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hisper.net - System.Exception: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Whisper.NET 사용 시 기본 예제 코드를 그대로,

sandrohanea / whisper.net
; https://github.com/sandrohanea/whisper.net

using var whisperFactory = WhisperFactory.FromPath("ggml-base.bin");

using var processor = whisperFactory.CreateBuilder()
    .WithLanguage("auto")
    .Build();

using var fileStream = File.OpenRead(wavFileName);

await foreach (var result in processor.ProcessAsync(fileStream))
{
    Console.WriteLine($"{result.Start}->{result.End}: {result.Text}");
}

사용하는 경우, 가령 위의 예제 코드에서 ProcessAsync 후 중간에 탈출해 버리면,

await foreach (var result in processor.ProcessAsync(fileStream))
{
    Console.WriteLine($"{result.Start}->{result.End}: {result.Text}");
	break; // 중간에 탈출
}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라는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Exception: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at Whisper.net.WhisperProcessor.Dispose()
   at Program.Main(String[] args)
   at Program.<Main>(String[] args)

처음엔 저 오류가 BCL(.NET 기본 라이브러리)에서 발생하는 줄 알고 다소 헤맸는데요, 실제로는 Whisper.NET 내에서 생성한 예외였습니다. 잠시 살펴볼까요? ^^

우선, 오류 메시지에서 알 수 있듯이, Dispose에서 발생하는 건데요,

public void Dispose()
{
    if (processingSemaphore.CurrentCount == 0)
    {
    	throw new Exception("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
    // ...[생략]...
}

조건은 세마포어가 0일 때이고, 이와 관련된 소스 코드를 보면,

internal WhisperProcessor(WhisperProcessorOptions options, INativeWhisper nativeWhisper)
{
    this.options = options;
    this.nativeWhisper = nativeWhisper;
    myId = Interlocked.Increment(ref currentProcessorId);
    processorInstances[myId] = this;
    currentWhisperContext = options.ContextHandle;
    whisperParams = GetWhisperParams();
    processingSemaphore = new SemaphoreSlim(1);
}

public unsafe void Process(ReadOnlySpan<float> samples)
{
    if (isDisposed)
    {
        throw new ObjectDisposedException("This processor has already been disposed.");
    }
    fixed (float* samples2 = samples)
    {
        nint whisperState = GetWhisperState();
        try
        {
            processingSemaphore.Wait();
            segmentIndex = 0;
            nativeWhisper.Whisper_Full_With_State(currentWhisperContext, whisperState, whisperParams, (nint)samples2, samples.Length);
        }
        finally
        {
            nativeWhisper.Whisper_Free_State(whisperState);
            processingSemaphore.Release();
        }
    }
}

음성 인식을 하는 단계에서 세마포어를 획득/해제하고 있는데, 따라서 만약 비동기 호출로 세마포어가 아직 해제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Dispose가 호출되면 예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문제의 해결 방법은, 예외 메시지에서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는 것처럼 동기 방식의 Dispose가 아닌 IAsyncDisposable 방식의 DisposeAsync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를 위해 소스 코드에서는 using var ... 코드에 await을 추가해 주면 됩니다.

await using var processor = whisperFactory.CreateBuilder()
    .WithLanguage("auto")
    .Build();

혹은, 원론적으로 try ... finally 구문으로 풀어낸 후 finally에서 DisposeAsync를 호출해도 됩니다.

WhisperProcessor? processor = whisperFactory.CreateBuilder()
    .WithLanguage("auto")
    .Build();

try
{
    await foreach (var result in processor.ProcessAsync(wavStream))
    {
        Console.WriteLine($"{result.Start}->{result.End}: {result.Text}");
        break;
    }
}
finally
{
    await processor.DisposeAsync();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3정성태12/10/201230399개발 환경 구성: 177. 기업용 메신저를 위한 Office Communicator Server 2007 설치 [1]
1382정성태12/8/201232600개발 환경 구성: 176. WebPagetest 서버 - 설치 및 테스트
1381정성태12/5/201231796.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380정성태11/28/201242191.NET Framework: 346. 닷넷 개발자에게 Node.js의 의미 [17]
1379정성태11/26/201235560.NET Framework: 345. C# 부호(+, -)에 대한 비트 변환 [1]
1378정성태11/22/201236400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1377정성태11/19/201230523.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
1376정성태11/15/201235000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
1375정성태11/15/201231168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374정성태11/13/201228266개발 환경 구성: 175. Visual Studio의 "Extension Manager"에서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되었다면!
1373정성태11/13/201229332.NET Framework: 343. VB.NET 어셈블리의 .NET Reflector 소스 코드를 분석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항
1372정성태11/1/2012123982Windows: 67.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 [57]
1371정성태10/31/201232354.NET Framework: 342. Python의 zip과 with 문 context를 C#과 비교하면. [3]파일 다운로드1
1370정성태10/31/201226504VS.NET IDE: 75. Visual Studio - "Active Solution Platform" 변경을 툴바에서 하는 방법
1369정성태10/31/201239700개발 환경 구성: 174. 윈도우에서 Mono 개발 환경 구성 [4]
1368정성태10/31/201232108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1367정성태10/30/201238918개발 환경 구성: 172. IIS 7.5부터 지원되는 웹 사이트 자동 시작 모드 [1]
1366정성태10/24/201230425개발 환경 구성: 171. GTK+를 윈도우 환경에 수작업 설치
1365정성태10/24/201229687개발 환경 구성: 170. 우분투 데스크톱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2]
1364정성태10/19/201226419Windows: 66. Hyper-V 2012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를 이용한 Live Migration
1363정성태10/16/201233926개발 환경 구성: 169. Objective-C의 대안 - Xamarin의 Mono를 이용한 C# iOS 개발 환경 [2]
1362정성태10/16/201233769개발 환경 구성: 168. 우분투 서버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1361정성태10/12/201227247.NET Framework: 341. .NET COM+ 를 Managed/Native 클라이언트에서 각각 호출했을 때의 콜 스택 비교 [4]파일 다운로드1
1360정성태10/9/201232058.NET Framework: 340. Windows Server 2012 - .NET Framework 1.x 미지원
1359정성태10/9/201267937Windows: 65. 윈도우 8 - Internet Explorer 10을 32비트 또는 64비트로 통합 [5]
1358정성태9/27/201231205.NET Framework: 339. .NET Profiler 주의 사항 - 하나의 exe 프로세스 내에 다중 .NET 런타임 사용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