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96. 마우스 커서가 놓인 지점의 문자열 얻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61

닷넷: 2366. C# - UIAutomationClient를 이용해 시스템 트레이의 아이콘을 열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4018




C# - UIAutomationClient를 이용해 시스템 트레이의 아이콘을 열거하는 방법

UIAutomationClient.dll의 경우 .NET Framework과 함께 배포되므로 아래의 경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v3.0\UIAutomationClient.dll
C:\Program Files\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v3.0\UIAutomationTypes.dll

(내부 의존성에 의해 "UIAutomationProvider.dll"도 자동 참조됨)

따라서 Visual Studio의 경우 참조 추가 메뉴를 사용하거나, 혹은 직접 csproj에 추가해도 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ToolsVersion="15.0"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Import Project="$(MSBuildExtensionsPath)\$(MSBuildToolsVersion)\Microsoft.Common.props" Condition="Exists('$(MSBuildExtensionsPath)\$(MSBuildToolsVersion)\Microsoft.Common.props')" />

  <!-- ...[생략]... -->

  <ItemGroup>
    <!-- ...[생략]... -->
    <Reference Include="UIAutomationClient">
      <HintPath>C:\Program Files\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v3.0\UIAutomationClient.dll</HintPath>
    </Reference>
    <Reference Include="UIAutomationTypes">
      <HintPath>C:\Program Files\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v3.0\UIAutomationTypes.dll</HintPath>
    </Reference>
  </ItemGroup>

  <!-- ...[생략]... -->

</Project>

적절한 예제 코드를 다음의 글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Enumerating notification icons via UI Automation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41013-00/?p=43863

따라서 이렇게 코딩을 추가하고,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Windows.Automation;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each (var icon in EnumNotificationIcons())
        {
            string name = icon.GetCurrentPropertyValue(AutomationElement.NameProperty) as string;
            if (name == null)
            {
                continue;
            }
        }
    }

    public static IEnumerable<AutomationElement> EnumNotificationIcons()
    {
        Console.WriteLine("[Enumerating User Promoted Notification Area...]");
        var userArea = AutomationElement.RootElement.Find(
                          "User Promoted Notification Area");
        if (userArea != null)
        {
            foreach (var button in userArea.EnumChildButtons())
            {
                Console.WriteLine($"\t{RemoveLine(button.Current.Name)}");
                yield return button;
            }

            Console.WriteLine("\n\t[Enumerating System Promoted Notification Area...]");
            foreach (var button in userArea.GetTopLevelElement().Find(
                          "System Promoted Notification Area").EnumChildButtons())
            {
                Console.WriteLine($"\t\t{RemoveLine(button.Current.Name)}");
                yield return button;
            }
        }

        Console.WriteLine("\n[Enumerating Notification Chevron...]");
        var chevron = AutomationElement.RootElement.Find("Notification Chevron");
        if (chevron != null && chevron.InvokeButton())
        {
            Console.WriteLine("\n\t[Enumerating Overflow Notification Area...]");
            foreach (var button in AutomationElement.RootElement.Find(
                               "Overflow Notification Area").EnumChildButtons())
            {
                Console.WriteLine($"\t\t{RemoveLine(button.Current.Name)}");
                yield return button;
            }
        }
    }

    static string RemoveLine(string s)
    {
        return s.Replace("\n", ", ").Replace("\r", "");
    }
}

static class AutomationElementHelpers
{
    public static AutomationElement Find(this AutomationElement root, string name)
    {
        return root.FindFirst(
         TreeScope.Descendants,
         new PropertyCondition(AutomationElement.NameProperty, name));
    }

    public static IEnumerable<AutomationElement> EnumChildButtons(this AutomationElement parent)
    {
        return parent == null ? Enumerable.Empty<AutomationElement>()
                              : parent.FindAll(TreeScope.Children,
          new PropertyCondition(AutomationElement.ControlTypeProperty,
                                ControlType.Button)).Cast<AutomationElement>();
    }

    public static bool InvokeButton(this AutomationElement button)
    {
        var invokePattern = button.GetCurrentPattern(InvokePattern.Pattern)
                           as InvokePattern;
        if (invokePattern != null)
        {
            invokePattern.Invoke();
        }
        return invokePattern != null;
    }

    static public AutomationElement GetTopLevelElement(this AutomationElement element)
    {
        AutomationElement parent;
        while ((parent = TreeWalker.ControlViewWalker.GetParent(element)) !=
             AutomationElement.RootElement)
        {
            element = parent;
        }
        return element;
    }
}

다음과 같은 tray 상황에서,

ui_auto_reference_3.png

실행하면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c:\temp> ConsoleApp2.exe
[Enumerating User Promoted Notification Area...]
        testad.com, Internet access
        The Audio Service is not running.

