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udo: unable to load /usr/libexec/sudo/sudoers.so: libssl.so.3: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실수로 libssl.so.3 파일을 지웠는데,

/lib/x86_64-linux-gnu/libssl.so.3

일이 심각해지는군요. ^^; 아마도 다른 프로그램들에서 많은 의존성을 가질 것 같은데, 그래서 일단 동일한 운영체제의 다른 PC로부터 /tmp 디렉터리에 복사를 해왔습니다.

이후, 원래의 디렉터리로 복사하려고 했는데 sudo 권한이 필요한 탓에 다음과 같이 했더니,

$ sudo cp /tmp/libssl.so.3 /lib/x86_64-linux-gnu/
sudo: error in /etc/sudo.conf, line 0 while loading plugin "sudoers_policy"
sudo: unable to load /usr/libexec/sudo/sudoers.so: libssl.so.3: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sudo: fatal error, unable to load plugins

얼핏 cp 명령어가 실패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sudo가 보안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libssl.so.3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오류입니다. 즉, 그냥 ls 명령조차도 안 되는 것입니다.

$ sudo ls
sudo: error in /etc/sudo.conf, line 0 while loading plugin "sudoers_policy"
sudo: unable to load /usr/libexec/sudo/sudoers.so: libssl.so.3: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sudo: fatal error, unable to load plugins

재미있는 건 "su -" 명령어를 이용한 계정 전환에는 libssl 파일이 필요하지 않아 정상적으로 root 계정으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su -
Password: 
root@testpc:~# 

덕분에 일단 무사히 파일 복사가 됐습니다. ^^

# cp /tmp/libssl.so.3 /lib/x86_64-linux-gnu/libssl.so.3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1/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13정성태8/12/20063236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967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611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3138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525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4010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4154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764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3060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2932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3092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322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342정성태9/16/20064102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파일 다운로드1
306정성태2/13/200720417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
304정성태7/21/200622543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305정성태7/21/200622363    답변글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
303정성태7/20/200620145Team Foundation Server: 12. 사용자 계정 재생성에 따른 Version Control 영향
302정성태8/21/200621996Team Foundation Server: 11. TFS Team Build와 VC++ Project 설정
299정성태7/23/200621909개발 환경 구성: 5. VMWare - VM 생성 화면 캡쳐
300정성태7/15/20062707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1. VMWare 오류 유형 - The handle is invalid.
301정성태7/18/20062189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2. VMWare - 사용 후기.
298정성태7/14/200621687개발 환경 구성: 4. VMWare Server를 64bit 운영체제에 설치 시 주의 사항 [2]
296정성태7/10/200631120.NET Framework: 73. [ASP.NET] HTC(DHTML Control Behavior)를 WebResource.axd로 제공하는 방법 [3]
295정성태7/1/200624305VC++: 25. Microsoft National Language Support Downlevel APIs 1.0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294정성태6/30/200620826.NET Framework: 72. XSDObjectGen.EXE 기능 개선
293정성태6/29/200622771Team Foundation Server: 10. TFS 버전 컨트롤(TFVC)에 참여시킨 프로젝트의 로컬 경로를 옮기는 방법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