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openssh - ssh_host_ed25519_key 파일을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

우선 그에 앞서 ssh 서비스 측의 전체 키 파일들에 대한 보안상 달라진 점을 하나 짚고 가겠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지난 글을 쓸 때까지만 해도 문제가 없었는데,

CentOS 7 컨테이너 내에서 openssh 서버 호스팅
; https://www.sysnet.pe.kr/2/0/13982

근래에 다시 이미지를 빌드했더니 sshd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습니다. ^^; -t 옵션으로 테스트하면 이런 오류 메시지가 나왔는데요,

# /usr/sbin/sshd -t
@@@@@@@@@@@@@@@@@@@@@@@@@@@@@@@@@@@@@@@@@@@@@@@@@@@@@@@@@@@
@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
@@@@@@@@@@@@@@@@@@@@@@@@@@@@@@@@@@@@@@@@@@@@@@@@@@@@@@@@@@@
Permissions 0664 for '/etc/ssh/ssh_host_rsa_key' are too open.
It is required that your private key files are NOT accessible by others.
This private key will be ignored.
key_load_private: bad permissions
Could not load host key: /etc/ssh/ssh_host_rsa_key
@@@@@@@@@@@@@@@@@@@@@@@@@@@@@@@@@@@@@@@@@@@@@@@@@@@@@@@@@@@
@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
@@@@@@@@@@@@@@@@@@@@@@@@@@@@@@@@@@@@@@@@@@@@@@@@@@@@@@@@@@@
Permissions 0664 for '/etc/ssh/ssh_host_ecdsa_key' are too open.
It is required that your private key files are NOT accessible by others.
This private key will be ignored.
key_load_private: bad permissions
Could not load host key: /etc/ssh/ssh_host_ecdsa_key
@@@@@@@@@@@@@@@@@@@@@@@@@@@@@@@@@@@@@@@@@@@@@@@@@@@@@@@@@@@
@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
@@@@@@@@@@@@@@@@@@@@@@@@@@@@@@@@@@@@@@@@@@@@@@@@@@@@@@@@@@@
Permissions 0664 for '/etc/ssh/ssh_host_ed25519_key' are too open.
It is required that your private key files are NOT accessible by others.
This private key will be ignored.
key_load_private: bad permissions
Could not load host key: /etc/ssh/ssh_host_ed25519_key
sshd: no hostkeys available -- exiting.

개인키 파일에 대한 권한이 너무 개방적이라는 경고입니다.

# ls /etc/ssh -al
total 608
drwxr-xr-x 1 root root     51 Oct 15 23:16 .
drwxr-xr-x 1 root root     86 Oct 15 23:36 ..
-rw-r--r-- 1 root root 581843 Apr 11  2018 moduli
-rw-rw-r-- 1 root root    230 Oct 15 07:36 ssh_host_ecdsa_key
-rw-rw-r-- 1 root root    181 Oct 15 07:36 ssh_host_ecdsa_key.pub
-rw-rw-r-- 1 root root    416 Oct 15 07:37 ssh_host_ed25519_key
-rw-rw-r-- 1 root root    101 Oct 15 07:37 ssh_host_ed25519_key.pub
-rw-rw-r-- 1 root root   1700 Oct 15 07:38 ssh_host_rsa_key
-rw-rw-r-- 1 root root    401 Oct 15 07:38 ssh_host_rsa_key.pub
-rw------- 1 root root   3907 Apr 11  2018 sshd_config

반드시 root 자신에게만 허용돼 있어야 한다는 건데요,

ssh "permissions are too open" [closed]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9270734/ssh-permissions-are-too-open

따라서 답글의 내용에 따라 다음의 명령어를 (선택해) 실행하면 됩니다.

[root에게만 읽기/쓰기 권한 부여]
# chmod 600 /etc/ssh/ssh_host_*_key

[root에게만 읽기 권한 부여]
# chmod 400 /etc/ssh/ssh_host_*_key

결국 dockerfile은 이렇게 바뀌어야 합니다.

$ cat centos7.dockerfile
FROM centos:7

# ...[생략]...

COPY ./centos7.repo /etc/yum.repos.d/CentOS-Base.repo

# ...[생략]...
RUN chmod 600 /etc/ssh/ssh_host_*_key
RUN chmod 600 /etc/ssh/ssh_host_key




그런데, ssh 관련 키 파일들을 한 번 생성한 다음, 보관해 두었다가 다음번 docker build 시에 (키 파일을 재사용하려고) 덮어썼더니, 이상하게 ed25519 key 파일을 읽는데 실패합니다.

