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57. C# 14 - (9) 새로운 지시자 추가 (Ignored directive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20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14 - (9) 새로운 지시자 추가 (Ignored directives)

C# 14의 직접적인 기능은 아니지만, .NET SDK 10에 추가된 기능으로 단일 소스 코드 파일을 빌드/실행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NET SDK 10 - 단일 소스 코드 파일을 빌드/실행하는 기능을 "dotnet" 명령어에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4001

핵심 기능은 dotnet 실행 파일이 구현했다고 볼 수 있겠지만 아주 쪼끔 C# 14 컴파일러가 보조한 부분이 있는데요, 문법에 5개의 지시자가 새롭게 추가됐기 때문입니다.

  • #! (shebang)
  • #:sdk (SDK 설정)
  • #:property (속성 설정)
  • #:package (nuget 패키지 참조)
  • #:project (외부 프로젝트 참조)

각각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위의 글에서 설명했으므로 생략하겠습니다. 단지, 저 지시자들을 컴파일러 입장에서 직접적인 사용은 하지 않으므로 무시된다는 것만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그런 탓에 신규 기능 이름도 "ignored directives"라고 돼 있습니다.

Ignored directives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blob/main/proposals/csharp-14.0/ignored-directives.md

Ignored directives - Detailed design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blob/main/proposals/csharp-14.0/ignored-directives.md#detailed-design

이 내용은 여기까지만 아시면 충분할 것 같고, 단지 심심하신 분만 아래의 내용을 더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




그나저나, 약간의 테스트를 하다 보니 이게 과연 "ignored"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예를 들어, shebang 지시자(#!)를 제외한 다른 것들은 소스 코드 파일이 프로젝트(csproj)를 경유해 컴파일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재현을 위해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콘솔 프로젝트를 만들고 이런 식으로 지시자를 Program.cs 파일에 추가하면,

#!/usr/bin/dotnet run
#:property langversion 13.0

namespace ConsoleApp2;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

#:property 지시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CS9298: '#:' directives can be only used in file-based programs ('/feature:FileBasedProgram')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shebang 지시자(#!)의 경우에는 프로젝트 빌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더욱 흥미로운 점은, shebang 지시자를 포함한 파일은 C# 13 이전 컴파일러에서도 빌드가 잘됩니다. 반면, 비주얼 스튜디오를 업데이트하지 않은 17.12 버전의 환경에서는 shebang 지시자를 포함한 파일을 빌드하면 "error CS1024: Preprocessor directive expected" 오류가 발생합니다. 뭔가 지시자를 처리하는 주체가 좀 이상하죠? ^^

혹시나 싶어, csc.dll을 이용해 직접 빌드를 해보면 어떻게 될까 궁금해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C:\temp> type test.cs
#!/usr/bin/dotnet run
#:property Nullable=enable

Console.WriteLine("Hello World");

c:\temp> dotnet "C:\Program Files\dotnet\sdk\10.0.100-preview.7.25380.108\Roslyn\bincore\csc.dll" -langversion:preview -platform:anycpu -target:exe test.cs -r:"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10.0.0-preview.7.25380.108\System.Private.CoreLib.dll" -r:"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10.0.0-preview.7.25380.108\System.Runtime.dll" -r:"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10.0.0-preview.7.25380.108\System.Console.dll"

저렇게 빌드하면, 이번에는 "#:property"는 물론이고 shebang 지시자까지 오류가 발생합니다.

test.cs(1,2): error CS9314: '#!' directives can be only used in scripts or file-based programs
test.cs(2,2): error CS9298: '#:' directives can be only used in file-based programs ('-features:FileBasedProgram')

메시지에 따르면 "-features:FileBasedProgram" 옵션을 주라고 하는데, (아직 미구현인지, 숨겨져 있는지 알 수 없으나) 현재 csc.dll에는 저 옵션이 없습니다. 어찌 보면, Roslyn 컴파일러 자체는 저 지시자들을 "무시"한다기보다 "인식"만 할 뿐 컴파일 오류를 내버립니다.




