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bg - 덤프 분석 중인 닷넷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

혹시, WinDbg에서도 분석 중인 모듈의 빌드 상태를 알아낼 수 있을까요?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7

일단, lm 명령어로는 딱히 나오는 것이 없습니다.

0:000> lmDvmConsoleApp1
Browse full module list
start             end                 module name
000001c2`6e4e0000 000001c2`6e4e8000   ConsoleApp1   (deferred)             
    Image path: c:\temp\builds\ConsoleApp1\AnyCPU\Debug\ConsoleApp1.dll
    Image name: ConsoleApp1.dll
    Browse all global symbols  functions  data  Symbol Reload
    Using CLR debugging support for all symbols
    Has CLR image header, track-debug-data flag not set
    Image was built with /Brepro flag.
    Timestamp:        A845CF62 (This is a reproducible build file hash, not a timestamp)
    CheckSum:         00000000
    ImageSize:        00008000
    Mapping Form:     Loaded
    File version:     1.0.0.0
    Product version:  1.0.0.0
    File flags:       0 (Mask 3F)
    File OS:          4 Unknown Win32
    File type:        1.0 App
    File date:        00000000.00000000
    Translations:     0000.04b0
    Information from resource tables:
        CompanyName:      ConsoleApp1
        ProductName:      ConsoleApp1
        InternalName:     ConsoleApp1.dll
        OriginalFilename: ConsoleApp1.dll
        ProductVersion:   1.0.0
        FileVersion:      1.0.0.0
        FileDescription:  ConsoleApp1
        LegalCopyright:    

중간에 "track-debug-data flag not set"이라는 문구가 있는데, Debug/Release 모두 동일한 문자열이 나왔습니다. 이제 남은 것은 sos 확장 명령어인데요, 그나마 쓸모 있는 정보가 DumpModule의 TransientFlags로 나오는 듯합니다.

// Debug 빌드인 경우

0:000> !DumpModule /d 00007ffe2c7b7770
Name: c:\temp\builds\ConsoleApp1\AnyCPU\Debug\ConsoleApp1.dll
Attributes:              PEFile 
TransientFlags:          00209019 IS_EDIT_AND_CONTINUE
Assembly:                000001c26cb3d3c0
BaseAddress:             000001C26E4E0000
LoaderHeap:              0000000000000000
TypeDefToMethodTableMap: 00007FFE2C7A2240
TypeRefToMethodTableMap: 00007FFE2C7A2270
MethodDefToDescMap:      00007FFE2C7A2358
FieldDefToDescMap:       00007FFE2C7A23B0
MemberRefToDescMap:      0000000000000000
FileReferencesMap:       00007FFE2C7A23D8
AssemblyReferencesMap:   00007FFE2C7A23E0
MetaData start address:  000001C26E4E21BC (2664 bytes)

// Release 빌드인 경우

0:000> !DumpModule /d 00007ffe2c7f7778
Name: c:\temp\builds\ConsoleApp1\AnyCPU\Release\ConsoleApp1.dll
Attributes:              PEFile 
TransientFlags:          00208811 
Assembly:                00000227fc48bca0
BaseAddress:             00000227FDF50000
LoaderHeap:              0000000000000000
TypeDefToMethodTableMap: 00007FFE2C7E2240
TypeRefToMethodTableMap: 00007FFE2C7E2270
MethodDefToDescMap:      00007FFE2C7E2348
FieldDefToDescMap:       00007FFE2C7E23A0
MemberRefToDescMap:      0000000000000000
FileReferencesMap:       00007FFE2C7E23C8
AssemblyReferencesMap:   00007FFE2C7E23D0
MetaData start address:  00000227FDF5219C (2572 bytes)

위의 경우, "IS_EDIT_AND_CONTINUE"는 Visual Studio에서 "Edit and Continue" 옵션을 켠 경우에 나타난 것입니다. 그게 꺼져 있다면 출력은 이런 식으로 바뀝니다. (각자의 빌드 옵션에 따라 다릅니다.)

// ("Enable Hot Reload" 옵션을 끈) Debug 빌드인 경우

0:007> !DumpModule /d 00007ffe2c7d7770
Name: c:\temp\builds\ConsoleApp1\AnyCPU\Debug\ConsoleApp1.dll
Attributes:              PEFile 
TransientFlags:          00209011 
Assembly:                000001b13553ac80
BaseAddress:             000001B137040000
LoaderHeap:              0000000000000000
TypeDefToMethodTableMap: 00007FFE2C7C2240
TypeRefToMethodTableMap: 00007FFE2C7C2270
MethodDefToDescMap:      00007FFE2C7C2370
FieldDefToDescMap:       00007FFE2C7C23C8
MemberRefToDescMap:      0000000000000000
FileReferencesMap:       00007FFE2C7C23F0
AssemblyReferencesMap:   00007FFE2C7C23F8
MetaData start address:  000001B1370421D4 (2792 bytes)

그렇다면, 관련해서 TransientFlags 내부에 디버그 빌드에 준하는 정보가 남아 있지 않을까요? ^^ 이를 알아 보기 위해 sos 소스 코드에서 다음과 같은 enum 정보를 찾았는데요,

src/SOS/Strike/strike.cpp
; https://github.com/dotnet/diagnostics/blob/ea6796b6d0556f8ab3c01d0c0d8f234fdfdf1d73/src/SOS/Strike/strike.cpp#L3918

enum {
    // These are the values set in m_dwTransientFlags.
    // Note that none of these flags survive a prejit save/restore.

