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비주얼 스튜디오 업데이트 시 잠김 파일 경고 - Visual Studio Standard Collector Service 150 (VSStandardCollectorService150)

비주얼 스튜디오를 업데이트하면 종종 특정 EXE가 종료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보게 됩니다.

Save your work before continuing. We need to close the following process:
 * Visual Studio Standard Collector Service 150 (VSStandardCollectorService150)

Select Continue to save its current state, close it, and restart it if it is a non-elevated process when the installation is done.

공식 문서를 보면 종료를 하라고 나오는데요,

The Visual Studio update deployed via Configuration Manager fails to install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developer/visualstudio/installation/update-deployed-via-configuration-manager-fails-install

문제는, 강제 종료를 위해 작업 관리자를 열어봐도 어떤 프로세스인지 잘 모르겠다는 점입니다. 대신 검색을 해보면 일단 이 글에서 겪은 "VSStandardCollectorService150" 프로세스 명은 찾을 수 있습니다.

"Unable to start Standard Collector" after installing version 16.7.1
; https://developercommunity.visualstudio.com/t/unable-to-start-standard-collector-after-installin/1151090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Shared\Common\DiagnosticsHub.Collection.Service\StandardCollector.Service.exe

따라서 StandardCollector.Service.exe 프로세스를 찾아 강제 종료 시킨 후 비주얼 스튜디오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9/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17정성태3/10/201642038.NET Framework: 558. WPF - ICommand 동작 방식 [9]파일 다운로드1
10916정성태3/9/201630326.NET Framework: 557. 머신 바이트 배열로부터 역어셈블해주는 라이브러리 - Udis86 Assembler파일 다운로드2
10915정성태3/9/201624741오류 유형: 323. FatalExecutionEngineError was detected
10914정성태3/8/201628273오류 유형: 322. 정적 라이브러리 참조 시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 referenced in function"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0913정성태3/7/201627732.NET Framework: 556. C#으로 다루는 MBR(Master Boot Record) [9]파일 다운로드1
10912정성태3/2/201623455.NET Framework: 555. List<T>의 Resize 메서드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0911정성태2/29/201627523Math: 15. 그래프 그리기로 알아보는 뉴턴-랩슨(Newton-Raphson's method)법과 제곱근 구하기 - C#파일 다운로드1
10910정성태2/29/201629742Math: 14. HTML에서 수학 관련 기호/수식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 - MathJax.js - 두 번째 이야기 [5]
10909정성태2/25/201627911기타: 56. ETW provider 목록 [3]
10908정성태2/25/201623766기타: 55. ETW man 파일 목록
10907정성태2/24/201623773.NET Framework: 554. 인터프리터 - 재귀적 하향 구문 분석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06정성태2/24/201621040.NET Framework: 553. C# 관리 코드에서 IMetaDataDispenserEx, IMetaDataImport 관련 인터페이스를 얻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905정성태2/24/201624700오류 유형: 321. Hyper-V The operation failed with error code '32791'.
10904정성태2/23/201622291.NET Framework: 552. 인터프리터 - 역폴란드 표기법을 이용한 식의 분석 -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03정성태2/22/201622668.NET Framework: 551. 인터프리터 어휘 분석 프로그램 -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02정성태2/22/201622886.NET Framework: 550. GetFunctionPointer 호출 시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예외 발생
10901정성태2/20/201626368.NET Framework: 549. ContextBoundObject 상속 클래스와 System.Reflection.ReflectionTypeLoadException 예외 [4]파일 다운로드1
10900정성태2/19/201625376.NET Framework: 548. Linq는 결국 메서드 호출! [3]파일 다운로드1
10899정성태2/17/201626795개발 환경 구성: 282. kernel32.dll, kernel32legacy.dll, api-ms-win-core-sysinfo-l1-2-0.dll [1]
10898정성태2/17/201624513.NET Framework: 547.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 지정 시 주의 사항파일 다운로드1
10897정성태2/17/201624313디버깅 기술: 76. windbg 분석 사례 - 닷넷 프로파일러의 GC 콜백 부하
10896정성태2/17/201624212오류 유형: 320. FATAL: 28000: no pg_hba.conf entry for host "fe80::1970:8120:695:a41e%12"
10895정성태2/17/201623361.NET Framework: 546. System.AppDomain으로부터 .NET Profiler의 AppDomainID 구하는 방법 [1]
10894정성태2/17/201623412오류 유형: 319. Visual Studio에서 찾기는 성공하지만 해당 소스 코드 정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0893정성태2/16/201622469.NET Framework: 545. 닷넷 - 특정 클래스가 로드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을까? - 두 번째 이야기
10892정성태2/16/201623010오류 유형: 318. 탐색기에서 폴더 생성/삭제 시 몇 초 동안 멈추는 현상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