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979.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 https://www.sysnet.pe.kr/2/0/14000

Linux: 121. Linux - snap 패키지 관리자로 설치한 소프트웨어의 디렉터리 접근 제한
; https://www.sysnet.pe.kr/2/0/14006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2025-08-26 업데이트) 이번 글의 원인은 "Linux - snap 패키지 관리자로 설치한 소프트웨어의 디렉터리 접근 제한" 때문입니다.




희한하군요, 분명히 파일이 있는데도,

$ cat Dockerfile
FROM ubuntu:24.04

$ docker build -f Dockerfile -t ubuntu24_dotnet_img .
[+] Building 2.0s (1/1) FINISHED                                                                                                                                 docker:default
 => [internal] load build definition from Dockerfile                                                                                                                       0.4s
 => => transferring dockerfile: 2B                                                                                                                                         0.0s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저렇게 Dockerfile을 열 수 없다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혹시나 권한이나 인자에 뭔가 오류가 있을까 싶어 조정해 봐도,

$ chmod 777 Dockerfile

// 또는 이렇게 실행해도,
$ docker build .

오류는 그대로였습니다.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Docker build can't find Dockerfile even when it's the only file in the folder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8022884/docker-build-cant-find-dockerfile-even-when-its-the-only-file-in-the-folder

다행히 redirection을 이용한 우회 방법이 하나 나옵니다. ^^

$ docker build - < Dockerfile

진짜로 저렇게 하면 ^^; docker build가 잘됩니다.




위의 stackoverflow 답변에 보면 의미 있는 대답이 하나 있는데요,

I had to uninstall snap docker completely and install docker properly as described in the answer here

저도 해당 머신에 "snap install docker"로 설치한 유형이었습니다. 귀찮아서 저는 제거 및 다른 방법으로 설치하지는 않았지만, 예전에 닷넷도 snap으로 설치한 경우 이상하게 동작했던 경험에 비춰볼 때 아마도 snap과 관련되면서 뭔가 환경적인 요인에서 틀어지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참고로 docker를 수작업으로 설치하는 것은 공식 문서에 잘 나와 있습니다.

Install Docker Engine on Ubuntu
; 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ubuntu/

이를 위해 일단 snap으로 설치한 docker를 제거하고,

$ sudo snap remove docker

만약 기존에 설치한 docker 구 버전이 있다면 이렇게 제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for pkg in docker.io docker-doc docker-compose docker-compose-v2 podman-docker containerd runc; do sudo apt-get remove $pkg; done

그다음 문서에 나온 내용대로 GPG key를 추가하고,

# Add Docker's official GPG key: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ca-certificates curl
sudo install -m 0755 -d /etc/apt/keyrings
sudo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o /etc/apt/keyrings/docker.asc
sudo chmod a+r /etc/apt/keyrings/docker.asc

apt 소스에 docker repository를 등록한 다음,

# Add the repository to Apt sources:
echo "deb [arch=$(dpkg --print-architecture) signed-by=/etc/apt/keyrings/docker.asc]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 /etc/os-release && echo "${UBUNTU_CODENAME:-$VERSION_CODENAME}") stable" | sudo tee /etc/apt/sources.list.d/docker.list > /dev/null
sudo apt-get update

docker 구성 요소를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docker-buildx-plugin docker-compose-plugin -y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6/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17정성태8/26/201026278개발 환경 구성: 86. "Routing and Remote Access"의 "Routing" 기능 활성화 방법
916정성태8/25/201025434개발 환경 구성: 85. 가상 네트워크에 LAN 어댑터 보이거나 감추는 방법
915정성태8/24/201043839개발 환경 구성: 84.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2)
913정성태8/22/201033214오류 유형: 104. Hyper-V 관리자 - VM 생성 오류 (VHD 생성 오류)
912정성태8/20/201034714.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파일 다운로드1
911정성태8/19/201032555오류 유형: 103. System.Reflection.Targe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910정성태8/19/201043400개발 환경 구성: 83.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
909정성태8/18/201037950오류 유형: 102.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908정성태8/17/201028987개발 환경 구성: 82.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3)
907정성태8/14/201026337개발 환경 구성: 81.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2)
906정성태8/13/201034015개발 환경 구성: 80.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1)
905정성태8/8/201038348Team Foundation Server: 39. 배치 파일로 팀 빌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904정성태8/8/201040351오류 유형: 101.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
903정성태8/6/201037278Team Foundation Server: 38.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4) - Branch
902정성태8/5/201029850Team Foundation Server: 37. TFS 2010의 소스 서버 수작업 구성
901정성태8/4/201028966Team Foundation Server: 36.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3) - Label
900정성태8/3/201031874Team Foundation Server: 35.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2) - Shelveset
899정성태8/2/201033389Team Foundation Server: 34.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1) - Changeset
898정성태7/31/201033564.NET Framework: 182. WCF의 InactivityTimeout [1]파일 다운로드1
897정성태7/26/201134406.NET Framework: 181. AssemblyVersion, AssemblyFileVersion, AssemblyInformationalVersion [4]
896정성태7/25/201041320.NET Framework: 180. C# Singleton 인스턴스 생성 [2]
895정성태7/25/201025116VS.NET IDE: 68. Visual Studio 2010 - .NET 1.1 원격 디버깅
894정성태7/25/201030968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893정성태7/25/201031842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892정성태7/9/201032967오류 유형: 98. 영문 윈도우에 한글 SQL Server 2008 R2 설치할 때 오류 [4]
891정성태7/8/201029534오류 유형: 97. MsiGetProductInfo failed to retrieve ProductVersion for package with Product Code = '{...}'. Error code: 1605. [2]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