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희한하군요, 분명히 파일이 있는데도,

$ cat Dockerfile
FROM ubuntu:24.04

$ docker build -f Dockerfile -t ubuntu24_dotnet_img .
[+] Building 2.0s (1/1) FINISHED                                                                                                                                 docker:default
 => [internal] load build definition from Dockerfile                                                                                                                       0.4s
 => => transferring dockerfile: 2B                                                                                                                                         0.0s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저렇게 Dockerfile을 열 수 없다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혹시나 권한이나 인자에 뭔가 오류가 있을까 싶어 조정해 봐도,

$ chmod 777 Dockerfile

// 또는 이렇게 실행해도,
$ docker build .

오류는 그대로였습니다.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Docker build can't find Dockerfile even when it's the only file in the folder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8022884/docker-build-cant-find-dockerfile-even-when-its-the-only-file-in-the-folder

다행히 redirection을 이용한 우회 방법이 하나 나옵니다. ^^

$ docker build - < Dockerfile

진짜로 저렇게 하면 ^^; docker build가 잘됩니다.




위의 stackoverflow 답변에 보면 의미 있는 대답이 하나 있는데요,

I had to uninstall snap docker completely and install docker properly as described in the answer here

저도 해당 머신에 "snap install docker"로 설치한 유형이었습니다. 귀찮아서 저는 제거 및 다른 방법으로 설치하지는 않았지만, 예전에 닷넷도 snap으로 설치한 경우 이상하게 동작했던 경험에 비춰볼 때 아마도 snap과 관련되면서 뭔가 환경적인 요인에서 틀어지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49정성태6/18/202410411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11966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13404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11046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10568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12180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10756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10256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11572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3640정성태6/10/202412424Phone: 21. C# MAUI - Android 환경에서의 파일 다운로드(DownloadManager)
13639정성태6/8/202411588오류 유형: 906. C# MAUI - Android Emulator에서 "Waiting For Debugger"로 무한 대기
13638정성태6/8/202411890오류 유형: 905. C# MAUI - 추가한 layout XML 파일이 Resource.Layout 멤버로 나오지 않는 문제
13637정성태6/6/202410387Phone: 20. C# MAUI - 유튜브 동영상을 MediaElement로 재생하는 방법
13636정성태5/30/202410053닷넷: 2264. C# - 형식 인자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네릭 타입으로의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635정성태5/29/202412295Phone: 19. C# MAUI - 안드로이드 "Share" 대상으로 등록하는 방법
13634정성태5/24/202413096Phone: 18. C# MAUI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Activity 제어 [1]
13633정성태5/22/202412359스크립트: 64. 파이썬 - A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13632정성태5/20/202410501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13631정성태5/19/202411910Phone: 16. C# MAUI - /Download 등의 공용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방법 [1]
13630정성태5/19/202410578닷넷: 2263. C# - Thread가 Task보다 더 빠르다는 어떤 예제(?)
13629정성태5/18/202411223개발 환경 구성: 710.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
13628정성태5/17/202410455개발 환경 구성: 709. Windows - WHPX(Windows Hypervisor Platform)를 이용한 Android Emulator 가속
13627정성태5/17/202410621오류 유형: 904. 파이썬 - UnicodeEncodeError: 'ascii' codec can't encode character '...' in position ...: ordinal not in range(128)
13626정성태5/15/202412549Phone: 15. C# MAUI - MediaElement Source 경로 지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25정성태5/14/202411172닷넷: 2262. C# - Exception Filter 조건(when)을 갖는 catch 절의 IL 구조
13624정성태5/12/202410754Phone: 14. C# - MAUI에서 MediaElement 사용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