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Linux: 127.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 https://www.sysnet.pe.kr/2/0/14030

Linux: 128.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2)
; https://www.sysnet.pe.kr/2/0/14031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테스트를 위해 다음과 같은 Dockerfile을 작성 후,

$ echo ${USER}
testusr

$ echo "FROM mcr.microsoft.com/dotnet/runtime:8.0 AS base" > Dockerfile

컨테이너를 빌드한 다음, volume을 매핑해 실행해 봅니다.

$ docker build -t dotnet_test .

$ docker run --rm -it -v dotnet_test_dir:/app --name dotnet_test_inst dotnet_test /bin/bash

컨테이너 내부에서 sleep 명령어를 실행한 후,

// dotnet_test_inst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

root@fecc129e121d:/# echo "TEST" > /app/test.txt

root@fecc129e121d:/# sleep 200

호스팅하는 리눅스 서버에서 해당 프로세스를 확인해 보면 root 권한으로 실행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 docker 호스팅 서버에서 실행

$ ps aux | grep " sleep 200"
root     2950631  0.0  0.0   2492  1304 pts/0    S+   13:15   0:00 sleep 200

그렇다면 당연히 매핑된 volume도 root 소유권이 됩니다.

// docker 호스팅 서버에서 실행

$ docker volume inspect dotnet_test_dir
[
    {
        "CreatedAt": "2025-10-11T04:15:18Z",
        "Driver": "local",
        "Labels": null,
        "Mountpoint": "/mnt/docker-data/docker/volumes/dotnet_test_dir/_data",
        "Name": "dotnet_test_dir",
        "Options": null,
        "Scope": "local"
    }
]

$ ls -la /mnt/docker-data/docker/volumes/dotnet_test_dir/_data      
total 4
drwxr-xr-x 2 root root 30 Oct 11 13:43 .
drwx-----x 3 root root 27 Oct 11 13:15 ..
-rw-r--r-- 1 root root  5 Oct 11 13:43 test.txt

$ cat /mnt/docker-data/docker/volumes/dotnet_test_dir/_data/test.txt
TEST

$ sudo ls -la /mnt/docker-data/docker/volumes/ | grep dotnet_test_dir
drwx-----x   3 root     root     27 Oct 11 13:15 dotnet_test_dir

$ sudo ls -la /mnt/docker-data/docker/volumes/dotnet_test_dir
total 24
drwx-----x   3 root root     27 Oct 11 13:15 .
drwxrwxr-x 238 root test  20480 Oct 11 13:15 ..
drwxr-xr-x   2 root root      6 Oct 11 13:15 _data

그리고 root 이외의 사용자/그룹에 대해서는 'w'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저렇게 생성한 volume을 그대로 두고, Dockerfile을 "User app"으로 시작하도록 수정해 보겠습니다.

// runtime:8.0 이미지에는 "app"이라는 비루트 사용자가 미리 정의돼 있음

$ echo -e "FROM mcr.microsoft.com/dotnet/runtime:8.0 AS base\nUSER app" > app.Dockerfile

$ docker build -f app.Dockerfile -t dotnet_test_non_root .

우선 볼륨 매핑 없이 컨테이너를 실행해 볼까요?

$ docker run -it --name dotnet_test_non_root_inst dotnet_test_non_root /bin/bash

app@4638f8e580ed:/$ whoami
app

app@4638f8e580ed:/$ id -u
1654

app@4638f8e580ed:/$ echo $UID
1654

app@4638f8e580ed:/$ id
uid=1654(app) gid=1654(app) groups=1654(app)

app@4638f8e580ed:/$ sleep 200

그럼 저 프로세스(sleep 200)의 소유권을 docker 호스팅 서버에서 확인해 보면,

$ ps aux | grep " sleep 200"
1654     2954740  0.0  0.0   2492  1316 pts/0    S+   13:25   0:00 sleep 200

이전에 "root"로 나왔던 사용자 칼럼의 값이 저렇게 번호(위의 경우 1654)로 나옵니다. 그러니까, 컨테이너를 위해 격리된 user namespace 내에서만 존재하는 사용자이기 때문에 호스팅 서버에서는 저렇게 UID(사용자 ID)로만 표시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이전에 매핑했던 볼륨을 "USER ..."로 실행한 컨테이너 내에서 접근하면 어떻게 될까요?

