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856. dockerfile - 구 버전의 .NET Core 이미지 사용 시 apt update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3331

오류 유형: 971.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 https://www.sysnet.pe.kr/2/0/13981

오류 유형: 983. apt update 시 "The repository 'http://deb.debian.org/debian buster Release' does not have a Release file."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4010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근래에 CentOS 7 버전을 쓰시는 분은 거의 없을 테지만, ^^ 어쨌든 docker 컨테이너 내에서 사용하려고 구성했더니,

$ cat centos7.dockerfile
FROM centos:7

RUN yum install openssh-server -y

$ docker build -f ./centos7.dockerfile . -t centos7_dotnet_img

yum install 단계에서 실패합니다. 보니까, 독립적으로 실행해도 이런 결과와 함께 종료되는데요,

# yum install openssh-server
Loaded plugins: fastestmirror, ovl
Determining fastest mirrors
Could not retrieve mirrorlist 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7&arch=x86_64&repo=os&infra=container error was
14: curl#6 -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생략]...

검색해 보면, CentOS 7의 repo를 변경해야 한다고 합니다.

Linux) CentOS 7 EOS에 따른 yum repo 변경
; https://developer-woong.tistory.com/112

따라서, 위의 글을 참고해 repo 파일을 하나 작성하고,

$ cat centos7.repo
[base]
name=CentOS-$releasever - Base
# original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os&infra=$infra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os/$basearch/
# new
baseurl=http://centos.mirror.cdnetworks.com/7/os/x86_64
gpgcheck=1
enabled=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released updates
[updates]
name=CentOS-$releasever - Updates
# original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updates&infra=$infra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updates/$basearch/
# new
baseurl=http://centos.mirror.cdnetworks.com/7/updates/x86_64
gpgcheck=1
enabled=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additional packages that may be useful
[extras]
name=CentOS-$releasever - Extras
# original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extras&infra=$infra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extras/$basearch/
# new
baseurl=http://centos.mirror.cdnetworks.com/7/extras/x86_64
gpgcheck=0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additional packages that extend functionality of existing packages
[centosplus]
name=CentOS-$releasever - Plus
# original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centosplus&infra=$infra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centosplus/$basearch/
# new
baseurl=http://centos.mirror.cdnetworks.com/7/centosplus/x86_64
gpgcheck=1
enabled=0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7

이걸 사용하도록 Dockerfile을 수정합니다.

$ cat centos7.dockerfile
FROM centos:7

COPY ./centos7.repo /etc/yum.repos.d/CentOS-Base.repo

RUN yum install openssh-server -y




위의 문제는 CentOS 7을 처음 설치하는 경우 더 난감해집니다. 왜냐하면, 저런 이유로 인해 yum repo가 접근을 못하게 되면서 아무런 업데이트도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네트워크 설정도 제대로 못한 상태로 시작하는데요, 따라서 우선 다음과 같이 IP/Gateway/DNS부터 설정해야 합니다.

// 가정: IP 192.168.100.50/24, gateway 192.168.100.1 

$ sudo ip addr add 192.168.100.50/255.255.255.0 dev eth0

$ sudo ip route add default via 192.168.100.1 dev eth0

$ cat /etc/resolv.conf
nameserver 8.8.8.8
nameserver 8.8.4.4

그다음 /etc/yum.repos.d/CentOS-Base.repo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데요, 상황에 따라서는 위의 텍스트 내용을 그대로 입력해야 하지만, 매우 번거로울 수 있으니 로컬 네트워크 중에 http 서버가 있는 곳에 저 파일을 두고 curl을 이용해 다운로드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 cd /etc/yum.repos.d
$ sudo curl -O http://192.168.100.25/CentOS-Base.txt
$ mv CentOS-Base.txt CentOS-Base.repo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2/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460정성태11/26/202313983닷넷: 2172. .NET 6+ 기반의 COM Server 내에 Type Library를 내장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59정성태11/26/202315295닷넷: 2171. .NET Core 3/5+ 기반의 COM Server를 기존의 regasm처럼 등록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58정성태11/26/202315593닷넷: 2170. .NET Core/5+ 기반의 COM Server를 tlb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tlbexp)
13457정성태11/25/202314135VS.NET IDE: 187. Visual Studio - 16.9 버전부터 추가된 "Display inline type hints" 옵션
13456정성태11/25/202315943닷넷: 2169. C# - OpenAI를 사용해 PDF 데이터를 대상으로 OpenAI 챗봇 작성 [1]파일 다운로드1
13455정성태11/25/202315544닷넷: 2168. C# - Azure.AI.OpenAI 패키지로 OpenAI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454정성태11/23/202316001닷넷: 2167. C# - Qdrant Vector DB를 이용한 Embedding 벡터 값 보관/조회 (Azure OpenAI) [2]파일 다운로드1
13453정성태11/23/202312443오류 유형: 879. docker desktop 설치 시 "Invalid JSON string. (Exception from HRESULT: 0x83750007)"
13452정성태11/22/202313664닷넷: 2166. C# - Azure OpenAI API를 이용해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51정성태11/21/202313825닷넷: 2165. C# - Azure OpenAI API를 이용해 ChatGPT처럼 동작하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 제작파일 다운로드1
13450정성태11/21/202313930닷넷: 2164. C# - Octokit을 이용한 GitHub Issue 검색파일 다운로드1
13449정성태11/21/202314434개발 환경 구성: 688. Azure OpenAI 서비스 신청 방법
13448정성태11/20/202312919닷넷: 2163. .NET 8 - Dynamic PGO를 결합한 성능 향상파일 다운로드1
13447정성태11/16/202314076닷넷: 2162. ASP.NET Core 웹 사이트의 SSL 설정을 코드로 하는 방법
13446정성태11/16/202315198닷넷: 2161. .NET Conf 2023 - Day 1 Blazor 개요 정리
13445정성태11/15/202316709Linux: 62. 리눅스/WSL에서 CA 인증서를 저장하는 방법
13444정성태11/15/202315661닷넷: 2160. C# 12 - Experimental 특성 지원
13443정성태11/14/202314206개발 환경 구성: 687. OpenSSL로 생성한 사용자 인증서를 ASP.NET Core 웹 사이트에 적용하는 방법
13442정성태11/13/202313388개발 환경 구성: 686. 비주얼 스튜디오로 실행한 ASP.NET Core 사이트를 WSL 2 인스턴스에서 https로 접속하는 방법
13441정성태11/12/202314589닷넷: 2159. C# - ASP.NET Core 프로젝트에서 서버 Socket을 직접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40정성태11/11/202312565Windows: 253. 소켓 Listen 시 방화벽의 Public/Private 제어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13439정성태11/10/202314790닷넷: 2158. C# - 소켓 포트를 미리 시스템에 등록/예약해 사용하는 방법(Port Exclusion Ranges)파일 다운로드1
13438정성태11/9/202315795닷넷: 2157. C# - WinRT 기능을 이용해 윈도우에서 실행 중인 Media App 제어
13437정성태11/8/202316030닷넷: 2156. .NET 7 이상의 콘솔 프로그램을 (dockerfile 없이) 로컬 docker에 배포하는 방법
13436정성태11/7/202316009닷넷: 2155. C# - .NET 8 런타임부터 (Reflection 없이) 특성을 이용해 public이 아닌 멤버 호출 가능
13435정성태11/6/202313536닷넷: 2154. C# - 네이티브 자원을 포함한 관리 개체(예: 스레드)의 GC 정리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