        [Enumerating System Promoted Notification Area...]

[Enumerating Notification Chevron...]

        [Enumerating Overflow Notification Area...]
                CPU 12%Memory 24%

위의 결과에서 재미있는 부분은, (CPU 12%Memory 24% 툴팁 텍스트를 보여주는) "작업 관리자" 아이콘의 경우 "펼침" 버튼이 (사용자가 아닌) 코드에 의해 눌려 나타나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왜냐하면 UI Automation은 실제로 UI 요소가 있어야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아래의 코드가 그 동작을 수행해,

Console.WriteLine("\n[Enumerating Notification Chevron...]");
var chevron = AutomationElement.RootElement.Find("Notification Chevron");
if (chevron != null && chevron.InvokeButton())
{
    // ...[생략]...
}

숨겨진 아이콘을 펼치고 나서 "작업 관리자" 아이콘을 찾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참고로, 하드 코딩된 UI 요소의 이름은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User Promoted Notification Area
System Promoted Notification Area

SPY++로 찾아보면 "TrayNotifyWnd"라는 윈도우 클래스를 가진 하위에서 찾을 수 있는 윈도우인데,

ui_auto_reference_2.png

유의해야 할 점은, 이 문자열이 다국어 처리가 돼 있기 때문에, 가령 한글 윈도우라면 각각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의미인즉, 범용으로 저 코드를 사용하기는 힘들다는 뜻입니다.)

사용자 지정 알림 영역
시스템 프롬프트 알림 영역

그리고 또 한 가지 더 유의할 점이 있는데요, 작업 관리자의 구조 변화로 인해 Windows 11 / Windows Server 2025부터는 "TrayNotifyWnd"가 하위 윈도우를 갖지도 않고 저 이름에 해당하는 UI 요소도 없어졌으므로 출력이 나오지 않습니다. (세밀하게 테스트한 것은 아니지만, 대략 10.0.26100 버전부터 바뀐 것 같습니다.)




재미 삼아 위의 작업을 .NET Core/5+ 프로젝트로도 시도해 봤습니다. 그런데,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프로젝트의 경우 직접적인 DLL 참조를 위한 메뉴가 없군요. ^^

ui_auto_reference_0.png

보는 바와 같이 "Add Project Reference...", "Add Shared Project Reference...", "Add COM Reference..." 메뉴만 있고, DLL을 직접 참조할 수 있는 "Add Reference..." 메뉴가 없는데요, 상관없습니다. 그냥 아무거나 "Add ... " 메뉴를 선택해 일단 "Reference Manager" 창만 띄우면 이후 "Browse" 탭을 선택해 "Browse..." 버튼을 눌러 DLL 참조를 할 수 있습니다.

ui_auto_reference_1.png

혹은 그냥 csproj에 이렇게 추가해도 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ropertyGroup>

  <ItemGroup>
    <Reference Include="UIAutomationClient">
      <HintPath>C:\Program Files\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v3.0\UIAutomationClient.dll</HintPath>
    </Reference>
    <Reference Include="UIAutomationTypes">
      <HintPath>C:\Program Files\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v3.0\UIAutomationTypes.dll</HintPath>
    </Reference>
  </ItemGroup>

</Project>

하지만, 이 정도의 구성으로는 빌드 시 컴파일 오류는 없지만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Method not found: 'System.Windows.Rect System.Windows.Automation.Provider.IRawElementProviderFragment.get_BoundingRectangle()'.
   at MS.Internal.Automation.UiaCoreApi.OnGetProvider(IntPtr hwnd, ProviderType providerType)
   at MS.Internal.Automation.UiaCoreApi.RawUiaGetRootNode(SafeNodeHandle& hnode)
   at MS.Internal.Automation.UiaCoreApi.UiaGetRootNode()
   at System.Windows.Automation.AutomationElement.get_RootElement()
   at ConsoleApp1.Program.EnumNotificationIcons()+MoveNext()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검색해 보면 유사한 질문이 나오는데요,

