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hisper.net - System.Exception: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Whisper.NET 사용 시 기본 예제 코드를 그대로,

sandrohanea / whisper.net
; https://github.com/sandrohanea/whisper.net

using var whisperFactory = WhisperFactory.FromPath("ggml-base.bin");

using var processor = whisperFactory.CreateBuilder()
    .WithLanguage("auto")
    .Build();

using var fileStream = File.OpenRead(wavFileName);

await foreach (var result in processor.ProcessAsync(fileStream))
{
    Console.WriteLine($"{result.Start}->{result.End}: {result.Text}");
}

사용하는 경우, 가령 위의 예제 코드에서 ProcessAsync 후 중간에 탈출해 버리면,

await foreach (var result in processor.ProcessAsync(fileStream))
{
    Console.WriteLine($"{result.Start}->{result.End}: {result.Text}");
	break; // 중간에 탈출
}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라는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Exception: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at Whisper.net.WhisperProcessor.Dispose()
   at Program.Main(String[] args)
   at Program.<Main>(String[] args)

처음엔 저 오류가 BCL(.NET 기본 라이브러리)에서 발생하는 줄 알고 다소 헤맸는데요, 실제로는 Whisper.NET 내에서 생성한 예외였습니다. 잠시 살펴볼까요? ^^

우선, 오류 메시지에서 알 수 있듯이, Dispose에서 발생하는 건데요,

public void Dispose()
{
    if (processingSemaphore.CurrentCount == 0)
    {
    	throw new Exception("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
    // ...[생략]...
}

조건은 세마포어가 0일 때이고, 이와 관련된 소스 코드를 보면,

internal WhisperProcessor(WhisperProcessorOptions options, INativeWhisper nativeWhisper)
{
    this.options = options;
    this.nativeWhisper = nativeWhisper;
    myId = Interlocked.Increment(ref currentProcessorId);
    processorInstances[myId] = this;
    currentWhisperContext = options.ContextHandle;
    whisperParams = GetWhisperParams();
    processingSemaphore = new SemaphoreSlim(1);
}

public unsafe void Process(ReadOnlySpan<float> samples)
{
    if (isDisposed)
    {
        throw new ObjectDisposedException("This processor has already been disposed.");
    }
    fixed (float* samples2 = samples)
    {
        nint whisperState = GetWhisperState();
        try
        {
            processingSemaphore.Wait();
            segmentIndex = 0;
            nativeWhisper.Whisper_Full_With_State(currentWhisperContext, whisperState, whisperParams, (nint)samples2, samples.Length);
        }
        finally
        {
            nativeWhisper.Whisper_Free_State(whisperState);
            processingSemaphore.Release();
        }
    }
}

음성 인식을 하는 단계에서 세마포어를 획득/해제하고 있는데, 따라서 만약 비동기 호출로 세마포어가 아직 해제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Dispose가 호출되면 예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문제의 해결 방법은, 예외 메시지에서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는 것처럼 동기 방식의 Dispose가 아닌 IAsyncDisposable 방식의 DisposeAsync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를 위해 소스 코드에서는 using var ... 코드에 await을 추가해 주면 됩니다.

await using var processor = whisperFactory.CreateBuilder()
    .WithLanguage("auto")
    .Build();

혹은, 원론적으로 try ... finally 구문으로 풀어낸 후 finally에서 DisposeAsync를 호출해도 됩니다.

WhisperProcessor? processor = whisperFactory.CreateBuilder()
    .WithLanguage("auto")
    .Build();

try
{
    await foreach (var result in processor.ProcessAsync(wavStream))
    {
        Console.WriteLine($"{result.Start}->{result.End}: {result.Text}");
        break;
    }
}
finally
{
    await processor.DisposeAsync();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42정성태6/17/200932041.NET Framework: 144. WPF -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이 null이라면? [3]
740정성태6/12/200929415.NET Framework: 143. WPF - Transform의 역변환파일 다운로드1
739정성태6/8/200942723.NET Framework: 142.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5]파일 다운로드1
737정성태6/6/200950063.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2
734정성태6/4/200931243.NET Framework: 140. WPF - CellPadding 속성을 구현하는 Grid Layout [2]파일 다운로드1
733정성태5/29/200936854.NET Framework: 139. WPF - "M/d/yyyy h:mm:ss tt" 형식으로만 날짜를 출력하는 문제
732정성태5/27/200931761Team Foundation Server: 32. 팀 빌드 오류 확인 방법
731정성태5/27/200926709Team Foundation Server: 31. 팀 빌드 스케줄 확인 방법
730정성태5/26/200932887VS.NET IDE: 63. Visual Studio 2010 - Parallel Stacks [1]
729정성태5/25/200932166.NET Framework: 138. InternalsVisibleTo와 Public Key 값
728정성태5/23/200942701.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파일 다운로드1
727정성태5/22/200926932오류 유형: 82. 메서드가 많은 경우 프록시 클래스 생성 실패
726정성태5/21/200926245VS.NET IDE: 62. Visual Studio 2010 Beta1 버그 피드백 - EnC기능 오류 [1]
725정성태5/21/200930582VS.NET IDE: 61. Visual Studio 2010 베타1과 Visual Studio 2008의 혼합 개발 [2]
724정성태5/19/200946185.NET Framework: 136. 자바와 닷넷의 압축 호환파일 다운로드2
723정성태5/18/200938827.NET Framework: 135. C# - Deflate, GZip, Zip
722정성태5/18/200926834개발 환경 구성: 45. SQL 서버 2008 백업 구성 [2]
721정성태5/14/200932796오류 유형: 81. Package 실행 오류 - Error 15404
720정성태5/13/200929774오류 유형: 80. SQL Server 2008 - Package 실행 오류의 구체적인 원인 확인
719정성태5/12/200930285.NET Framework: 134. WPF - XBAP을 호스팅하고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페이스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717정성태5/11/200930822개발 환경 구성: 44.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714정성태5/7/200929251Windows: 45. Windows 7 RC와 함께 공개된 Windows Virtual PC 베타
713정성태4/30/200961191오류 유형: 79. DLL 'xxxxx.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1]
712정성태4/28/200933892오류 유형: 78. Windows Vista/2008에서의 MSXML4.cab 파일 배포 문제
711정성태4/27/200933810개발 환경 구성: 43. Hyper-V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710정성태4/26/200934728.NET Framework: 133. CallbackOnCollectedDelegate was detected [4]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