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희한하군요, 분명히 파일이 있는데도,

$ cat Dockerfile
FROM ubuntu:24.04

$ docker build -f Dockerfile -t ubuntu24_dotnet_img .
[+] Building 2.0s (1/1) FINISHED                                                                                                                                 docker:default
 => [internal] load build definition from Dockerfile                                                                                                                       0.4s
 => => transferring dockerfile: 2B                                                                                                                                         0.0s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저렇게 Dockerfile을 열 수 없다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혹시나 권한이나 인자에 뭔가 오류가 있을까 싶어 조정해 봐도,

$ chmod 777 Dockerfile

// 또는 이렇게 실행해도,
$ docker build .

오류는 그대로였습니다.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Docker build can't find Dockerfile even when it's the only file in the folder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8022884/docker-build-cant-find-dockerfile-even-when-its-the-only-file-in-the-folder

다행히 redirection을 이용한 우회 방법이 하나 나옵니다. ^^

$ docker build - < Dockerfile

진짜로 저렇게 하면 ^^; docker build가 잘됩니다.




위의 stackoverflow 답변에 보면 의미 있는 대답이 하나 있는데요,

I had to uninstall snap docker completely and install docker properly as described in the answer here

저도 해당 머신에 "snap install docker"로 설치한 유형이었습니다. 귀찮아서 저는 제거 및 다른 방법으로 설치하지는 않았지만, 예전에 닷넷도 snap으로 설치한 경우 이상하게 동작했던 경험에 비춰볼 때 아마도 snap과 관련되면서 뭔가 환경적인 요인에서 틀어지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8/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198  199  [200] 
NoWriterDateCnt.TitleFile(s)
20정성태2/15/200529419VS.NET IDE: 2. Platform SDK 설치
19정성태7/17/200325089.NET Framework: 1. JScript.NET 강좌 사이트[영문]
18정성태7/17/200322389COM 개체 관련: 4. Exchanging Data Over the Internet Using XML [1]파일 다운로드1
17정성태7/17/200330233VC++: 6. Win32 API Hook - 소스는 "공개소스"에있습니다. [2]
16정성태7/17/200322724COM 개체 관련: 3. IE 툴밴드의 위치문제파일 다운로드1
15정성태7/17/200323677VC++: 5. 시행착오 - 클래스 포인터를 void * 로 대입후 delete 하는 경우.
14정성태7/17/200325327VC++: 4. MFC Message 처리 구조
13정성태7/17/200324840VC++: 3. template 활용의 최고 단계!
12정성태5/7/200622846VC++: 2. void func1( MYCLASS *&pBuildingElement ); 선언의 의미
10정성태7/17/200321180기타: 2. 데브피아 사이트의 클럽 서비스 내에 있는 Standard C++ Research
9정성태7/17/200326398기타: 1. Programming Applications for Microsoft Windows 4th Edition
8정성태7/17/200323826COM 개체 관련: 2. CWindowImpl 의 기본 윈도우 클래스 명을 바꾸려면?
7정성태7/17/200326467VS.NET IDE: 1. VC++ 프로파일링 사용법
4정성태7/17/200339458VC++: 1. C++ 클래스 멤버변수 초기화 [3]
3정성태7/17/200325123스크립트: 2. JScript에서의 Blocking 동작을 막아주는 COM 메서드
2정성태6/14/200643838COM 개체 관련: 1. IWebBrowser2와 IHTMLDocument2의 상호 변환 [2]
1정성태7/17/200327962스크립트: 1. IE 의 훌륭한 저장기능 - userData
... 196  197  198  19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