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VS.NET IDE: 66. 수동으로 구성해 본 VC++ 프로젝트 설정: ReleaseMinDependency
; https://www.sysnet.pe.kr/2/0/800

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 https://www.sysnet.pe.kr/2/0/1437

C/C++: 168. Visual C++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721

C/C++: 169. C/C++ - CRT(C Runtime) 함수에 의존성이 없는 프로젝트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722

C/C++: 189. Visual C++ - 디버그 코드에서 빌드 옵션 조정으로 최적화 코드로의 전환
; https://www.sysnet.pe.kr/2/0/14035




Visual C++ - 디버그 코드에서 빌드 옵션 조정으로 최적화 코드로의 전환

테스트를 위해 이런 간단한 코드를 만든 다음,

int Class2::GetValue()
{
    return value; // 이곳에 BP를 걸고,
}

디버그 모드로 컴파일해 실행하고 Disassembly 창을 보면, 이런 결과를 얻게 됩니다.

ConsoleApplication1.exe!Class2::GetValue(void):
48 89 4C 24 08       mov         qword ptr [rsp+8],rcx  
55                   push        rbp  
57                   push        rdi  
48 81 EC E8 00 00 00 sub         rsp,0E8h  
48 8D 6C 24 20       lea         rbp,[rsp+20h]  
48 8D 0D 07 16 01 00 lea         rcx,[__9D4BA110_MyClass@cpp (07FF7C9B63091h)]  
E8 09 F9 FF FF       call        __CheckForDebuggerJustMyCode (07FF7C9B51398h)  
90                   nop  
48 8B 85 E0 00 00 00 mov         rax,qword ptr [this]  
8B 40 08             mov         eax,dword ptr [rax+8]  
48 8D A5 C8 00 00 00 lea         rsp,[rbp+0C8h]  
5F                   pop         rdi  
5D                   pop         rbp  
C3                   ret  

꽤나 복잡한 코드죠? ^^ 이 상태에서, 일단 프로젝트 자체는 Debug 빌드를 유지해 두고, 저 코드만 포함하고 있는 MyClass.cpp 파일을 대상으로 디버깅 관련 코드를 제외해 보겠습니다.

그럼, 가장 먼저 여기서 __CheckForDebuggerJustMyCode를 없애 볼까요? ^^ 이름에도 나오지만 "Just My Code"를 판단하기 위한 보조 함수 호출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debug_to_release_code_gen_1.png

해당 소스 코드를 우클릭해 속성 창을 열어 "General" 탭의 "Support Just My Code Debugging" 옵션을 "Yes(/JMC)"에서 "No"로 바꾸면 됩니다. 이후 코드는 이렇게 줄어듭니다.

ConsoleApplication1.exe!Class2::GetValue(void):
48 89 4C 24 08       mov         qword ptr [rsp+8],rcx  
55                   push        rbp  
57                   push        rdi  
48 81 EC C8 00 00 00 sub         rsp,0C8h  
48 8B EC             mov         rbp,rsp  
48 8B 85 E0 00 00 00 mov         rax,qword ptr [this]  
8B 40 08             mov         eax,dword ptr [rax+8]  
48 8D A5 C8 00 00 00 lea         rsp,[rbp+0C8h]  
5F                   pop         rdi  
5D                   pop         rbp  
C3                   ret  

그다음 단계로 최적화를 켜도록 할 텐데요, 속성 창에서 "Optimization" 탭으로 가서 "Optimization" 옵션을 "Disabled(/Od)"에서 "Maximum Optimization (Favor Size) (/O1)" 또는 "Maximum Optimization (Favor Speed) (/O2)"로 바꾸면 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빌드하면 옵션 충돌 에러가 나는데요,

command line  error D8016: '/O1' and '/RTC1' command-line options are incompatible

따라서, 최적화를 켠 경우라면 "Code Generation" 탭으로 가서 "Basic Runtime Checks" 옵션을 (디버그 기본값인) "Both (/RTC1, equiv. to /RTCsu)"에서 Default"로 바꿔 주어야 합니다.

그럼,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아주 간단한 코드가 생성됩니다.

