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220. supportedRuntime 설정을 위한 app.config Transformation
; https://www.sysnet.pe.kr/2/0/1662

.NET Framework: 1193. (appsettings.json처럼) web.config의 Debug/Release에 따른 설정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3028

VS.NET IDE: 200. C# - app.config 파일의 출력을 Configuration(Debug/Release)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918

오류 유형: 980. C# - appsettings.json 파일의 설정값이 적용 안 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4002




C# - appsettings.json 파일의 설정값이 적용 안 된다면?

이상하군요, 분명히 웹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경로에는 appsettings.json 파일이 있고, 그 안에 설정값까지 넣어두었습니다.

$ cat appsettings.json
{
    "Logging": {
        "LogLevel": {
            "Default": "Information",
            "Microsoft": "Warning",
            "Microsoft.Hosting.Lifetime": "Information"
        }
    },

    "AllowedHosts": "*",

    "ConnectionStrings": {
        "DBLocal": "...[생략]..."
    }
}

그런데 Microsoft.Extensions.Configuration.IConfiguration.GetConnectionString 메서드에서는 null을 반환합니다. 반면,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디버깅을 해보면 ^^; 값이 잘 반환됩니다.

검색해 보니까,

Published .Net Core 2 application does not read appsettings.json file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0578013/published-net-core-2-application-does-not-read-appsettings-json-file

Current Directory를 기준으로 찾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아래와 같은 식으로 실행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 아래와 같은 경우라면, "/appsettings.json" 경로의 파일을 찾게 되므로 의도한 대로 실행이 안 됨.

$ pwd
/

$ dotnet /app/core3web/Core3Web.dll

대신 이렇게 실행해야 합니다.

// 아래의 경우라면, "/app/core3web/appsettings.json" 경로의 파일을 찾게 되므로 의도한 대로 실행.

$ cd /app/core3web
$ dotnet Core3Web.dll

쉬운 내용이다 보니 너무 쉽게 간과할 수 있던 부분입니다. ^^ 따라서 만약 다른 경로에서 "dotnet /app/core3web/Core3Web.dll"과 같은 식으로 실행하는 것도 허용하고 싶다면 Current Directory를 변경해야 합니다. "Published .Net Core 2 application does not read appsettings.json file" 글의 답변에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AppContext.BaseDirectory를 이용했다고 하는데 좋은 우회책인 것 같습니다. ^^

namespace Core3Web;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 AppContext.BaseDirectory;
        CreateHostBuilder(args).Build().Run();
    }

    public static IHostBuilder CreateHostBuilder(string[] args) =>
        Host.CreateDefaultBuilder(args)
            .ConfigureWebHostDefaults(webBuilder =>
            {
                webBuilder.UseStartup();
                webBuilder.ConfigureKestrel(serverOptions =>
                {
                    serverOptions.ListenAnyIP(6001);
                });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0/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21정성태11/18/20249927Linux: 108. Linux와 Windows의 프로세스/스레드 ID 관리 방식
13820정성태11/18/202410451VS.NET IDE: 195. Visual C++ - C# 프로젝트처럼 CopyToOutputDirectory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
13819정성태11/15/20247577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13818정성태11/15/202412636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
13817정성태11/14/20249091Linux: 106. eBPF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10343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8340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9542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11099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14378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9059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10690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10206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10969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8627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8416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7954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11184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9950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10416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10453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11246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8305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10719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11209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9987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