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닷넷: 2342. C# 14 - (취소된 글)
; https://www.sysnet.pe.kr/2/0/13970

닷넷: 2343. C# 14 - (1) 속성 구문에서 문맥 키워드로 추가되는 field 예약어
; https://www.sysnet.pe.kr/2/0/13971

닷넷: 2346. C# 14 - (2) Span 타입과 배열 간의 암시적 형변환
; https://www.sysnet.pe.kr/2/0/13974

닷넷: 2347. C# 14 - (3) 형식 인자가 없는 제네릭 타입의 nameof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3975

닷넷: 2349. C# 14 - (4) 문자열 리터럴을 utf-8 인코딩으로 저장
; https://www.sysnet.pe.kr/2/0/13977

닷넷: 2350. C# 14 - (5) 람다 매개 변수에 접근자가 있는 경우에도 타입 생략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3986

닷넷: 2351. C# 14 - (6) event와 생성자에도 partial 메서드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3987

닷넷: 2354. C# 14 - (7) 확장 메서드에 정적 메서드와 속성 지원을 위한 전용 구문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998

닷넷: 2355. C# 14 - (8) null 조건부 연산자 개선 - 대입문에도 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3999




C# 14 - (8) null 조건부 연산자 개선 - 대입문에도 사용 가능

이번 구문도 간단하게 살펴볼 수 있군요. ^^

[Proposal]: Null conditional assignment #8677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issues/8677

Null-conditional assignment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whats-new/csharp-14#null-conditional-assignment

C# 6부터 제공하던 null 조건부 연산자(?.)를 혹시 기억하시나요? ^^ 이 문법을 이용하면 굳이 null 체크를 하지 않아도 멤버에 접근할 수 있었는데요,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Person? p = null;
            FillName(p);
            PrintName(p); // null이므로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음
        }

        {
            Person p = new Person();
            FillName(p);
            PrintName(p); // 출력: "MyClass: 홍길동"
        }
    }

    static void FillName(Person? p)
    {
        p?.SetName("홍길동");

        // 위의 코드는 다음과 같이 펼쳐집니다.
        // if (p != null)
        // {
        //     p.SetName("홍길동");
        // }
    }

    static void PrintName(Person? p)
    {
        Console.WriteLine(p?.Name);
        // 또는 필드 접근도 가능
        // Console.WriteLine(p?.name);

        // 위의 코드는 다음과 같이 펼쳐집니다.
        // string? text = null;
        // if (p != null)
        // {
        //     text = p.Name; // 또는 p.name;
        // }
        // Console.WriteLine(text);
    }
}

class Person
{
    public string name = string.Empty;

    public string Name
    {
        get => name;
        set => name = valu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return $"MyClass: {Name}";
    }
}

그런데, 여기에는 특별한 제약이 하나 있었습니다. 위에서 보듯이 메서드 호출이나 프로퍼티의 getter, 필드의 읽기 접근은 가능한 반면, 프로퍼티의 setter 호출 또는 필드에 값을 할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static void FillName(Person? p)
{
    p?.SetName("Doe"); // 정상 동작

    // C# 13까지 컴파일 오류
    p?.Name = "Doe"; // 컴파일 오류 (속성의 setter는 null 조건부 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음)
    p?.name = "Doe"; // 컴파일 오류 (필드의 할당은 null 조건부 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음)
}

왜 이런 제약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C# 14부터는 null 조건부 할당(null conditional assignment)이라는 새로운 평가 방식이 도입되면서 저 2개의 제약이 사라졌습니다.

static void FillName(Person? p)
{
    p?.SetName("Doe");

    // C# 14부터 컴파일 가능
    p?.Name = "Doe"; // 속성 대입에도 널 조건부 연산자 사용 가능
    p?.name = "Doe"; // 필드 대입에도 널 조건부 연산자 사용 가능
}

어찌 보면, 저런 제약을 한 번도 경험해 본 적이 없는 분이라면 이걸 신규 기능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널 조건부 연산자라는 본연의 뜻 그대로 기억해도 무방할 듯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0정성태11/28/201240165.NET Framework: 346. 닷넷 개발자에게 Node.js의 의미 [17]
1379정성태11/26/201233580.NET Framework: 345. C# 부호(+, -)에 대한 비트 변환 [1]
1378정성태11/22/201234464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1377정성태11/19/201228671.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
1376정성태11/15/201233412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
1375정성태11/15/201228939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374정성태11/13/201226794개발 환경 구성: 175. Visual Studio의 "Extension Manager"에서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되었다면!
1373정성태11/13/201227305.NET Framework: 343. VB.NET 어셈블리의 .NET Reflector 소스 코드를 분석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항
1372정성태11/1/2012122040Windows: 67.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 [57]
1371정성태10/31/201230472.NET Framework: 342. Python의 zip과 with 문 context를 C#과 비교하면. [3]파일 다운로드1
1370정성태10/31/201225059VS.NET IDE: 75. Visual Studio - "Active Solution Platform" 변경을 툴바에서 하는 방법
1369정성태10/31/201238148개발 환경 구성: 174. 윈도우에서 Mono 개발 환경 구성 [4]
1368정성태10/31/201230186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1367정성태10/30/201237455개발 환경 구성: 172. IIS 7.5부터 지원되는 웹 사이트 자동 시작 모드 [1]
1366정성태10/24/201229099개발 환경 구성: 171. GTK+를 윈도우 환경에 수작업 설치
1365정성태10/24/201227700개발 환경 구성: 170. 우분투 데스크톱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2]
1364정성태10/19/201224485Windows: 66. Hyper-V 2012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를 이용한 Live Migration
1363정성태10/16/201232104개발 환경 구성: 169. Objective-C의 대안 - Xamarin의 Mono를 이용한 C# iOS 개발 환경 [2]
1362정성태10/16/201232304개발 환경 구성: 168. 우분투 서버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1361정성태10/12/201225606.NET Framework: 341. .NET COM+ 를 Managed/Native 클라이언트에서 각각 호출했을 때의 콜 스택 비교 [4]파일 다운로드1
1360정성태10/9/201230216.NET Framework: 340. Windows Server 2012 - .NET Framework 1.x 미지원
1359정성태10/9/201266274Windows: 65. 윈도우 8 - Internet Explorer 10을 32비트 또는 64비트로 통합 [5]
1358정성태9/27/201229594.NET Framework: 339. .NET Profiler 주의 사항 - 하나의 exe 프로세스 내에 다중 .NET 런타임 사용
1357정성태9/27/201226331Windows: 64. Hyper-V - Windows XP의 Live Migration 오류
1356정성태9/26/201232467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6]
1355정성태9/21/201230786Team Foundation Server: 49. TFS 2012 Express의 필수 보완 작업: 데이터베이스 백업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