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41.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25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NET 설치 문서에는 snap에 대한 것도 나오는데요,

Install .NET SDK with Snap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install/linux-snap-sdk

실제로 해 보면 이게 문제가 좀 있습니다. 이미 지난 글에서도 symbol 풀이가 안 되는 문제를 설명했는데요, 이번에는 Windows 11 + Ubuntu 22.04 WSL 초기 환경을 구성해 snap으로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 snap list
No snaps are installed yet. Try 'snap install hello-world'.

시작해 봤습니다. 일단 여기서 dotnet-sdk를 설치했더니 2개가 더 설치되는군요. ^^

$ sudo snap install dotnet-sdk --classic
2025-07-16T23:51:12+09:00 INFO Waiting for automatic snapd restart...
dotnet-sdk 8.0.407 from Canonical✓ installed

$ snap list
Name        Version   Rev    Tracking       Publisher   Notes
core20      20250526  2599   latest/stable  canonical✓  base
dotnet-sdk  8.0.407   256    latest/stable  canonical✓  classic
snapd       2.70      24792  latest/stable  canonical✓  snapd

그리고 기본 예제를 생성하고 실행하면,

$ mkdir testapp
$ cd testapp
$ dotnet new console

$ dotnet run
$

$ ./bin/Debug/net8.0/testapp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
$

아무런 출력이 없거나 seg fault가 발생합니다. 대신 dotnet을 이용해 dll을 직접 실행하면,

$ dotnet ./bin/Debug/net8.0/testapp.dll
Hello, World!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그렇다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모듈과의 의존성을 비교해 볼까요?

// sudo apt install pax-utils

$ lddtree /usr/bin/ls
ls => /usr/bin/ls (interpreter => /lib64/ld-linux-x86-64.so.2)
    libselinux.so.1 => /lib/x86_64-linux-gnu/libselinux.so.1
        libpcre2-8.so.0 => /lib/x86_64-linux-gnu/libpcre2-8.so.0
        ld-linux-x86-64.so.2 => /lib64/ld-linux-x86-64.so.2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 lddtree ./bin/Debug/net8.0/testapp
testapp => ./bin/Debug/net8.0/testapp (interpreter =>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libpthread.so.0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pthread.so.0
        ld-linux-x86-64.so.2 =>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libdl.so.2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dl.so.2
    libstdc++.so.6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stdc++.so.6
    libm.so.6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m.so.6
    libgcc_s.so.1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gcc_s.so.1
    libc.so.6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c.so.6

역시 이번에도, snap으로 설치한 .NET의 경우 interpreter가 현재 운영체제의 기본 loader가 아닌, snap에서 dotnet-sdk의 의존성으로 설치한 core20의 load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ls -l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lrwxrwxrwx 1 root root 34 May 27 07:13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 ../lib/x86_64-linux-gnu/ld-2.31.so

$ ls -l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d-2.31.so
-rwxr-xr-x 1 root root 191504 Jan 29 23:41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d-2.31.so

반면 지난번과 다른 점이 있다면, symbol 풀이는 잘 되었다는 점입니다. 혹시나 그럼 patchelf를 이용하면 되지 않을까 싶었는데요,

$ file  ./bin/Debug/net8.0/testapp
./bin/Debug/net8.0/testapp: ELF 64-bit LSB pie executable, x86-64, version 1 (SYSV), dynamically linked, interpreter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BuildID[sha1]=cf6c9629befc4c1d6102c9e9e5c8ca231d88d101, for GNU/Linux 2.6.32, stripped

$ patchelf --set-interpreter /lib64/ld-linux-x86-64.so.2 ./bin/Debug/net8.0/testapp
patchelf: cannot normalize PT_NOTE segment: non-contiguous SHT_NOTE sections

실패하는군요. ^^ 오류 메시지에도 나오지만 SHT_NOTE 섹션이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패치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도 readelf로 확인해 보면,

$ readelf -S ./bin/Debug/net8.0/testapp | grep NOTE
  [ 1] .note.gnu.bu[...] NOTE             000000000000031c  0000031c
  [32] .note.ABI-tag     NOTE             0000000000015eb8  00012eb8

.note.gnu.build-id와 .note.ABI-tag 섹션이 연속적이지 않습니다. 암튼, 이번에도 역시 문제를 해결하려면 apt로부터 .NET SDK를 설치해야 합니다.




재미있는 건, 다른 WSL + Ubuntu 24.04에서 snap으로 설치한 .NET SDK는 문제가 또 달랐다는 점입니다. 그 환경에서는 dotnet run도 잘 동작했지만, 실행 모듈을 직접 구동하면 .NET Runtime을 찾지 못한다는 메시지가 출력됐습니다.

