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QL Server - User, group, or role '...' already exists in the current databas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5023)

DB 파일(mdf/ldf)을 직접 복사해 SQL Server에 (Attach로) 등록하면, 해당 DB에 등록된 사용자가 /Security/Users 수준에 함께 나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그 사용자로는 로그인이 안 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DB가 아닌) SQL Server 수준에서 사용자를 새롭게 등록해야 하는데요, 이것도 나름대로의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령, DB에 이미 "default902"라는 사용자가 등록돼 있다고 가정할 때, SQL Server 수준에서 이 사용자를 새로 생성한 후 "User Mapping"을 대상 DB로 설정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Create failed for User 'default902'.  (Microsoft.SqlServer.Smo)

For help, click: https://go.microsoft.com/fwlink?ProdName=Microsoft+SQL+Server&ProdVer=16.100.41011.9+(SqlManagementObjects-master-APPLOCAL)&EvtSrc=Microsoft.SqlServer.Management.Smo.ExceptionTemplates.FailedOperationExceptionText&EvtID=Create+User&LinkId=20476

ADDITIONAL INFORMATION:

An exception occurred while executing a Transact-SQL statement or batch. (Microsoft.SqlServer.ConnectionInfo)

User, group, or role 'default902' already exists in the current databas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5023)

For help, click: http://go.microsoft.com/fwlink?ProdName=Microsoft%20SQL%20Server&ProdVer=15.00.2000&EvtSrc=MSSQLServer&EvtID=15023&LinkId=20476

오류 메시지에도 나오듯이 동일한 사용자가 DB에 이미 등록돼 있다는 건데요, 그래서 DB 수준의 /Security/Users에 등록된 사용자를 삭제하려고 하면 이번엔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Drop failed for User 'default902'.  (Microsoft.SqlServer.Smo)

For help, click: https://go.microsoft.com/fwlink?ProdName=Microsoft+SQL+Server&ProdVer=16.100.41011.9+(SqlManagementObjects-master-APPLOCAL)&EvtSrc=Microsoft.SqlServer.Management.Smo.ExceptionTemplates.FailedOperationExceptionText&EvtID=Drop+User&LinkId=20476

ADDITIONAL INFORMATION:

An exception occurred while executing a Transact-SQL statement or batch. (Microsoft.SqlServer.ConnectionInfo)

The database principal owns a schema in the database, and cannot be dropped. (Microsoft SQL Server, Error: 15138)

For help, click: http://go.microsoft.com/fwlink?ProdName=Microsoft%20SQL%20Server&ProdVer=15.00.2000&EvtSrc=MSSQLServer&EvtID=15138&LinkId=20476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요,

The database principal owns a schema in the database, and cannot be dropped message
; https://dba.stackexchange.com/questions/19456/the-database-principal-owns-a-schema-in-the-database-and-cannot-be-dropped-mess

SSMS로 해당 DB 문맥에서 SQL Query 창을 열고 다음의 쿼리를 실행하면 (실제로는 SYS.database_principals 테이블의 name 필드에 해당하는) "the schema owner" 필드의 값이 "default902"로 설정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LECT S.*, [the schema owner]=dp.name, dp.type_desc
FROM SYS.schemas S
INNER JOIN SYS.database_principals dp ON S.principal_id = dp.principal_id
where S.name='db_owner'

/* 실행 결과
name		schema_id	principal_id	the schema owner	type_desc
db_owner	16384		5		default902	        SQL_USER
*/

이 상태에서 db_owner를 사용자(default902)에서 dbo로 바꿔주면,

alter authorization
on schema::db_owner
to dbo
go

/* 실행 후 "the schema owner" 확인
name		schema_id	principal_id	the schema owner	type_desc
db_owner	16384		5		dbo			SQL_USER
*/

이제 사용자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drop user default902
go

이후에는, SQL 서버 수준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으로 "User Mapping"을 해당 DB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간혹 이런 작업을 할 때마다 매번 궁금했던 것인데, DB에 등록된 사용자가 그대로 로그인까지 할 수 있게 했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은데 왜 이런 식으로 반드시 SQL 서버 수준의 사용자 계정을 새로 등록하게 만드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제가 모르는 뭔가 다른 방법이 있는 것일까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2/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63정성태11/21/201923130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21380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21316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24420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24031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24276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18739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26261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20072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054정성태11/15/201921593.NET Framework: 869. C# - 일부러 GC Heap을 깨뜨려 GC 수행 시 비정상 종료시키는 예제
12053정성태11/15/201921721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20632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12051정성태11/14/201926240개발 환경 구성: 462.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 - procdump [1]
12050정성태11/14/201923520Windows: 165. AcLayers의 API 후킹과 FaultTolerantHeap
12049정성태11/13/201923869.NET Framework: 868. (닷넷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디버거 방식이 아닌 CLR Profiler를 이용해 procdump.exe 기능 구현
12048정성태11/12/201922941Windows: 164. GUID 이름의 볼륨에 해당하는 파티션을 찾는 방법
12047정성태11/12/201925756Windows: 163. 안전하게 eject시킨 USB 장치를 물리적인 재연결 없이 다시 인식시키는 방법
12046정성태10/29/201919324오류 유형: 577. windbg - The call to LoadLibrary(...\sos.dll) failed, Win32 error 0n193
12045정성태10/27/201920560오류 유형: 576.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 두 번째 이야기
12044정성태10/27/201918943오류 유형: 575. mstest.exe - System.Resources.MissingSatelliteAssemblyException: The satellite assembly named "Microsoft.VisualStudio.ProductKeyDialog.resources.dll, ..."
12043정성태10/27/201921533오류 유형: 574. Windows 10 설치 시 오류 - 0xC1900101 - 0x4001E
12042정성태10/26/201919940오류 유형: 573. OneDrive 하위에 위치한 Documents, Desktop 폴더에 대한 권한 변경 시 "Unable to display current owner"
12041정성태10/23/201922481오류 유형: 572. mstest.exe - The load test results database could not be opened.
12040정성태10/23/201923201오류 유형: 571.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Mail.SmtpException: Transaction failed. The server response was: 5.2.0 STOREDRV.Submission.Exception:SendAsDeniedException.MapiExceptionSendAsDenied
12039정성태10/22/201918897스크립트: 16. cmd.exe의 for 문에서는 ERRORLEVEL이 설정되지 않는 문제
12038정성태10/17/201920394오류 유형: 570. SQL Server 2019 RC1 - SQL Client Connectivity SDK 설치 오류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