# /usr/sbin/sshd -t
Could not load host key: /etc/ssh/ssh_host_ed25519_key

그런데, 재사용하겠다던 그 파일을 모두 삭제하고 새롭게 키를 생성하면,

# /usr/bin/ssh-keygen -A
# /usr/sbin/sshd -t

이번엔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 가만 비교해 보니까, 파일 크기가 차이가 나는데요, 파일들이 텍스트 유형이었기 때문에,

# cat ssh_host_ed25519_key
-----BEGIN OPENSSH PRIVATE KEY-----
b3BlbnNzaC1rZXktdjEAAAAABG5vbmUAAAAEbm9uZQAAAAAAAAABAAAAMwAAAAtzc2gtZW
QyNTUxOQAAACCoax5Vp/pzFq53J41Hf5PRJRt41yeE1mPB+ICWXoKaMwAAAJiXTmlZl05p
WQAAAAtzc2gtZWQyNTUxOQAAACCoax5Vp/pzFq53J41Hf5PRJRt41yeE1mPB+ICWXoKaMw
AAAEBN1/mIM4uTCpd+WEt2gDnKiRBEUoRyf02IZpml1cT6O6hrHlWn+nMWrncnjUd/k9El
G3jXJ4TWY8H4gJZegpozAAAAEXJvb3RAYzExNWZkM2UyMmJkAQIDBA==
-----END OPENSSH PRIVATE KEY-----

그대로 복사해 윈도우 환경에서 저장한 다음 업로드 했으므로 "\r\n" 형태로 줄바꿈이 들어갔던 것입니다. 그래서 저 파일을 "\n" 형태로 바꿔서 저장했더니 이후 정상적으로 sshd가 동작했습니다. 그러니까... 유일하게 저 키 파일만 개행을 유닉스 형태로 저장해야 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다른 테스트에서는 약간 오류 메시지가 다릅니다.

# /usr/sbin/sshd -t
key_load_private: invalid format
Could not load host key: /etc/ssh/ssh_host_ed25519_key

분명히 \n 형태로 저장했는데도 로딩을 못하고 있는데요, 이전과 다른 점이라면 특이하게도 "key_load_private: invalid format"라는 메시지가 추가로 나왔다는 것입니다.

"/usr/bin/ssh-keygen -A" 결과물을 생성 후, 제가 백업해 두었던 기존 키 파일들을 덮어쓰면서 비교해 본 결과, "ssh_host_ed25519_key" 파일의 마지막 개행 문자가 없을 때 이런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즉, 아래와 같이 cat 명령어로 출력했을 때,

root@4c3db2910812:/# cat /etc/ssh/ssh_host_ed25519_key
-----BEGIN OPENSSH PRIVATE KEY-----
b3BlbnNzaC1rZXktdjEAAAAABG5vbmUAAAAEbm9uZQAAAAAAAAABAAAAMwAAAAtzc2gtZW
QyNTUxOQAAACBdfMu4hGcLMffTbnjFhPrU1XYWgy37nRWFOH6JyR22LAAAAJh6AUyhegFM
oQAAAAtzc2gtZWQyNTUxOQAAACBdfMu4hGcLMffTbnjFhPrU1XYWgy37nRWFOH6JyR22LA
AAAEABBQPrL8ATSWVmr+531MkFdKq9r5L3dqmw9a42L8XLOF18y7iEZwsx99NueMWE+tTV
dhaDLfudFYU4fonJHbYsAAAAEXJvb3RANjc0N2JmYWE1OGI4AQIDBA==
-----END OPENSSH PRIVATE KEY-----root@4c3db2910812:/#

마지막 개행 문자가 없는 저런 경우를 "invalid format" 오류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이게 보통의 관례가 아닌 것이, 다른 키 파일(rsa, dsa, ecdsa)은 마지막 개행 문자가 없어도,

# cat /etc/ssh/ssh_host_dsa_key
-----BEGIN DSA PRIVATE KEY-----
MIIBuwIBAAKBgQCIQG32XG30PXeJZagB8hnjcp/l7rzF8rgSQGBa+OJc3DHEUX9t
T95ps00/uJS1KxpcWEhlbkhrQ4EZcj078SGSmM8pYjbhXkjgJMTI0wKlxByUl5HZ
jB6SdPYCetg6AN95Zujot1CFtoFGw7pCaO5otZ72qxszlK1dXhmcYzubmQIVAO/C
VTcbWZPHblmdPDUIz82T+LtRAoGAd8wZm0WSD1fXZzIuXXqpoNM68zQ6SIN993LQ
6Ce1aA/gzk9Ll0mBjcKomousJ0TpN/KtrQG1IzJXWOEKKyCnKxT34sN/IkaNHa+A
NItHYGgS3a0LySr2rvY9u18J4Kj29i8z1Gx2yK77+/6QZugh7p53FjDFPamM10ib
wkQ8xsICgYAibFUiKf1t9wcYc7OCwaK1ztehlFy5tl8YXlEA2QepO8TpbeNbTzb+
e9Z1i4EiBVPXxJEUXPjvvM+noJKT8u4RmG97blBFcq3gTMHLY00xzIozIPrELvV2
7wWbvjBA1oYDp3kj3o2oqDwb9EKGgx9tWmrV6pX2HNWR6lUnOUnhHwIVALKXJ6fH
wJ34KXMeQEgA/qkI9Tqn
-----END DSA PRIVATE KEY-----root@4c3db2910812:/#

"/usr/sbin/sshd -t" 테스트를 잘 통과합니다. 정리하면, ssh_host_ed25519_key 파일의 경우 1) 개행을 \n 글자로만 해야 하고, 마지막에 반드시 개행 문자를 포함해야만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93정성태12/26/201924843.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22721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26668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25664.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22811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23218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23098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26387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24937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24368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6915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5419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8353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24648.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6940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7300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4154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24279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25874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24582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4618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21114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6016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7414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25009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33628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