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41.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28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968. snap으로 설치한 "dotnet run" 실행 시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3967

닷넷: 2341.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969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NET 설치 문서에는 snap에 대한 것도 나오는데요,

Install .NET SDK with Snap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install/linux-snap-sdk

실제로 해 보면 이게 문제가 좀 있습니다. 이미 지난 글에서도 symbol 풀이가 안 되는 문제를 설명했는데요, 이번에는 Windows 11 + Ubuntu 22.04 WSL 초기 환경을 구성해 snap으로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 snap list
No snaps are installed yet. Try 'snap install hello-world'.

시작해 봤습니다. 일단 여기서 dotnet-sdk를 설치했더니 2개가 더 설치되는군요. ^^

$ sudo snap install dotnet-sdk --classic
2025-07-16T23:51:12+09:00 INFO Waiting for automatic snapd restart...
dotnet-sdk 8.0.407 from Canonical✓ installed

$ snap list
Name        Version   Rev    Tracking       Publisher   Notes
core20      20250526  2599   latest/stable  canonical✓  base
dotnet-sdk  8.0.407   256    latest/stable  canonical✓  classic
snapd       2.70      24792  latest/stable  canonical✓  snapd

그리고 기본 예제를 생성하고 실행하면,

$ mkdir testapp
$ cd testapp
$ dotnet new console

$ dotnet run
$

$ ./bin/Debug/net8.0/testapp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
$

아무런 출력이 없거나 seg fault가 발생합니다. 대신 dotnet을 이용해 dll을 직접 실행하면,

$ dotnet ./bin/Debug/net8.0/testapp.dll
Hello, World!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그렇다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모듈과의 의존성을 비교해 볼까요?

// sudo apt install pax-utils

$ lddtree /usr/bin/ls
ls => /usr/bin/ls (interpreter => /lib64/ld-linux-x86-64.so.2)
    libselinux.so.1 => /lib/x86_64-linux-gnu/libselinux.so.1
        libpcre2-8.so.0 => /lib/x86_64-linux-gnu/libpcre2-8.so.0
        ld-linux-x86-64.so.2 => /lib64/ld-linux-x86-64.so.2
    libc.so.6 => /lib/x86_64-linux-gnu/libc.so.6

$ lddtree ./bin/Debug/net8.0/testapp
testapp => ./bin/Debug/net8.0/testapp (interpreter =>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libpthread.so.0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pthread.so.0
        ld-linux-x86-64.so.2 =>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libdl.so.2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dl.so.2
    libstdc++.so.6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stdc++.so.6
    libm.so.6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m.so.6
    libgcc_s.so.1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gcc_s.so.1
    libc.so.6 =>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ibc.so.6

역시 이번에도, snap으로 설치한 .NET의 경우 interpreter가 현재 운영체제의 기본 loader가 아닌, snap에서 dotnet-sdk의 의존성으로 설치한 core20의 load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ls -l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lrwxrwxrwx 1 root root 34 May 27 07:13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 ../lib/x86_64-linux-gnu/ld-2.31.so

$ ls -l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d-2.31.so
-rwxr-xr-x 1 root root 191504 Jan 29 23:41 /snap/core20/current/lib/x86_64-linux-gnu/ld-2.31.so

반면 지난번과 다른 점이 있다면, symbol 풀이는 잘 되었다는 점입니다. 혹시나 그럼 patchelf를 이용하면 되지 않을까 싶었는데요,

$ file  ./bin/Debug/net8.0/testapp
./bin/Debug/net8.0/testapp: ELF 64-bit LSB pie executable, x86-64, version 1 (SYSV), dynamically linked, interpreter /snap/core20/current/lib64/ld-linux-x86-64.so.2, BuildID[sha1]=cf6c9629befc4c1d6102c9e9e5c8ca231d88d101, for GNU/Linux 2.6.32, stripped

$ patchelf --set-interpreter /lib64/ld-linux-x86-64.so.2 ./bin/Debug/net8.0/testapp
patchelf: cannot normalize PT_NOTE segment: non-contiguous SHT_NOTE sections

실패하는군요. ^^ 오류 메시지에도 나오지만 SHT_NOTE 섹션이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패치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도 readelf로 확인해 보면,

$ readelf -S ./bin/Debug/net8.0/testapp | grep NOTE
  [ 1] .note.gnu.bu[...] NOTE             000000000000031c  0000031c
  [32] .note.ABI-tag     NOTE             0000000000015eb8  00012eb8

.note.gnu.build-id와 .note.ABI-tag 섹션이 연속적이지 않습니다. 암튼, 이번에도 역시 문제를 해결하려면 apt로부터 .NET SDK를 설치해야 합니다.




재미있는 건, 다른 WSL + Ubuntu 24.04에서 snap으로 설치한 .NET SDK는 문제가 또 달랐다는 점입니다. 그 환경에서는 dotnet run도 잘 동작했지만, 실행 모듈을 직접 구동하면 .NET Runtime을 찾지 못한다는 메시지가 출력됐습니다.

$ which dotnet
/snap/bin/dotnet

$ dotnet run
Hello, World!