$ docker run --rm -it -v dotnet_test_dir:/app --name dotnet_test_non_root_inst dotnet_test_non_root /bin/bash

app@66d0fca6897b:/app$ ls -la /app
total 4
drwxr-xr-x 2 root root 30 Oct 11 04:43 .
drwxr-xr-x 1 root root 25 Oct 11 04:46 ..
-rw-r--r-- 1 root root  5 Oct 11 04:43 test.txt

app@66d0fca6897b:/app$ cat /app/test.txt
TEST

app@66d0fca6897b:/app$ echo "TEST2" > test2.txt"
bash: test2.txt: Permission denied

app@66d0fca6897b:/app$ mkdir test
mkdir: cannot create directory 'test': Permission denied

보는 바와 같이, "USER ..." 설정의 추가로 인해 기존에 생성해 두었던 볼륨을 읽기 전용으로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새롭게 변경한 환경에서 기존 볼륨을 사용하고 싶다면 호스팅 서버에서 해당 볼륨의 소유권을 적절하게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궁금해지는군요. 처음부터 "USER ..." 설정을 사용한 docker 컨테이너에 볼륨이 매핑되었다면 해당 볼륨의 소유권은 어떻게 될까요?

$ docker run --rm -it -v dotnet_test_dir2:/app --name dotnet_test_non_root_inst2 dotnet_test_non_root /bin/bash

// docker 호스팅 서버에서 실행

$ docker volume inspect dotnet_test_dir2
...[생략]...

$ ls -la /mnt/docker-data/docker/volumes/dotnet_test_dir2/_data
total 0
drwxr-xr-x 2 root root 10 Oct 11 13:54 .
drwx-----x 3 root root 27 Oct 11 13:54 ..

오호~~~, root로 나옵니다. 그렇다면 저렇게 "USER ..." 설정이 된 컨테이너에서는 해당 볼륨에 대해 쓰기 권한이 없다는 건데요, 실제로 컨테이너 내부에서 시도해 보면,

$ docker run --rm -it -v dotnet_test_dir2:/app --name dotnet_test_non_root_inst2 dotnet_test_non_root /bin/bash

app@813e761de7e4:/$ id
uid=1654(app) gid=1654(app) groups=1654(app)

app@813e761de7e4:/$ cd /app

app@813e761de7e4:/app$ echo "TEST" > test.txt
bash: test.txt: Permission denied

app@813e761de7e4:/app$ mkdir test
mkdir: cannot create directory 'test': Permission denied

쓰기가 안 됩니다.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How to give non-root user in Docker container access to a volume mounted on the host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9397548/how-to-give-non-root-user-in-docker-container-access-to-a-volume-mounted-on-the

대략 해법으로 제공되는 것이 3가지 정도인데요, 첫 번째는 "USER ..." 설정을 하지 말고 컨테이너를 기존처럼 실행한 다음 내부에서 "exec runuser -u ..." 명령어로 프로그램을 (제한된 권한으로) 실행하도록 바꾸는 것입니다. 해당 답변은 +67의 투표를 얻었는데... 여러분은 어떤가요? ^^ 방법이 마음에 드시나요?

두 번째는, 호스트 측에서 컨테이너의 uid/gid에 해당하는 값으로 볼륨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환경에서는 컨테이너의 uid/gid가 모두 1654이므로, 호스트 측에서 다음과 같이 볼륨 권한을 바꿔야 합니다.

// docker 호스팅 서버에서 실행

$ sudo chown -R 1654:1654 /mnt/docker-data/docker/volumes/dotnet_test_dir2

$ sudo ls -la /mnt/docker-data/docker/volumes/dotnet_test_dir2
total 24
drwx-----x   3 1654 1654    27 Oct 11 13:54 .
drwxrwxr-x 239 root rnd  20480 Oct 11 13:54 ..
drwxr-xr-x   2 1654 1654    30 Oct 11 14:13 _data

그럼 저렇게 1654:1654로 소유권이 변경되었으므로 컨테이너 내부에서 쓰기가 가능해집니다.

마지막 세 번째 방법은, 그냥 아예 "chmod 777 ..."로 볼륨 디렉터리의 권한을 바꾸자는 건데요, 이건 -3개의 투표를 얻어맞았습니다. ^^




참고로, 컨테이너 내에서 설정한 "USER ..."의 사용자 명은 해당 컨테이너 이미지에 미리 정의된 값입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사용한 "mcr.microsoft.com/dotnet/runtime:8.0" 이미지의 경우 "app"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돼 있어,

app@119fdfa35e6d:/$ cat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생략]...
nobody:x:65534:65534:nobody:/nonexistent:/usr/sbin/nologin
app:x:1654:1654::/home/app:/bin/sh

그래서 "1654"라는 uid/gid가 할당된 것입니다. 또는, "USER ..." 설정이 없는 Dockerfile 설정이라면 docker run 시에 --user 옵션을 사용해 USER 명령어를 흉내 낼 수 있습니다.