정리해 볼까요?

위의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엄밀히 C# 컴파일러 입장에서 "Ignored directives"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 shebang 지시자의 경우 단순히 Visual Studio 버전만 17.14 버전으로 올리면 C# 컴파일러의 버전에 상관없이 빌드가 되는데요, 사실 비주얼 스튜디오는 msbuild를 통해 빌드하기 때문에 "#?" 지시자에 대한 필터링을 msbuild 단계에서 처리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 지시자의 경우 msbuild도 그건 지원을 하지 않고, 오직 "dotnet build/run" 명령어 시에만 필터링 돼 csc.dll로 넘겨 컴파일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Ignored directives"는 분명히 C# 언어로 개발하는 경우 소스 코드의 문법으로 유효한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그 문법을 처리하는 주체는 정작 C# 컴파일러가 아닌, (아마도) 그전에 실행되는 도구들에 의해서 처리된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1/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31정성태4/30/201133089웹: 17. IIS Express - "IIS Installed Versions Manager Interface"의 IIISExpressProcessUtility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30정성태4/30/201155792개발 환경 구성: 118. IIS Express -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접근하는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1029정성태4/28/201144264개발 환경 구성: 117. XCopy에서 파일/디렉터리 확인 질문 없애기 [2]
1028정성태4/27/201141626오류 유형: 119. Visual Studio 2010 SP1 설치 후 Windows Phone 개발자 도구로 인한 재설치 문제 [3]
1027정성태4/25/201130776디버깅 기술: 4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86파일 다운로드1
1026정성태4/25/201149773디버깅 기술: 39. DebugDiag 1.1을 사용한 덤프 분석 [7]
1025정성태4/24/201131642개발 환경 구성: 116. IIS 7 관리자 - Active Directory Certification Authority로부터 SSL 사이트 인증서 받는 방법 [2]
1024정성태4/22/201133036오류 유형: 118. Windows 2008 서버에서 Event Viewer / PowerShell 실행 시 비정상 종료되는 문제 [1]
1023정성태4/20/201133802.NET Framework: 210.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1]
1022정성태4/19/201128841디버깅 기술: 38. .NET Disassembly 창에서의 F11(Step-into) 키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21정성태4/18/201131125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1020정성태4/18/201132242오류 유형: 117. Failed to find runtime DLL (mscorwks.dll), 0x80004005
1019정성태4/17/201133056디버깅 기술: 36. Visual Studio의 .NET Disassembly 창의 call 호출에 사용되는 주소의 의미는? [1]파일 다운로드1
1018정성태4/16/201136942오류 유형: 116.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 0x8020000E
1017정성태4/14/201131414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파일 다운로드1
1016정성태4/13/201147702개발 환경 구성: 114. Windows Thin PC 설치 [2]
1015정성태4/9/201132835.NET Framework: 209. AutoReset, ManualReset, Monitor.Wait의 차이파일 다운로드1
1014정성태4/7/2011110231오류 유형: 115. ORA-12516: TNS:listener could not find available handler with matching protocol stack [2]
1013정성태4/7/201128085Team Foundation Server: 45. SharePoint 2010 + TFS 2010 환경에서 ProcessGuidance.html 파일 다운로드 문제
1012정성태4/6/201137003.NET Framework: 208. WCF -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알아내는 방법 [1]
1011정성태3/31/201139292오류 유형: 114. 인증서 갱신 오류 - The request contains no certificate template information.
1010정성태3/30/201130051개발 환경 구성: 113. 응용 프로그램 디자인 스케치 도구 - SketchFlow [4]
1009정성태3/29/201142353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4]
1008정성태3/27/201134645.NET Framework: 207. C# - Right operand가 음수인 Shift 연산 결과 [2]
1007정성태3/16/201135562개발 환경 구성: 111. Excel - XML 파일 연동 [5]파일 다운로드1
1006정성태3/15/201129236.NET Framework: 206. XML/XSD - 외래키처럼 참조 제한 거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