO
warranty; not even for MERCHANTABILITY or FITNESS FOR A PARTICULAR PURPOSE.
Written by Roland McGrath and Ulrich Drepper.

가만 보니, 출력이 실행 파일인데 그것만으로 실행해도 문제가 재현됩니다.

$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testapp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testapp: symbol lookup error: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좀 더 자세한 바인딩 오류를 LD_DEBUG, LD_TRACE_LOADED_OBJECTS 환경 변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

$ LD_DEBUG=bindings ./bin/Debug/net8.0/testapp 2>&1 | grep GLIBC_PRIVATE | grep testapp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 normal symbol `_dl_argv' [GLIBC_PRIVATE]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 normal symbol `__libc_enable_secure' [GLIBC_PRIVATE]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 normal symbol `_rtld_global_ro' [GLIBC_PRIVATE]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normal symbol `__libc_dlerror_result' [GLIBC_PRIVATE]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 normal symbol `_rtld_global' [GLIBC_PRIVATE]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 normal symbol `_rtld_global' [GLIBC_PRIVATE]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 normal symbol `_dl_find_dso_for_object' [GLIBC_PRIVATE]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 normal symbol `_dl_deallocate_tls' [GLIBC_PRIVATE]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 normal symbol `_dl_signal_error' [GLIBC_PRIVATE]
     82373:     binding fil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 to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 normal symbol `_dl_signal_exception' [GLIBC_PRIVATE]
     82373: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error: symbol lookup error: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fatal)
./bin/Debug/net8.0/testapp: symbol lookup error: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 LD_TRACE_LOADED_OBJECTS=1 ./bin/Debug/net8.0/testapp 
        linux-vdso.so.1 (0x00007ffd9e133000)
        libpthread.so.0 =>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pthread.so.0 (0x00007dcd00bd5000)
        libdl.so.2 =>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dl.so.2 (0x00007dcd00bd0000)
        libstdc++.so.6 =>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0x00007dcd00800000)
        libm.so.6 =>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m.so.6 (0x00007dcd00ae7000)
        libgcc_s.so.1 =>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gcc_s.so.1 (0x00007dcd00ab9000)
        libc.so.6 =>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dcd00400000)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0x00007dcd00bdc000)

그러니까 "libc.so.6" 파일에서 _dl_audit_symbind_alt 심벌을 참조하고 있지만,

$ readelf -Ws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 grep _dl_audit_symbind_alt
    10: 0000000000000000     0 FUNC    GLOBAL DEFAULT  UND _dl_audit_symbind_alt@GLIBC_PRIVATE (42)

$ objdump -T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 grep _dl_audit_symbind_alt
0000000000000000      DF *UND*  0000000000000000 (GLIBC_PRIVATE) _dl_audit_symbind_alt

$ nm -D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usr/lib/x86_64-linux-gnu/libc.so.6 | grep _dl_audit_symbind_alt
                 U _dl_audit_symbind_alt@GLIBC_PRIVATE

/* so 파일에는 regular symbol table과 dynamic symbol table이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돼 있다고 합니다. (참고: nm vs "readelf -s")

regular symbol table:  // 디버깅 목적으로 사용 (심지어 static 함수에 대한 심벌 정보까지 포함)
    .symtab
    .strtab

dynamic symbol table: // dynamic loader에 의해 사용 (빠른 검색을 위해!)
    .dynsym
    .dynstr

strip 명령어는 regular 테이블을 삭제하고 dynamic 테이블은 남겨둔다고 합니다. 
"nm ..." 명령어는 regular table의 심벌을 출력하고, 
"nm -D ...", "readelf -s" 명령어는 dynamic table의 심벌을 출력하므로 
이를 통해 해당 so 파일이 strip 명령어로 제거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LIBC_PRIVATE 버전의 공유 파일, 위의 경우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파일에는 해당 심벌이 없다고 하는 건데 실제로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 readelf -Ws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 grep _dl_audit_symbind_alt
$

$ ls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l
lrwxrwxrwx 1 root root 34 May 27 07:13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 ../lib/x86_64-linux-gnu/ld-2.31.so

$ ls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d-2.31.so -l
-rwxr-xr-x 1 root root 191504 Jan 29 23:41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d-2.31.so

$ readelf -Ws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d-2.31.so | grep _dl_audit_symbind_alt
$

일단 문제는 확인했군요. ^^




그런데, ld-linux-x86-64.so.2 파일의 경로가 특이한데요, 해당 시스템의 일반적인 실행 모듈들은 이렇게 "/lib64/ld-linux-x86-64.so.2" 모듈에 의존성을 두고 있습니다.

$ LD_TRACE_LOADED_OBJECTS=1 dotnet
        linux-vdso.so.1 (0x00007ffc67afe000)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ee1dce00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ee1dd201000)

그리고 저 경로의 ld-linux-x86-64.so.2 파일에는 이렇게 _dl_audit_symbind_alt 심벌이 존재합니다.

$ readelf -Ws /lib64/ld-linux-x86-64.so.2 | grep _dl_audit_symbind_alt
     2: 000000000001ae50   789 FUNC    GLOBAL DEFAULT   11 _dl_audit_symbind_alt@@GLIBC_PRIVATE

희한하군요, 왜 dotnet이 빌드한 실행 파일만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파일을 참조하는 걸까요? 제가 아직 린알못이라 구체적인 이유는 모르겠지만, snap 패키지 관리자가 격리시킨 sandbox 환경의 영향으로 그렇게 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즉, dotnet 설치를 snap으로 설치하는 대신 apt로부터 설치해 문제를 우회했습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y dotnet-sdk-8.0

...[생략]...

