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61. C# - Linux 환경의 readlink 호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55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Linux 환경의 readlink 호출

리눅스 쪽은 API보다는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정보들이 많습니다. 심지어 파일 자체의 내용뿐만 아니라 링크에서도 정보를 구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예를 들어 프로세스의 pid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것도,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 https://www.sysnet.pe.kr/2/0/13772

링크로 연결이 됩니다.

$ ls -l /proc/4419/ns/pid
lrwxrwxrwx 1 testusr testusr 0 Oct 17 14:46 /proc/4419/ns/pid -> 'pid:[4026532257]'

리눅스 시스템에서 이 값을 코드로 구하기 위해서는 readlink 또는 realpath를 사용할 수 있는데,

readlink(1) - Linux man page
; https://linux.die.net/man/1/readlink

readlink(2) — Linux man page
; https://linux.die.net/man/2/readlink

realpath(1) - Linux man page
; https://linux.die.net/man/1/realpath

realpath(3) - Linux man page
; https://linux.die.net/man/3/realpath

$ realpath /proc/self/ns/pid
/proc/683623/ns/pid:[4026531836]

$ readlink -f /proc/self/ns/pid
/proc/683762/ns/pid:[4026531836]

$ readlink /proc/self/ns/pid
pid:[4026531836]

그렇다면 C#으로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아쉽게도 .NET 5까지의 기본 라이브러리에는 이를 위한 배려가 없었기 때문에 libc를 interop하는 식으로 구해야만 했습니다.

public class Program
{
    [DllImport("libc.so.6", CharSet = CharSet.Ansi)]
    internal static extern int readlink(string path, byte[] buf, ulong bufsiz);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yte[] buf = new byte[1024];
        readlink("/proc/self/ns/pid", buf, 1024);
        Console.WriteLine($"{Encoding.ASCII.GetString(buf)}"); // 출력 결과: pid:[4026531836]
    }
}

// 또는, shell을 경유해 readlink(1)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한 결과로 받아도 됩니다.

그러다가, 마이크로소프트도 이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했는지 .NET 6부터는 File과 Directory 타입에 각각 ResolveLinkTarget 정적 메서드를 추가했고,

File.ResolveLinkTarget(String, Boolean)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io.file.resolvelinktarget

Directory.ResolveLinkTarget(String, Boolean)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io.directory.resolvelinktarget

이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readlink/realpath에 해당하는 기능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string path = "...";
FileSystemInfo? fsi = null;

if (File.Exists(path))
{
    FileAttributes attrs = File.GetAttributes(path);
    Console.WriteLine(attrs);
    if ((attrs & FileAttributes.ReparsePoint) == FileAttributes.ReparsePoint)
    {
        fsi = File.ResolveLinkTarget(path, true);
    }
}
else if (Directory.Exists(path))
{
    FileAttributes attrs = File.GetAttributes(path);
    Console.WriteLine(attrs);
    if ((attrs & FileAttributes.ReparsePoint) == FileAttributes.ReparsePoint)
    {
        fsi = Directory.ResolveLinkTarget(path, true);
    }
}

if (fsi != null)
{
    Console.WriteLine($"{fsi.FullName}");
    Console.WriteLine($"{fsi.Name}");
}

예를 들어, path == "/proc/self/ns/pid"와 같은 파일인 경우 다음과 같은 출력을 얻고,

ReadOnly, ReparsePoint
/proc/self/ns/pid:[4026531836]
pid:[4026531836]

"/bin"과 같은 디렉터리라면 이렇게 나옵니다.

ReadOnly, Directory, ReparsePoint
/usr/bin
bin

참고로, ResolveLinkTarget 메서드는 윈도우 파일 시스템의 링크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05정성태4/18/202121327.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18901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20795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21415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20729.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21400.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20767.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22480.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20451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19425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12595정성태4/12/202121251.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
12594정성태4/11/202120813.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파일 다운로드1
12593정성태4/10/202120605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12592정성태4/10/202120253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12591정성태4/9/202124911.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21438.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12589정성태4/8/202121035.NET Framework: 1032. C# - Environment.OSVersion의 문제점 및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 [1]
12588정성태4/7/202124548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12587정성태4/6/202126263개발 환경 구성: 564. Windows 10 - ClickOnce 배포처럼 사용할 수 있는 MSIX 설치 파일 [1]
12586정성태4/5/202122778오류 유형: 710. Windows - Restart-Computer / shutdown 명령어 수행 시 Access is denied(E_ACCESSDENIED)
12585정성태4/5/202121189개발 환경 구성: 563. 기본 생성된 kubeconfig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생성한 인증서로 구성하는 방법
12584정성태4/1/202122659개발 환경 구성: 562. kubeconfig 파일 없이 kubectl 옵션만으로 실행하는 방법
12583정성태3/29/202122176개발 환경 구성: 561. kubectl 수행 시 다른 k8s 클러스터로 접속하는 방법
12582정성태3/29/202122875오류 유형: 709. Visual C++ - 컴파일 에러 error C2059: syntax error: '__stdcall'
12581정성태3/28/202122848.NET Framework: 1031. WinForm/WPF에서 Console 창을 띄워 출력하는 방법 (2) - Output 디버깅 출력을 AllocConsole로 우회 [2]
12580정성태3/28/202120499오류 유형: 708.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Execution Timeout Expired.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