C# Having issues with UIAutomation Reference- get_BoundingRectangle() method not found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1987982/c-sharp-having-issues-with-uiautomation-reference-get-boundingrectangle-metho

아쉽게도 답은, .NET Framework 프로젝트로 해결했다고만 합니다. 실제 원인은 "Microsoft.NET.Sdk"가 UIAutomation 의존성을 갖지 않아 관련 어셈블리들이 로드되지 않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Console 프로젝트라면 다음과 같이 명시적으로 UseWindowsForms 옵션을 켜야만 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windows</TargetFramework>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ropertyGroup>

    <!-- ...[생략]... -->

</Project>

혹은, 아래와 같은 글이 있는 걸로 봐서는,

How to use AutomationElement in a .NET Core 8 console application?
; https://www.simonmourier.com/blog/How-to-use-AutomationElement-in-a-NET-Core-8-console-application/

아예 COM 개체로 다뤄도 될 듯합니다. 단지 COM 개체보다는 .NET Assembly로 참조하는 것이 더 편리하므로 직접 DLL을 참조하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36정성태9/21/202025429.NET Framework: 942. C# - WOL(Wake On Lan) 구현
12335정성태9/21/202036033Linux: 31. 우분투 20.04 초기 설정 - 고정 IP 및 SSH 설치
12334정성태9/21/202020492오류 유형: 652.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12333정성태9/20/202020905.NET Framework: 941.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
12332정성태9/18/202023335.NET Framework: 940. C# - Windows Forms ListView와 DataGridView의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331정성태9/18/202022748오류 유형: 651. repadmin /syncall - 0x80090322 The target principal name is incorrect.
12330정성태9/18/202023478.NET Framework: 939.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2329정성태9/16/202026144오류 유형: 650. ASUS 메인보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치 후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프로세스 무한 종료 현상
12328정성태9/16/202022797VS.NET IDE: 150. TFS의 이력에서 "Get This Version"과 같은 기능을 Git으로 처리한다면?
12327정성태9/12/202022193.NET Framework: 938. C# -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제어파일 다운로드1
12326정성태9/12/202021847개발 환경 구성: 516. Azure VM의 Network Adapter를 실수로 비활성화한 경우
12325정성태9/12/202020445개발 환경 구성: 515. OpenVPN - 재부팅 후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기능이 동작 안하는 문제
12324정성태9/11/202020755개발 환경 구성: 514. smigdeploy.exe를 이용한 Windows Server 2016에서 2019로 마이그레이션 방법
12323정성태9/11/202021192오류 유형: 649. Copy Database Wizard - The job failed. Check the event log on the destination server for details.
12322정성태9/11/202025759개발 환경 구성: 513. Azure VM의 RDP 접속 위치 제한 [1]
12321정성태9/11/202019443오류 유형: 648. netsh http add urlacl - Error: 183 Cannot create a file when that file already exists.
12320정성태9/11/202023278개발 환경 구성: 512. RDP(원격 데스크톱) 접속 시 비밀 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해야 하는 경우
12319정성태9/10/202020870오류 유형: 647. smigdeploy.exe를 Windows Server 2016에서 실행할 때 .NET Framework 미설치 오류 발생
12318정성태9/9/202019708오류 유형: 646. OpenVPN - "TAP-Windows Adapter V9" 어댑터의 "Network cable unplugged" 현상
12317정성태9/9/202024325개발 환경 구성: 511. Beats용 Kibana 기본 대시 보드 구성 방법
12316정성태9/8/202022298디버깅 기술: 170. WinDbg Preview 버전부터 닷넷 코어 3.0 이후의 메모리 덤프에 대해 sos.dll 자동 로드
12315정성태9/7/202024555개발 환경 구성: 510. Logstash - FileBeat을 이용한 IIS 로그 처리 [2]
12314정성태9/7/202024302오류 유형: 645. IIS HTTPERR - Timer_MinBytesPerSecond, Timer_ConnectionIdle 로그
12313정성태9/6/202024459개발 환경 구성: 509. Logstash - 사용자 정의 grok 패턴 추가를 이용한 IIS 로그 처리
12312정성태9/5/202031916개발 환경 구성: 508. Logstash 기본 사용법 [2]
12311정성태9/4/202024614.NET Framework: 937. C# - 간단하게 만들어 보는 리눅스의 nc(netcat), json_pp 프로그램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