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Linux - snap 패키지 관리자로 설치한 소프트웨어의 디렉터리 접근 제한

지난 글에서,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 https://www.sysnet.pe.kr/2/0/14000

snap으로 설치한 docker의 경우 Dockerfile을 읽어내지 못하는 현상을 다뤘는데요, 이유를 알아냈습니다. ^^

Snap documentation
; https://snapcraft.io/docs

뭐랄까, 쉽게 말해 docker 컨테이너와 같은 격리를 "snap으로 설치한 응용 프로그램"(너무 길어서 이후로 그냥 app이라고 부르겠습니다.)에 대해 제공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즉, 일종의 sandbox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app의 호스트 접근이 자유롭지 않은 부분이 있는 건데요, 위에서 실습한 Dockerfile을 읽어내지 못하는 것도 그중 하나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상황을 다시 재현을 해볼까요?

우선, 루트 디렉터리 하위에 "/temp"라는 디렉터리를 하나 만들고 그 안에 dockerfile을 만들어 빌드해 봅니다.

$ pwd
/temp

$ cat test.dockerfile
FROM ubuntu:18.04

RUN echo TEST

$ docker build -f test.dockerfile -t test_ubuntu_img .
[+] Building 3.4s (1/1) FINISHED                                                                                                                                  docker:default
 => [internal] load build definition from test.dockerfile                                                                                                                   1.0s
 => => transferring dockerfile: 2B                                                                                                                                          0.0s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test.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그럼 저렇게 예의 그 오류가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snap으로 설치한 app(위의 경우 docker)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HOME 디렉터리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려면 dockerfile을 "~" 디렉터리 하위에 옮겨서 전달하면 됩니다.

$ cd ~
$ pwd
/home/testusr

$ cp /temp/test.dockerfile ./

$ docker build -f test.dockerfile -t test_ubuntu_img .
...[생략: 정상 실행]...

snap으로 설치한 docker app의 경우 이외에도 여러 가지 제약이 있는데요, 일례로 -v 옵션을 이용한 볼륨 연결도 반드시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하위에 있는 경로를 지정해야 합니다.

// 이렇게 루트 하위의 /temp 디렉터리를 연결하면, /temp 디렉터리가 비어 있습니다.

$ docker run --rm -it --name test_ubuntu_inst -v /temp:/temp test_ubuntu_img /bin/bash
root@aafcdf11c29d:/# ls /temp -l
total 0

// 반면,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또는 그 하위에 있는 디렉터리를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볼륨이 연결됩니다.

$ docker run --rm -it --name test_ubuntu_inst -v ~:/temp test_ubuntu_img /bin/bash
root@ace74a7dd225:/# ls /temp -l
total 12
drwx------ 3 1000 1000 4096 Aug 20 23:56 snap
-rw-r--r-- 1 1000 1000   33 Aug 21 01:21 test.dockerfile

참고로 사용자 디렉터리 외에도 /mnt, /media와 같은 디렉터리 역시 snap에서 접근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허용되지 않은 경로를 app에 접근하도록 만들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 그중에서 쉽게 쓸 수 있는 것이 바로 mount --bind를 이용해 원하는 디렉터리를 현재 사용자 디렉터리의 하위에 마운트하는 방법입니다.

가령, 위에서 예를 든 /temp 디렉터리를 접근하게 만들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실행합니다.

$ ls /temp -l
total 4
-rw-r--r-- 1 root root 33 Aug 20 23:13 test.dockerfile

$ pwd
/home/testusr

$ mkdir temp
$ sudo mount --bind /temp ~/temp

$ ls ~/temp -l
total 4
-rw-r--r-- 1 root root 33 Aug 20 23:13 test.dockerfile

이후 저 경로를 docker 컨테이너에 연결하면 됩니다.

$ docker run --rm -it --name test_ubuntu_inst -v ~/temp:/temp test_ubuntu_img /bin/bash
root@a8bed659aba3:/# ls -l /temp
total 4
-rw-r--r-- 1 root root 33 Aug 20 23:13 test.dockerfile




일단 docker + snap 환경의 경우에 대한 문제는 이렇게 해서 해석이 되었는데, 여전히 dotnet 문제는 원인 파악이 안 됩니다. 뭐... ^^ 이렇게 조금씩 알아가다 보면 언젠가 이해될 날이 오겠죠?!!!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3/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47정성태7/1/200949200.NET Framework: 149.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3]파일 다운로드1
746정성태6/25/200936317.NET Framework: 148. WPF - 데이터 바인딩 시의 예외 처리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45정성태6/22/200928069.NET Framework: 147. WPF - Binding에 Sibling 요소 지정 [2]파일 다운로드1
744정성태6/21/200926576.NET Framework: 146.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2]파일 다운로드1
743정성태6/17/200931023.NET Framework: 145. Unity Container 개체 풀이
742정성태6/17/200930282.NET Framework: 144. WPF -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이 null이라면? [3]
740정성태6/12/200927845.NET Framework: 143. WPF - Transform의 역변환파일 다운로드1
739정성태6/8/200941093.NET Framework: 142.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5]파일 다운로드1
737정성태6/6/200947539.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2
734정성태6/4/200929477.NET Framework: 140. WPF - CellPadding 속성을 구현하는 Grid Layout [2]파일 다운로드1
733정성태5/29/200934971.NET Framework: 139. WPF - "M/d/yyyy h:mm:ss tt" 형식으로만 날짜를 출력하는 문제
732정성태5/27/200929935Team Foundation Server: 32. 팀 빌드 오류 확인 방법
731정성태5/27/200924848Team Foundation Server: 31. 팀 빌드 스케줄 확인 방법
730정성태5/26/200931015VS.NET IDE: 63. Visual Studio 2010 - Parallel Stacks [1]
729정성태5/25/200930391.NET Framework: 138. InternalsVisibleTo와 Public Key 값
728정성태5/23/200940675.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파일 다운로드1
727정성태5/22/200925726오류 유형: 82. 메서드가 많은 경우 프록시 클래스 생성 실패
726정성태5/21/200924904VS.NET IDE: 62. Visual Studio 2010 Beta1 버그 피드백 - EnC기능 오류 [1]
725정성태5/21/200928686VS.NET IDE: 61. Visual Studio 2010 베타1과 Visual Studio 2008의 혼합 개발 [2]
724정성태5/19/200944264.NET Framework: 136. 자바와 닷넷의 압축 호환파일 다운로드2
723정성태5/18/200937134.NET Framework: 135. C# - Deflate, GZip, Zip
722정성태5/18/200925120개발 환경 구성: 45. SQL 서버 2008 백업 구성 [2]
721정성태5/14/200930821오류 유형: 81. Package 실행 오류 - Error 15404
720정성태5/13/200927730오류 유형: 80. SQL Server 2008 - Package 실행 오류의 구체적인 원인 확인
719정성태5/12/200929141.NET Framework: 134. WPF - XBAP을 호스팅하고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페이스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717정성태5/11/200929337개발 환경 구성: 44.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