$ ./bin/Debug/net8.0/testapp
You must install .NET to run this application.

App: /home/kevin/test/testapp/bin/Debug/net8.0/testapp
Architecture: x64
App host version: 8.0.14
.NET location: Not found

Learn more:
https://aka.ms/dotnet/app-launch-failed

Download the .NET runtime:
https://aka.ms/dotnet-core-applaunch?missing_runtime=true&arch=x64&rid=linux-x64&os=ubuntu.24.04&apphost_version=8.0.14

$ dotnet --list-sdks
8.0.407 [/snap/dotnet-sdk/256/sdk]

$ dotnet --list-runtimes
Microsoft.AspNetCore.App 8.0.14 [/snap/dotnet-sdk/256/shared/Microsoft.AspNetCore.App]
Microsoft.NETCore.App 8.0.14 [/snap/dotnet-sdk/256/shared/Microsoft.NETCore.App]

문서에 보면,

2. Export the install loca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install/linux-snap-sdk#2-export-the-install-location

snap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DOTNET_ROOT 환경 변수가 설정되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apt로 설치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설정되지 않습니다. 단지 차이점이라면 apt 설치의 경우 (/etc/profile.d/dotnet.sh에 의해) "~/.dotnet/tools" 디렉터리가 PATH 환경 변수에 추가되는 정도입니다.

어쨌든, 위에서처럼 단지 .NET runtime을 찾지 못하는 경우라면 DOTNET_ROOT 설정을 통해 해결할 수는 있습니다.

$ DOTNET_ROOT=/snap/dotnet-sdk/current ./bin/Debug/net8.0/testapp
Hello, World!

즉, snap으로 설치한 dotnet의 경우 (snap 내에 설치된 바이너리인) /snap/bin/dotnet은 스스로 시스템에 설치된 닷넷 런타임/SDK를 열거할 수 있지만, 독립 실행형 모듈로 빌드한 .NET 애플리케이션은 snap 내에 설치된 .NET 런타임을 찾지 못하는 것입니다.




정리해 보면... 그냥 snap으로 닷넷 런타임/SDK는 설치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48정성태8/12/201822971사물인터넷: 21. 퓨즈를 이용한 회로 보호파일 다운로드3
11647정성태8/8/201825178오류 유형: 476. 음수의 음수는 여전히 음수가 되는 수(절대값이 음수인 수)
11646정성태8/8/201819311오류 유형: 475. gacutil.exe 실행 시 "Failure initializing gacutil" 오류 발생
11645정성태8/8/201822451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1]
11644정성태8/6/201825826디버깅 기술: 118. windbg - 닷넷 개발자를 위한 MEX Debugging Extension 소개
11643정성태8/6/201825629사물인터넷: 20.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R3 호환 보드의 3.3v 핀의 LED 전압/전류 테스트 [1]파일 다운로드1
11642정성태8/3/201823122Graphics: 20. Unity - LightMode의 ForwardBase에 따른 _WorldSpaceLightPos0 값 변화
11641정성태8/3/201828764Graphics: 19.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0) - 빌보드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1640정성태8/3/201825733Graphics: 18.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Position, Rotation, Scale 값을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9정성태8/2/201823915디버깅 기술: 117.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을 참조하는 방법
11638정성태8/2/201822436오류 유형: 47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 참조 시 "Resolved file has a bad image, no metadata, or is otherwise inaccessible." 빌드 오류
11637정성태8/1/201826948Graphics: 17.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TRS(이동/회전/크기) 행렬로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6정성태8/1/201833471Graphics: 16. 3D 공간에서 두 점이 이루는 각도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11635정성태8/1/201822787오류 유형: 472. C# 컴파일 오류 - Your project is not referencing the ".NETFramework,Version=v3.5" framework.
11634정성태8/1/201826423.NET Framework: 790. .NET Thread 상태가 Cooperative일 때 GC hang 현상 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3정성태7/29/201828299Graphics: 15. Unity - shader의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를 수작업으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11632정성태7/28/201831910Graphics: 14. C# - Unity에서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위치 이동 및 회전하는 방법
11631정성태7/27/201833097Graphics: 1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9) - 투명 배경이 있는 텍스처 입히기 [1]
11630정성태7/27/201828472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3]
11629정성태7/26/201828137.NET Framework: 789. C# 컴파일 옵션 - Check for arithmetic overflow/underflow [2]
11628정성태7/25/201828739Graphics: 1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8) - 다중 패스(Multi-Pass Shader)
11627정성태7/25/201823430개발 환경 구성: 390. C# - 컴파일러 옵션 OSS signing / Public Signing
11626정성태7/25/201821510오류 유형: 471. .C++ 함수를 const로 바꾼 경우 C2440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11625정성태7/24/201821073Math: 49. GeoGebra 기하 (25) - 타원의 중심점 찾기파일 다운로드1
11624정성태7/24/201826216개발 환경 구성: 389. C# - 재현 가능한 빌드(reproducible builds) == Deterministic builds [4]
11623정성태7/24/201825606Math: 48. C# - 가우시안 함수의 이산형(discrete) 커널 값 생성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