$ which dotnet
/snap/bin/dotnet

$ dotnet run
Hello, World!

$ ./bin/Debug/net8.0/testapp
You must install .NET to run this application.

App: /home/kevin/test/testapp/bin/Debug/net8.0/testapp
Architecture: x64
App host version: 8.0.14
.NET location: Not found

Learn more:
https://aka.ms/dotnet/app-launch-failed

Download the .NET runtime:
https://aka.ms/dotnet-core-applaunch?missing_runtime=true&arch=x64&rid=linux-x64&os=ubuntu.24.04&apphost_version=8.0.14

$ dotnet --list-sdks
8.0.407 [/snap/dotnet-sdk/256/sdk]

$ dotnet --list-runtimes
Microsoft.AspNetCore.App 8.0.14 [/snap/dotnet-sdk/256/shared/Microsoft.AspNetCore.App]
Microsoft.NETCore.App 8.0.14 [/snap/dotnet-sdk/256/shared/Microsoft.NETCore.App]

문서에 보면,

2. Export the install loca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install/linux-snap-sdk#2-export-the-install-location

snap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DOTNET_ROOT 환경 변수가 설정되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apt로 설치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설정되지 않습니다. 단지 차이점이라면 apt 설치의 경우 (/etc/profile.d/dotnet.sh에 의해) "~/.dotnet/tools" 디렉터리가 PATH 환경 변수에 추가되는 정도입니다.

어쨌든, 위에서처럼 단지 .NET runtime을 찾지 못하는 경우라면 DOTNET_ROOT 설정을 통해 해결할 수는 있습니다.

$ DOTNET_ROOT=/snap/dotnet-sdk/current ./bin/Debug/net8.0/testapp
Hello, World!

즉, snap으로 설치한 dotnet의 경우 (snap 내에 설치된 바이너리인) /snap/bin/dotnet은 스스로 시스템에 설치된 닷넷 런타임/SDK를 열거할 수 있지만, 독립 실행형 모듈로 빌드한 .NET 애플리케이션은 snap 내에 설치된 .NET 런타임을 찾지 못하는 것입니다.




정리해 보면... 그냥 snap으로 닷넷 런타임/SDK는 설치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32정성태1/10/200726177Windows: 13. InitOnceExecuteOnce API 소개 [5]
431정성태1/8/200723625Windows: 12. 비스타는 안전한 윈도우인가? [2]
430정성태1/7/200729848웹: 6. IIS 7 마이그레이션 정리 - Sysnet
427정성태12/30/200620174Team Foundation Server: 14. VS.NET IDE에 통합된 TFS Annotate [1]
425정성태12/29/200624240Windows: 11. Vista IIS 7(Integrated mode)에서의 ASP.NET F5 디버깅 방법
424정성태12/29/200622387기타: 16. 첫걸음 [2]
426정성태12/30/200620914    답변글 기타: 16.1. 예외 발생
420정성태12/27/200625765Windows: 10. Internet Explorer 7.0 호환성 백서 (Word 문서, 1.92MB) [7]파일 다운로드1
419정성태12/25/200627401Windows: 9. VS.NET 2005 원격 디버깅 구성
418정성태12/25/200635529웹: 5. IIS 7에서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 사용 시 주의점 [2]
417정성태12/24/200627873Windows: 8. VS.NET 2005에서의 웹 애플리케이션 디버깅 설정
416정성태1/31/200727982오류 유형: 23. MSI 설치 시 로그 파일 생성하는 레지스트리 설정 [3]
415정성태12/31/200631751개발 환경 구성: 20. 인증서 오류 체크 목록
413정성태12/20/200628577VC++: 26. volatile 키워드 [1]파일 다운로드1
412정성태12/17/200632621오류 유형: 22. VS.NET 2005 SP1 설치 도중 오류 [9]
411정성태12/16/200621625오류 유형: 21.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2) - KB919156 패치 이후 TFS 접근 문제
410정성태12/16/200622831오류 유형: 20.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1) - KB919156 패치
408정성태12/10/200625134Windows: 7. USB 드라이브 내용 암호화
407정성태12/10/200622433오류 유형: 19. Vista 에서의 VS.NET 2005 로 개발한 어셈블리에 대한 서명 확인 오류
406정성태12/10/200627289Windows: 6. IE 7 검색 공급자 - 영한 사전
403정성태12/6/200634464Windows: 5. Vista 와 웹 인증 등록 서비스의 문제 [5]
402정성태12/11/200625463Windows: 4. Vista 설치 후기 [1]
409정성태12/11/200629508    답변글 Windows: 4.1. Vista 설치 후기 - 두 번째 이야기 [3]
396정성태2/13/200732103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393정성태11/8/200621597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371정성태10/23/200620911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