$ dotnet run
Hello, World!

$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testapp
Hello, World!




lddtree로 보면, "interpreter"라는 항목으로 문제의 그 so 파일 경로를 알 수 있습니다.

// sudo apt install pax-utils

$ lddtree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testapp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testapp (interpreter =>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libpthread.so.0 => /usr/lib/x86_64-linux-gnu/libpthread.so.0
    libdl.so.2 => /usr/lib/x86_64-linux-gnu/libdl.so.2
    libstdc++.so.6 => /usr/lib/x86_64-linux-gnu/libstdc++.so.6
    libm.so.6 => /usr/lib/x86_64-linux-gnu/libm.so.6
    libgcc_s.so.1 => /usr/lib/x86_64-linux-gnu/libgcc_s.so.1
    libc.so.6 => /usr/lib/x86_64-linux-gnu/libc.so.6


$ readelf -Ws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 grep _dl_audit_symbind_alt
$ 

해당 파일은 어떤 모듈보다도 먼저 로딩돼 loader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하는데요, 여기 구현된 함수들을 바인딩할 때 사용하는 버전 정보가 바로 "GLIBC_PRIVATE"라고 합니다. 게다가, 해당 심벌은 GLIBC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제한되며 사용자 프로그램에서 직접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합니다.

결국, snap으로 설치한 dotnet이 빌드한 실행 모듈은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파일을 interpreter로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건데요, 이것을 patchelf를 사용하면 interpreter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고 합니다.

patchelf 사용법.
; https://wyv3rn.tistory.com/81

가령 위에서 생성했던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testapp 파일의 경우 이렇게 수정하면,

$ sudo apt install patchelf

$ patchelf --set-interpreter /lib64/ld-linux-x86-64.so.2 /home/myuser/testapp/bin/Debug/net8.0/testapp

동작하겠지만, 번거롭게 매번 저런 작업을 하기보다는 그냥 처음부터 apt로 설치하는 것이 더 편리할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78정성태6/17/202117667.NET Framework: 1072. C# - CoCreateInstance 관련 Inteop 오류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677정성태6/17/202122734VC++: 144. 역공학을 통한 lxssmanager.dll의 ILxssSession 사용법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676정성태6/16/202120716VC++: 143. ionescu007/lxss github repo에 공개된 lxssmanager.dll의 CLSID_LxssUserSession/IID_ILxssSession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675정성태6/16/202119220Java: 20. maven package 명령어 결과물로 (war가 아닌) jar 생성 방법
12674정성태6/15/202119762VC++: 142. DEFINE_GUID 사용법
12673정성태6/15/202119347Java: 19. IntelliJ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을 Tomcat에서 실행하는 방법
12672정성태6/15/202122463오류 유형: 725. IntelliJ에서 Java webapp 실행 시 "Address localhost:1099 is already in use" 오류
12671정성태6/15/202131708오류 유형: 724. Tomcat 실행 시 Failed to initialize connector [Connector[HTTP/1.1-8080]] 오류
12670정성태6/13/202121627.NET Framework: 1071.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에서의 CoInitializeSecurity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669정성태6/11/202121098.NET Framework: 1070. 사용자 정의 GetHashCode 메서드 구현은 C# 9.0의 record 또는 리팩터링에 맡기세요.
12668정성태6/11/202124194.NET Framework: 1069.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파일 다운로드2
12667정성태6/10/202121940.NET Framework: 106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CoInitializeSecurity 제약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666정성태6/10/202119354.NET Framework: 1067. 별도 DLL에 포함된 타입을 STAThread Main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CoInitializeSecurity 자동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665정성태6/9/202121583.NET Framework: 1066.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파일 다운로드1
12664정성태6/9/202119378오류 유형: 723. COM+ PIA 참조 시 "This operation failed because the QueryInterface call on the COM component" 오류
12663정성태6/9/202122080.NET Framework: 1065. Windows Forms - 속성 창의 디자인 설정 지원: 문자열 목록 내에서 항목을 선택하는 TypeConverter 제작파일 다운로드1
12662정성태6/8/202118071.NET Framework: 106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61정성태6/4/202131194.NET Framework: 1063. C# - MQTT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Broker) 통신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12660정성태6/3/202121422.NET Framework: 1062. Windows Forms - 폼 내에서 발생하는 마우스 이벤트를 자식 컨트롤 영역에 상관없이 수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59정성태6/2/202121216Linux: 40. 우분투 설치 후 MBR 디스크 드라이브 여유 공간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 Logical Volume Management
12658정성태6/2/202121017Windows: 194. Microsoft Store에 있는 구글의 공식 Youtube App
12657정성태6/2/202119976Windows: 193.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 winget 설치
12656정성태6/1/202119914.NET Framework: 1061. 서버 유형의 COM+에 적용할 수 없는 Server GC
12655정성태6/1/202117430오류 유형: 722. windbg/sos - savemodule - Fail to read memory
12654정성태5/31/202119051오류 유형: 721. Hyper-V - Saved 상태의 VM을 시작 시 오류 발생
12653정성태5/31/202122071.NET Framework: 1060. 닷넷 GC에 새롭게 구현되는 DPAD(Dynamic Promotion And Demotion for GC)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