ConsoleApplication1.exe!Class2::GetValue(void):
8B 41 08             mov         eax,dword ptr [rcx+8]  
C3                   ret  

Release 모드의 코드가 괜히 빠른 게 아니죠? ^^ 그 외에도 다양한 옵션에 따라 디버깅 관련 코드가 들어갈 수 있는데 모두 옵션으로 제공하고 있으니 관련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파일 단위로 속성을 조정했을 때 위의 변경을 반영한 .vcxproj 파일의 MyClass.cpp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ItemGroup>
    <ClCompile Include="MyClass.cpp">
        <SupportJustMyCode Condition="'$(Configuration)|$(Platform)'=='Debug|x64'">false</SupportJustMyCode>
        <Optimization Condition="'$(Configuration)|$(Platform)'=='Debug|x64'">MinSpace</Optimization>
        <BasicRuntimeChecks Condition="'$(Configuration)|$(Platform)'=='Debug|x64'">Default</BasicRuntimeChecks>
    </ClCompile>
</ItemGroup>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11정성태8/13/202413069Linux: 77. C# / Linux - zombie process (defunct process) [1]파일 다운로드1
13710정성태8/8/202414348닷넷: 2294. C# 13 - (6) iterator 또는 비동기 메서드에서 ref와 unsafe 사용을 부분적으로 허용파일 다운로드1
13709정성태8/7/202412382닷넷: 2293. C# - safe/unsafe 문맥에 대한 C# 13의 (하위 호환을 깨는) 변화파일 다운로드1
13708정성태8/7/202413219개발 환경 구성: 719. ffmpeg / YoutubeExplode - mp4 동영상 파일로부터 Audio 파일 추출
13707정성태8/6/202412783닷넷: 2292. C# - 자식 프로세스의 출력이 4,096보다 많은 경우 Process.WaitForExit 호출 시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1
13706정성태8/5/202412027개발 환경 구성: 718. Hyper-V - 리눅스 VM에 새로운 디스크 추가
13705정성태8/4/202412413닷넷: 2291. C# 13 - (5) params 인자 타입으로 컬렉션 허용 [2]파일 다운로드1
13704정성태8/2/202414106닷넷: 2290. C# - 간이 dotnet-dump 프로그램 만들기파일 다운로드1
13703정성태8/1/202412299닷넷: 2289. "dotnet-dump ps" 명령어가 닷넷 프로세스를 찾는 방법
13702정성태7/31/202413602닷넷: 2288. Collection 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정의 타입을 CollectionBuilder 특성으로 성능 보완파일 다운로드1
13701정성태7/30/202414796닷넷: 2287. C# 13 - (4) Indexer를 이용한 개체 초기화 구문에서 System.Index 연산자 허용파일 다운로드1
13700정성태7/29/202414107디버깅 기술: 200. DLL Export/Import의 Hint 의미
13699정성태7/27/202414819닷넷: 2286. C# 13 - (3) Monitor를 대체할 Lock 타입파일 다운로드1
13698정성태7/27/202413613닷넷: 2285. C# - async 메서드에서의 System.Threading.Lock 잠금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7정성태7/26/202412164닷넷: 2284. C# - async 메서드에서의 lock/Monitor.Enter/Exit 잠금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6정성태7/26/202412743오류 유형: 920. dotnet publish - error NETSDK1047: Assets file '...\obj\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3695정성태7/25/202412545닷넷: 2283.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STA COM 메서드 호출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4정성태7/25/202412442닷넷: 2282. C# - ASP.NET Core Web App의 Request 용량 상한값 (Kestrel, IIS)
13693정성태7/24/202411896개발 환경 구성: 717. Visual Studio - C# 프로젝트에서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지 않은 COM 개체 참조 및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92정성태7/24/202413916디버깅 기술: 199. Windbg - 리눅스에서 뜬 닷넷 응용 프로그램 덤프 파일에 포함된 DLL의 Export Directory 탐색
13691정성태7/23/202412742디버깅 기술: 198. Windbg - 스레드의 Win32 Message Queue 정보 조회
13690정성태7/23/202410967오류 유형: 919. Visual C++ 리눅스 프로젝트 - error : ‘u8’ was not declared in this scope
13689정성태7/22/202414784디버깅 기술: 197. Windbg - PE 포맷의 Export Directory 탐색
13688정성태7/21/202411912닷넷: 2281.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일부 Win32 메시지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87정성태7/19/202413745닷넷: 2280. C# - PostThreadMessage로 보낸 메시지를 Windows Forms에서 수신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86정성태7/19/202413147오류 유형: 918. Visual Studio - ATL Simple Object 추가 시 error C2065: 'IDR_...': undeclared identifie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