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dynamic 사용 시 internal 멤버에 대한 RuntimeBinder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문제

지난 글에서,

C# - dynamic 예약어 사용 시 런타임에 "Microsoft.CSharp.RuntimeBinder.RuntimeBinder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4032

RuntimeBinderException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사례를 한 설명했는데요, 재미있는 건 이에 대해 issue를 넣었더니,

dynamic call is not working. #120927
; https://github.com/dotnet/runtime/issues/120927

담당자가 위의 문제가 "by design"이라면서 명시적 인터페이스 문제라고 답변을 주었습니다. 물론 이것은 지난 글에 설명했듯이,

C# - dynamic과 "Explicit Interface Implementation"의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4033

완전히 다른 문제입니다. 그래서 질문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좀 더 단순한 재현 코드를 작성해 봤는데요, 조건은 1) 어셈블리를 나눠야 하고, 2) public 접근자가 아닌 internal 멤버에 대해 dynamic 호출을 시도할 때 예외가 발생하는 걸로 정리가 됩니다. 그래서 이렇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 ClassLibrary1 프로젝트

namespace ClassLibrary1;

public interface IInternal
{
    string Name { get; }
}

internal class InternalClass : IInternal
{
    public string Name
    {
        get
        {
            return "test";
        }
    }
}

public class Class1
{
    public IInternal InternalObj
    {
        get
        {
            // internal로 구현한 클래스지만 public 접근자를 가진 인터페이스로 반환
            return new InternalClass();
        }
    }
}

// ConsoleApp 프로젝트

using ClassLibrary1;

namespace ConsoleApp2;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lass1 obj = new Class1();

        dynamic dnObj = obj.InternalObj; // IInternal 타입의 인스턴스를 dynamic으로 변환
        Console.WriteLine(dnObj.Name); // 예외 발생
                                       // Unhandled exception. Microsoft.CSharp.RuntimeBinder.RuntimeBinderException: 'object' does not contain a definition for 'Name'
    }
}

따라서 만약 소스 코드를 바꿀 수 있다면 저 조건 중의 하나만 해결해도 됩니다. 가령 위의 예제에서 InternalClass는 internal 접근자로 정의된 클래스인데, 만약 이것을 public 접근자로 바꾸면,

// internal class InternalClass : IInternal
public class InternalClass : IInternal // public으로 변경 후, 실행 시 dynamic 호출 정상 동작
{
    // ...
}

dynamic 호출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그러니까, 저건 분명히 "Explicit interface implementation" 문제는 아닙니다.




어쨌든 현재 저런 상황에서 dynamic 호출을 시도하면 RuntimeBinder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데, 이슈가 어떻게 처리될지 궁금하군요. ^^

일단, 해결되든 안 되든 지금 당장 해결책이 필요하다면 편리한 (지난 글에 제시했던) dynamic 문법 대신, 사용자가 풀어서 호출하는 걸로 바꿔야 합니다.

Class1 obj = new Class1();

// dynamic을 사용한 호출 대신,
{
    dynamic dnObj = obj.InternalObj;
    Console.WriteLine(dnObj.Name); // 예외 발생
}

// 이렇게 풀어서 사용
{
    object objInstance = obj.InternalObj;

    // dynamic 예약어를 사용한 경우, C# 컴파일러가 자동 생성 코드가 사용하는 타입
    // Type type = typeof(Program); 

    // 하지만 실제 런타임 시 타입을 넣어주면 예외가 발생하지 않음
    Type type = objInstance.GetType();

    CallSite<Func<CallSite, object, object>>? p0 = CallSite<Func<CallSite, object, object>>.Create(
        Binder.GetMember(CSharpBinderFlags.None, "Name", type, new CSharpArgumentInfo[]
        {
            CSharpArgumentInfo.Create(CSharpArgumentInfoFlags.None, null)
        }));

    object? result = p0.Target(p0, objInstance);
    Console.WriteLine(result);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2/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7정성태11/2/200521278COM 개체 관련: 17. CoGetClassObjectFromURL파일 다운로드1
176정성태3/29/200627014.NET Framework: 52. covariance? [1]파일 다운로드1
175정성태10/31/200522425.NET Framework: 51. MSXML 6.0에서 디지털 서명 기능을 제거!
180정성태11/15/200522557    답변글 VS.NET IDE: 51.1. MSXML 6.0 정식 릴리스
174정성태10/31/200523515.NET Framework: 50. app.config 예시 [1]
173정성태10/30/200522194스크립트: 5. 스크립트 호출 관계
172정성태10/25/200530935.NET Framework: 49. ASP.NET 오류 유형 :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2]
171정성태11/14/200532499VC++: 19. 다국어 지원: setlocale( LC_TIME, "" ) 관련 [1]
170정성태11/14/200526866VS.NET IDE: 34. Visual SourceSafe 2005: Remote Internet Access over HTTP : 80 이외의 포트를 지정
206정성태2/1/200623260    답변글 VC++: 34.1. [추가]: Internet Access Plug-in 사용 시 유의 사항
168정성태11/14/200524950VS.NET IDE: 33. IIS 6.0 AppPool 설정 - Enable rapid-fail protection
169정성태10/14/200526514    답변글 VS.NET IDE: 33.1. Enable rapid-fail protection 상황 재현 방법
166정성태11/14/200523184.NET Framework: 48. IE를 죽이는 스크립트 소스
165정성태11/14/200523964.NET Framework: 47. MOM (Microsoft Operations Manager) 2005 서버 설치 가이드
164정성태11/14/200521276.NET Framework: 46. 도메인에 속한 컴퓨터의 Local Computer Policy 변경 방법
162정성태10/3/200523765.NET Framework: 45. VS.NET 2005 IDE에서 Web App를 .NET 2.0 (x64) 머신에 배포
161정성태11/14/200526552.NET Framework: 44. IIS 관리자에서 ASP.NET 탭이 없는 경우.
159정성태9/28/200522642VS.NET IDE: 32. Virtual Server 2005 64bit SP1 Beta 테스트 [2]
163정성태10/3/200520844    답변글 VS.NET IDE: 32.1. 왜...?
158정성태11/14/200522963VS.NET IDE: 31. SQL 2005 - A connection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 the server
157정성태9/21/200523107기타: 10. SQL2000 설치 시, Invalid Product Key 오류
156정성태9/16/200524901.NET Framework: 43. Wisptis.exe 프로세스
155정성태5/31/200521300.NET Framework: 42. .NET Installer Class에서 Install 메서드 - 설정 사항들 알아내는 코드
154정성태5/13/200520265VS.NET IDE: 30. Windows 2003 for x64에 추가된 레지스트리 Run 노드
152정성태5/5/200523552VC++: 18. VC++ 7.0에서부터 ? : 연산자 처리가 바뀌었습니다.
153정성태5/12/200523839    답변글 VC++: 18.1. VC++ 8.0에서부터 바뀐 CRT 소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