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희한하군요, 분명히 파일이 있는데도,

$ cat Dockerfile
FROM ubuntu:24.04

$ docker build -f Dockerfile -t ubuntu24_dotnet_img .
[+] Building 2.0s (1/1) FINISHED                                                                                                                                 docker:default
 => [internal] load build definition from Dockerfile                                                                                                                       0.4s
 => => transferring dockerfile: 2B                                                                                                                                         0.0s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저렇게 Dockerfile을 열 수 없다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혹시나 권한이나 인자에 뭔가 오류가 있을까 싶어 조정해 봐도,

$ chmod 777 Dockerfile

// 또는 이렇게 실행해도,
$ docker build .

오류는 그대로였습니다.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Docker build can't find Dockerfile even when it's the only file in the folder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8022884/docker-build-cant-find-dockerfile-even-when-its-the-only-file-in-the-folder

다행히 redirection을 이용한 우회 방법이 하나 나옵니다. ^^

$ docker build - < Dockerfile

진짜로 저렇게 하면 ^^; docker build가 잘됩니다.




위의 stackoverflow 답변에 보면 의미 있는 대답이 하나 있는데요,

I had to uninstall snap docker completely and install docker properly as described in the answer here

저도 해당 머신에 "snap install docker"로 설치한 유형이었습니다. 귀찮아서 저는 제거 및 다른 방법으로 설치하지는 않았지만, 예전에 닷넷도 snap으로 설치한 경우 이상하게 동작했던 경험에 비춰볼 때 아마도 snap과 관련되면서 뭔가 환경적인 요인에서 틀어지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61정성태6/1/200623269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31203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4235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20319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2032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259정성태6/1/20061917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2. Vista VPC에 터미널 서비스 - 원격 접속
253정성태6/1/200616963기타: 14. .NET 2.0 이 지원되는 NDoc 2.0 을 배포합니다.
251정성태6/1/200620315오류 유형: 4. [OS 지원 API] SHParseDisplayName과 Windows 2000
252정성태6/1/200619671    답변글 오류 유형: 4.1. NET BCL 에서 제공되는 FolderBrowserDialog [2]
249정성태6/1/200619777.NET Framework: 7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50정성태6/1/200622601    답변글 .NET Framework: 71.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48정성태6/1/200620989기타: 13. Code Center Premium에서 Win32 API 소스 찾기
245정성태6/1/200628279오류 유형: 3. [C# / VC++] error C2146: syntax error : missing ';' before identifier 'GetType'
247정성태5/3/200625523    답변글 .NET Framework: 3.1. Interface를 사용하면. [1]
242정성태6/1/200626103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243정성태6/1/200623544    답변글 오류 유형: 2.1. [COM+] Resolve Partial Assembly failed for Microsoft.VC80.CRT.mui
244정성태6/1/200625049    답변글 오류 유형: 2.2. [COM+] Server object error 'ASP 0178 : 80070005'
240정성태6/1/200622839스크립트: 9. setTimeout 과 jscript/vbscript 혼용 문제
239정성태6/1/200623879COM 개체 관련: 18. Internet Explorer는 Out-of-process COM 개체입니다.
238정성태6/1/200625799개발 환경 구성: 1. batch 파일에서 실행한 exe에서 batch 실행 문맥의 환경 변수 설정 [3]
236정성태6/1/200646602오류 유형: 1. [.NET COM+] UnauthorizedAccessException: 레지스트리 키 HKEY_CLASSES_ROOT\.... 에 대한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235정성태6/1/200621117VS.NET IDE: 39. VS.NET 2003/2005에서도 제공되는 VS 6.0 MFC ClassWizard
234정성태4/14/200620782VC++: 24. error C2039: 'pOleStr' : is not a member of '_STRRET'
233정성태4/13/200620095.NET Framework: 70. Response.ContentType 과 Response.AddHeader( "Content-Type", "..." ) 의 차이
232정성태4/13/200620114.NET Framework: 69. Reusing C# Source Code Across Multiple Assemblies
231정성태4/13/200620487Team Foundation Server: 4. How to rename a Team Foundation Server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