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Linux: 127.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 https://www.sysnet.pe.kr/2/0/14030

Linux: 128.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2)
; https://www.sysnet.pe.kr/2/0/14031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2)

지난 글에서,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 https://www.sysnet.pe.kr/2/0/14030

"USER ..." 설정을 담은 컨테이너의 볼륨 매핑 시 발생할 수 있는 권한 문제를 다뤘는데요, 그런데 재미있는 점이 하나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다뤘던,

docker - SQL Server 2019 컨테이너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173

글에서는 해당 컨테이너가 "USER mssql" 설정을 담고 있는데, 어떻게 권한 문제없이 볼륨에 쓰기가 가능했을까요? 궁금해서 ^^ 조사를 해봤더니 mssql 사용자의 경우 gid가 0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 docker run -it -e "ACCEPT_EULA=Y" -e "SA_PASSWORD=test_1234" --name sql1 mcr.microsoft.com/mssql/server:2019-GA-ubuntu-16.04 /bin/bash
SQL Server 2019 will run as non-root by default.
This container is running as user mssql.
To learn more visit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99216.

mssql@ea6cc1a984f4:/$ id
uid=10001(mssql) gid=0(root) groups=0(root)

mssql@ea6cc1a984f4:/$ cat /etc/passwd | grep mssql
mssql:x:10001:0::/home/mssql:/bin/bash

그러니까, 4번째 해법이 있었던 것입니다. ^^ 그건 그런데... 그렇다면 결국 root 그룹에 속한 사용자 계정으로 실행하는 것이므로 이것을 과연 "SQL Server 2019 will run as non-root by default."라고 하는 것이 맞을까 싶습니다. ^^;




관련해서 경험한 사례를 하나 소개합니다. ^^ 어떤 사정에 의해 docker 호스팅 서버의 운영체제를 재설치할 일이 있었는데요, 이후 "SQL Server 2019" 컨테이너를 실행하려고 했더니 다음과 같이 기존 볼륨에 대한 권한 문제로 인해 실행이 안 됩니다.

// mssql 볼륨은 이전 운영체제에서 사용

$ docker run -e "ACCEPT_EULA=Y" -e "SA_PASSWORD=test_1234" -v mssql:/var/opt/mssql -p 21433:1433 --name sql1 mcr.microsoft.com/mssql/server:2019-GA-ubuntu-16.04

SQL Server 2019 will run as non-root by default.
This container is running as user mssql.
To learn more visit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99216.
/opt/mssql/bin/sqlservr: Error: Directory [/var/opt/mssql/system/] could not be created.  Errno [13]

출력된 로그 중 문제가 되는 것은 "docker volume mapping Error: Directory [...] could not be created. Errno [13]" 부분입니다. 즉, docker를 호스팅하는 리눅스 서버의 "mssql" 도커 볼륨 내에 디렉터리를 생성할 수 없다는 의미인데요, 원인 파악을 위해 이미 생성된 docker 볼륨의 소유권을 확인해 봤습니다.

$ docker volume inspect mssql
[
    {
        "CreatedAt": "2024-05-01T12:34:56Z",
        "Driver": "local",
        "Labels": {},
        "Mountpoint": "/var/lib/docker/volumes/mssql/_data",
        "Name": "mssql",
        "Options": {},
        "Scope": "local"
    }
]

$ ls -la /mnt/docker-data/docker/volumes/mssql
total 24
drwxr-xr-x   3 testusr  gud         27 Mar  9  2020 .
drwxrwxr-x 236 root     gud      20480 Sep 30 11:10 ..
drwxrwx---   6 testusr  testusr    79 Aug 11 15:00 _data

$ echo ${USER}
testusr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하면서 복사라든가... 뭐 비슷한 작업을 했던 것인지 (제가 안 해서 정확한 상황은 모릅니다.) 어쨌든 볼륨 디렉터리의 권한이 "root"가 아니라 "testusr"로 설정돼 있습니다.

답이 나왔군요. ^^ 따라서 이전에 설명한 대로 해당 볼륨 디렉터리의 권한을 "mssql" 사용자(UID 10001)로 변경해 주면 됩니다.

// 디렉터리 및 하위 항목의 소유권을 mssql 사용자(UID 10001)로 변경
$ sudo chown -R 10001:0 /mnt/docker-data/docker/volumes/mssql

$ ls -la /mnt/docker-data/docker/volumes/mssql
total 24
drwxr-xr-x   3 10001 root    27 Mar  9  2020 .
drwxrwxr-x 237 root  gud  20480 Oct 17 14:54 ..
drwxrwx---   6 10001 root    79 Aug 11 15:00 _data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1/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70정성태3/6/202021263오류 유형: 599. "Docker Desktop is switching..." 메시지와 DockerDesktopVM CPU 소비 현상
12169정성태3/5/202023606개발 환경 구성: 473. Windows nanoserver에 대한 docker pull의 태그 사용 [1]
12168정성태3/5/202025866개발 환경 구성: 472. 윈도우 환경에서의 dockerd.exe("Docker Engine" 서비스)가 Linux의 것과 다른 점
12167정성태3/5/202022894개발 환경 구성: 471.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3) - ibmcom/db2express-c 컨테이너 사용
12166정성태3/4/202025214개발 환경 구성: 470. Windows Server 컨테이너 - DockerMsftProvider 모듈을 이용한 docker 설치
12165정성태3/2/202022769.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64정성태2/29/202024082오류 유형: 598. Surface Pro 6 - Windows Hello Face Software Device가 인식이 안 되는 문제
12163정성태2/27/202022933.NET Framework: 899. 익명 함수를 가리키는 delegate 필드에 대한 직렬화 문제
12162정성태2/26/202029178디버깅 기술: 166. C#에서 만든 COM 객체를 C/C++로 P/Invoke Interop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6]파일 다운로드2
12161정성태2/26/202024280오류 유형: 597. manifest -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
12160정성태2/26/202023495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12159정성태2/26/202018746오류 유형: 596. Visual Studio - The project needs to include ATL support
12158정성태2/25/202023659디버깅 기술: 165. C# - Marshal.GetIUnknownForObject/GetIDispatch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파일 다운로드1
12157정성태2/25/202022681디버깅 기술: 164. C# -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및 해결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56정성태2/25/202021002오류 유형: 595. LINK : warning LNK4098: defaultlib 'nafxcw.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12155정성태2/25/202022133오류 유형: 594. Warning NU1701 - This package may not be fully compatible with your project
12154정성태2/25/202020560오류 유형: 593. warning LNK4070: /OUT:...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12153정성태2/23/202026027.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22488.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25452.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25343.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22301.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8정성태2/19/202027179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정성태2/19/202021991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12146정성태2/18/202023158.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145정성태2/18/202025112.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