// USER 설정이 없다면 root 권한으로 실행됨

$ docker run --rm -it --name dotnet_test_inst dotnet_test /bin/bash
root@6c18a4075d7a:/# id
uid=0(root) gid=0(root) groups=0(root)

// --user 옵션으로 USER 설정을 대신

$ docker run --rm -it --user 1654:1654 --name dotnet_test_inst dotnet_test /bin/bash
app@4c2548122e80:/$ id
uid=1654(app) gid=1654(app) groups=1654(app)

그렇다면 이미 USER 설정이 있는 경우 --user 옵션을 주면 어떻게 될까요?

$ docker run --rm -it --user 0:0 --name dotnet_test_non_root_inst2 dotnet_test_non_root /bin/bash
root@339c5441731b:/# id
uid=0(root) gid=0(root) groups=0(root)

보는 바와 같이 USER 설정을 무시하고 --user 옵션이 우선 적용됩니다. 그리고 --user, -u 옵션은 docker exec 명령어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의 글을 실습했다면! ^^

docker rmi dotnet_test
docker rmi dotnet_test_non_root

docker volume rm dotnet_test_dir
docker volume rm dotnet_test_dir2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0/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89정성태10/22/201426120오류 유형: 253. 이벤트 로그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
1788정성태10/22/201427349VC++: 82. COM 프로그래밍에서 HRESULT 타입의 S_FALSE는 실패일까요? 성공일까요? [2]
1787정성태10/22/201436462오류 유형: 252. COM 개체 등록시 0x8002801C 오류가 발생한다면?
1786정성태10/22/201437810디버깅 기술: 65.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시 "Debug Diagnostic Tool"를 이용해 덤프를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85정성태10/22/201427491오류 유형: 251. 이벤트 로그 - Load control template file /_controltemplates/TaxonomyPicker.ascx failed [1]
1784정성태10/22/201434448.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83정성태10/21/201428055VC++: 81. 프로그래밍에서 borrowing의 개념
1782정성태10/21/201425058오류 유형: 250. 이벤트 로그 - Application Server job failed for service instance Microsoft.Office.Server.Search.Administration.SearchServiceInstance
1781정성태10/21/201426265디버깅 기술: 64. new/delete의 짝이 맞는 경우에도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다면?
1780정성태10/15/201429327오류 유형: 249. The application-specific permission settings do not grant Local Activation permission for the COM Server application with CLSID
1779정성태10/15/201424606오류 유형: 248. Active Directory에서 OU가 지워지지 않는 경우
1778정성태10/10/201423427오류 유형: 247. The Netlogon service could not create server share C:\Windows\SYSVOL\sysvol\[도메인명]\SCRIPTS.
1777정성태10/10/201426326오류 유형: 246. The processing of Group Policy failed. Windows attempted to read the file \\[도메인]\sysvol\[도메인]\Policies\{...GUID...}\gpt.ini
1776정성태10/10/201422973오류 유형: 245. 이벤트 로그 - Name resolution for the name _ldap._tcp.dc._msdcs.[도메인명]. timed out after none of the configured DNS servers responded.
1775정성태10/9/201424439오류 유형: 244. Visual Studio 디버깅 (2)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1774정성태10/9/201430897개발 환경 구성: 246. IIS 작업자 프로세스의 20분 자동 재생(Recycle)을 끄는 방법
1773정성태10/8/201434485.NET Framework: 471. 웹 브라우저로 다운로드가 되는 파일을 왜 C# 코드로 하면 안되는 걸까요? [1]
1772정성태10/3/201423486.NET Framework: 470. C# 3.0의 기본 인자(default parameter)가 .NET 1.1/2.0에서도 실행될까? [3]
1771정성태10/2/201431763개발 환경 구성: 245. 실행된 프로세스(EXE)의 명령행 인자를 확인하고 싶다면 - Sysmon [4]
1770정성태10/2/201426451개발 환경 구성: 244. 매크로 정의를 이용해 파일 하나로 C++과 C#에서 공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69정성태10/1/201429310개발 환경 구성: 243. Scala 개발 환경 구성(JVM, 닷넷) [1]
1768정성태10/1/201424041개발 환경 구성: 242. 배치 파일에서 Thread.Sleep 효과를 주는 방법 [5]
1767정성태10/1/201428841VS.NET IDE: 94. Visual Studio 2012/2013에서의 매크로 구현 - Visual Commander [2]
1766정성태10/1/201427400개발 환경 구성: 241. 책 "프로그래밍 클로저: Lisp"을 읽고 나서. [1]
1765정성태9/30/201431065.NET Framework: 469. Unity3d에서 transform을 변수에 할당해 사용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1764정성태9/30/201427956오류 유형: 243. 파일 삭제가 안 되는 경우 - The action can't be comleted because the file is open in System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