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981. dotnet 실행 시 No usable version of the libssl was foun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61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dotnet 실행 시 No usable version of the libssl was found

아마도 환경적인 요인에서 오는 것 같은데요, .NET 8 런타임이 설치된 Ubuntu 24.04에서 .NET Core 2.0으로 만들어진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이런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dotnet /app/corecorelin/CoreCoreLin.dll
info: Microsoft.AspNetCore.DataProtection.KeyManagement.XmlKeyManager[0]
      User profile is available. Using '/home/kevin/.aspnet/DataProtection-Keys' as key repository; keys will not be encrypted at rest.
info: Microsoft.AspNetCore.DataProtection.KeyManagement.XmlKeyManager[58]
      Creating key {3f084640-c099-4da3-8d70-077af8fb5c33} with creation date 2025-08-19 06:50:46Z, activation date 2025-08-19 06:50:46Z, and expiration date 2025-11-17 06:50:46Z.
No usable version of the libssl was found
Aborted (core dumped)

검색해 보면,

No usable version of libssl was found #4749
; https://github.com/dotnet/core/issues/4749

"dotnet new" 명령어 실행 단계에서도 저 오류가 발생했다는 건데, 답변 중 하나를 보면 libssl.so.47.0.6을 /usr/lib/libssl.so.1.0.0로 링크해 해결했다고 합니다. 제 경우에는 libssl3.so 파일이 있어서,

$ ldconfig -p | grep libssl
        libssl3.so (libc6,x86-64) => /lib/x86_64-linux-gnu/libssl3.so
        libssl.so.3 (libc6,x86-64) => /lib/x86_64-linux-gnu/libssl.so.3

$ openssl version
OpenSSL 3.0.16 11 Feb 2025 (Library: OpenSSL 3.0.16 11 Feb 2025)

링크를 걸었으나,

$ sudo ln -s /lib/x86_64-linux-gnu/libssl.so.3 /usr/lib/libssl.so.1.0.0

$ dotnet /app/corecorelin/CoreCoreLin.dll
...[생략]...
Cannot get required symbol CRYPTO_add_lock from libssl
Aborted (core dumped)

$ sudo rm /usr/lib/libssl.so.1.0.0

(다른 오류로 바뀌긴 했지만) 실행이 되지 않았습니다. 다른 답변에 보면, 1.1.1 버전의 libssl을 설치하면 된다고 해서, 1.1.1f 버전도 설치해 보았는데,

$ wget http://security.ubuntu.com/ubuntu/pool/main/o/openssl/libssl1.1_1.1.1f-1ubuntu2.24_amd64.deb
$ sudo dpkg -i libssl1.1_1.1.1f-1ubuntu2.24_amd64.deb

$ ldconfig -p | grep libssl
        libssl3.so (libc6,x86-64) => /lib/x86_64-linux-gnu/libssl3.so
        libssl.so.3 (libc6,x86-64) => /lib/x86_64-linux-gnu/libssl.so.3
        libssl.so.1.1 (libc6,x86-64) => /lib/x86_64-linux-gnu/libssl.so.1.1

$ sudo ln -s /lib/x86_64-linux-gnu/libssl.so.1.1 /usr/lib/libssl.so.1.0.0

$ dotnet /app/corecorelin/CoreCoreLin.dll
...[생략]...
Cannot get required symbol CRYPTO_add_lock from libssl
Aborted (core dumped)

$ sudo rm /usr/lib/libssl.so.1.0.0

마찬가지입니다. 혹시나 싶어 직접 빌드해 설치하는 것도 시도했지만,

wget https://www.openssl.org/source/openssl-1.1.1c.tar.gz
tar -xzvf openssl-1.1.1c.tar.gz
cd openssl-1.1.1c
./config
make
sudo make install  // (it puts it into /usr/local/lib so it doesn't mess with the rest of your system)

LD_LIBRARY_PATH="/usr/local/lib" dotnet /app/corecorelin/CoreCoreLin.dll

결국은 안 되었습니다.




.NET 8.0에서 호스팅해서 그럴까 싶어 .NET 2.0 SDK를 설치해 봤는데요,

.NET 다운로드
; https://dotnet.microsoft.com/download/dotnet

.NET Core 2.0 SDK
; https://builds.dotnet.microsoft.com/dotnet/Sdk/2.1.200/dotnet-sdk-2.1.200-linux-x64.tar.gz

wget https://builds.dotnet.microsoft.com/dotnet/Sdk/2.1.200/dotnet-sdk-2.1.200-linux-x64.tar.gz
mkdir -p $HOME/dotnet
tar xf dotnet-sdk-2.1.200-linux-x64.tar.gz -C $HOME/dotnet

"No usable version of the libssl was found" 오류는 여전히 발생했습니다. 게다가 이번에는 dotnet 실행 모듈 자체도 ICU 패키지와의 호환성에 문제가 있는지 실행이 안 됩니다.

// 환경 변수를 지정했는데도 icu 오류 발생

$ DOTNET_SYSTEM_GLOBALIZATION_INVARIANT=1 ~/dotnet/dotnet --version
FailFast: Couldn't find a valid ICU package installed on the system. Set the configuration flag System.Globalization.Invariant to true if you want to run with no globalization support.

   at System.Environment.FailFast(System.String)
   at System.Globalization.GlobalizationMode.GetGlobalizationInvariantMode()
   at System.Globalization.GlobalizationMode..cctor()
   at System.Globalization.CultureData.CreateCultureWithInvariantData()
   at System.Globalization.CultureData.get_Invariant()
   at System.Globalization.CultureData.GetCultureData(System.String, Boolean)
   at System.Globalization.CultureInfo.InitializeFromName(System.String, Boolean)
   at System.Globalization.CultureInfo.Init()
   at System.Globalization.CultureInfo..cctor()
   at System.StringComparer..cctor()
   at System.AppDomainSetup.SetCompatibilitySwitches(System.Collections.Generic.IEnumerable`1<System.String>)
   at System.AppDomain.PrepareDataForSetup(System.String, System.AppDomainSetup, System.Security.Policy.Evidence, System.Security.Policy.Evidence, IntPtr, System.String, System.String[], System.String[])
Aborted (core dumped)




결국은 .NET 2.0으로 만들어진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었습니다. 대신, netcoreapp3.0 이상의 웹 애플리케이션은 정상적으로, 위의 환경에서 어떠한 변화도 없이 잘 실행됐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아마도 .NET 2.0 빌드 결과물에 포함된 특정 모듈이 libssl과 호환되지 않는 듯한데...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고 끝내겠습니다. ^^ 향후로 .NET Core 2.x 앱을 사용할 일이 없을 것이므로 더 이상의 분석은 의미도 없을 것 같기에. ^^

단지 한 가지 의미를 찾는다면, .NET 버전이 올라가면서 기존 앱들이 새로운 운영체제 환경에서는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한 정도가 되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1/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198  199  200 
NoWriterDateCnt.TitleFile(s)
196이문석12/23/200519306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9195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8241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20594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6786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7714.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20447.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20934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20121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20993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19862.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8406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9660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7666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21794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21139.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21244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20737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9611.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8009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20628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20169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23169.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20952.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7258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5211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 [196]  197  198  19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