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hisper.net - System.Exception: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Whisper.NET 사용 시 기본 예제 코드를 그대로,

sandrohanea / whisper.net
; https://github.com/sandrohanea/whisper.net

using var whisperFactory = WhisperFactory.FromPath("ggml-base.bin");

using var processor = whisperFactory.CreateBuilder()
    .WithLanguage("auto")
    .Build();

using var fileStream = File.OpenRead(wavFileName);

await foreach (var result in processor.ProcessAsync(fileStream))
{
    Console.WriteLine($"{result.Start}->{result.End}: {result.Text}");
}

사용하는 경우, 가령 위의 예제 코드에서 ProcessAsync 후 중간에 탈출해 버리면,

await foreach (var result in processor.ProcessAsync(fileStream))
{
    Console.WriteLine($"{result.Start}->{result.End}: {result.Text}");
	break; // 중간에 탈출
}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라는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Exception: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at Whisper.net.WhisperProcessor.Dispose()
   at Program.Main(String[] args)
   at Program.<Main>(String[] args)

처음엔 저 오류가 BCL(.NET 기본 라이브러리)에서 발생하는 줄 알고 다소 헤맸는데요, 실제로는 Whisper.NET 내에서 생성한 예외였습니다. 잠시 살펴볼까요? ^^

우선, 오류 메시지에서 알 수 있듯이, Dispose에서 발생하는 건데요,

public void Dispose()
{
    if (processingSemaphore.CurrentCount == 0)
    {
    	throw new Exception("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
    // ...[생략]...
}

조건은 세마포어가 0일 때이고, 이와 관련된 소스 코드를 보면,

internal WhisperProcessor(WhisperProcessorOptions options, INativeWhisper nativeWhisper)
{
    this.options = options;
    this.nativeWhisper = nativeWhisper;
    myId = Interlocked.Increment(ref currentProcessorId);
    processorInstances[myId] = this;
    currentWhisperContext = options.ContextHandle;
    whisperParams = GetWhisperParams();
    processingSemaphore = new SemaphoreSlim(1);
}

public unsafe void Process(ReadOnlySpan<float> samples)
{
    if (isDisposed)
    {
        throw new ObjectDisposedException("This processor has already been disposed.");
    }
    fixed (float* samples2 = samples)
    {
        nint whisperState = GetWhisperState();
        try
        {
            processingSemaphore.Wait();
            segmentIndex = 0;
            nativeWhisper.Whisper_Full_With_State(currentWhisperContext, whisperState, whisperParams, (nint)samples2, samples.Length);
        }
        finally
        {
            nativeWhisper.Whisper_Free_State(whisperState);
            processingSemaphore.Release();
        }
    }
}

음성 인식을 하는 단계에서 세마포어를 획득/해제하고 있는데, 따라서 만약 비동기 호출로 세마포어가 아직 해제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Dispose가 호출되면 예외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문제의 해결 방법은, 예외 메시지에서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는 것처럼 동기 방식의 Dispose가 아닌 IAsyncDisposable 방식의 DisposeAsync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를 위해 소스 코드에서는 using var ... 코드에 await을 추가해 주면 됩니다.

await using var processor = whisperFactory.CreateBuilder()
    .WithLanguage("auto")
    .Build();

혹은, 원론적으로 try ... finally 구문으로 풀어낸 후 finally에서 DisposeAsync를 호출해도 됩니다.

WhisperProcessor? processor = whisperFactory.CreateBuilder()
    .WithLanguage("auto")
    .Build();

try
{
    await foreach (var result in processor.ProcessAsync(wavStream))
    {
        Console.WriteLine($"{result.Start}->{result.End}: {result.Text}");
        break;
    }
}
finally
{
    await processor.DisposeAsync();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38정성태1/24/200727732.NET Framework: 76. C# 3.0 - 확장 메서드
437정성태1/23/200736101Windows: 16. 개발자를 위한 UAC 환경 설정 [3]
436정성태1/17/200725445VS.NET IDE: 42. Orcas 2007년 1월 CTP 버전 설치 [5]
435정성태1/14/200724466기타: 17. 베타 제품과 최종 제품은 다르다 [2]
434정성태2/4/200728680Windows: 15. MIC 환경 구성 - Windows XP와 유사한 보안 설정 [4]
433정성태1/12/200738167Windows: 14. 보호 모드와 필수 무결성 제어(MIC: Mandatory Integrity Control) [3]파일 다운로드1
432정성태1/10/200729122Windows: 13. InitOnceExecuteOnce API 소개 [5]
431정성태1/8/200726605Windows: 12. 비스타는 안전한 윈도우인가? [2]
430정성태1/7/200733030웹: 6. IIS 7 마이그레이션 정리 - Sysnet
427정성태12/30/200623081Team Foundation Server: 14. VS.NET IDE에 통합된 TFS Annotate [1]
425정성태12/29/200627375Windows: 11. Vista IIS 7(Integrated mode)에서의 ASP.NET F5 디버깅 방법
424정성태12/29/200625198기타: 16. 첫걸음 [2]
426정성태12/30/200623548    답변글 기타: 16.1. 예외 발생
420정성태12/27/200628571Windows: 10. Internet Explorer 7.0 호환성 백서 (Word 문서, 1.92MB) [7]파일 다운로드1
419정성태12/25/200630917Windows: 9. VS.NET 2005 원격 디버깅 구성
418정성태12/25/200638920웹: 5. IIS 7에서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 사용 시 주의점 [2]
417정성태12/24/200631049Windows: 8. VS.NET 2005에서의 웹 애플리케이션 디버깅 설정
416정성태1/31/200731318오류 유형: 23. MSI 설치 시 로그 파일 생성하는 레지스트리 설정 [3]
415정성태12/31/200635191개발 환경 구성: 20. 인증서 오류 체크 목록
413정성태12/20/200631585VC++: 26. volatile 키워드 [1]파일 다운로드1
412정성태12/17/200635715오류 유형: 22. VS.NET 2005 SP1 설치 도중 오류 [9]
411정성태12/16/200624570오류 유형: 21.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2) - KB919156 패치 이후 TFS 접근 문제
410정성태12/16/200625756오류 유형: 20.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1) - KB919156 패치
408정성태12/10/200628058Windows: 7. USB 드라이브 내용 암호화
407정성태12/10/200624849오류 유형: 19. Vista 에서의 VS.NET 2005 로 개발한 어셈블리에 대한 서명 확인 오류
406정성태12/10/200630326Windows: 6. IE 7 검색 공급자 - 영한 사전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