    MODULE_IS_TENURED           = 0x00000001,   // Set once we know for sure the Module will not be freed until the appdomain itself exits
    // unused                   = 0x00000002,
    CLASSES_FREED               = 0x00000004,
    IS_EDIT_AND_CONTINUE        = 0x00000008,   // is EnC Enabled for this module

    IS_PROFILER_NOTIFIED        = 0x00000010,
    IS_ETW_NOTIFIED             = 0x00000020,

    //
    // Note: the order of these must match the order defined in
    // cordbpriv.h for DebuggerAssemblyControlFlags. The three
    // values below should match the values defined in
    // DebuggerAssemblyControlFlags when shifted right
    // DEBUGGER_INFO_SHIFT bits.
    //
    DEBUGGER_USER_OVERRIDE_PRIV = 0x00000400,
    DEBUGGER_ALLOW_JIT_OPTS_PRIV= 0x00000800,
    DEBUGGER_TRACK_JIT_INFO_PRIV= 0x00001000,
    DEBUGGER_ENC_ENABLED_PRIV   = 0x00002000,   // this is what was attempted to be set.  IS_EDIT_AND_CONTINUE is actual result.
    DEBUGGER_PDBS_COPIED        = 0x00004000,
    DEBUGGER_IGNORE_PDBS        = 0x00008000,
    DEBUGGER_INFO_MASK_PRIV     = 0x0000Fc00,
    DEBUGGER_INFO_SHIFT_PRIV    = 10,

    // Used to indicate that this module has had it's IJW fixups properly installed.
    IS_IJW_FIXED_UP             = 0x00080000,
    IS_BEING_UNLOADED           = 0x00100000,

    // Used to indicate that the module is loaded sufficiently for generic candidate instantiations to work
    MODULE_READY_FOR_TYPELOAD  = 0x00200000,

    // Used during NGen only
    TYPESPECS_TRIAGED           = 0x40000000,
    MODULE_SAVED                = 0x80000000,
};

이에 비춰서 TransientFlags 값을 분석하면 각각 다음과 같이 펼쳐집니다.

// Debug 빌드인 경우

TransientFlags:          00209019
    - MODULE_READY_FOR_TYPELOAD
    - DEBUGGER_IGNORE_PDBS
    - DEBUGGER_TRACK_JIT_INFO_PRIV
    - IS_PROFILER_NOTIFIED
    - IS_EDIT_AND_CONTINUE
    - MODULE_IS_TENURED

// Release 빌드인 경우

TransientFlags:          00208811 
    - MODULE_READY_FOR_TYPELOAD
    - DEBUGGER_IGNORE_PDBS
    - DEBUGGER_ALLOW_JIT_OPTS_PRIV
    - IS_PROFILER_NOTIFIED
    - MODULE_IS_TENURED

// ("Enable Hot Reload" 옵션을 끈) Debug 빌드인 경우

TransientFlags:          00209011 
    - MODULE_READY_FOR_TYPELOAD
    - DEBUGGER_IGNORE_PDBS
    - DEBUGGER_TRACK_JIT_INFO_PRIV
    - IS_PROFILER_NOTIFIED
    - MODULE_IS_TENURED

확신할 수는 없지만, 그냥 저 결과만 보면 DEBUGGER_TRACK_JIT_INFO_PRIV 옵션 유무로 Debug 빌드를 느슨하게 판정할 수는 있을 듯합니다.

참고로, 위의 방법 이외에도 그냥 대상 .NET Assembly를 파일로 덤프시킨 다음,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NET DLL을 추출/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43

거기서 Debuggable 특성의 값을 확인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유의해야 할 점은, Debug 빌드는 다양한 옵션의 조합이기 때문에 어떤 특정 옵션만을 가지고 Debug 빌드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 글에서도, DisableOptimizations, EnableEditAndContinue, Default 옵션이 Debuggable 특성에 있는 정도로 판정하는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0/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76정성태3/9/200737407개발 환경 구성: 22. D820 노트북 - 설치 및 BitLocker 구성 [1]
475정성태3/6/200731716.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
474정성태3/5/200729804.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
473정성태3/4/200737143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
472정성태3/3/200735556디버깅 기술: 13. 예외 발생 시 Minidump 생성 - WinDBG [3]파일 다운로드1
471정성태3/1/200725102디버깅 기술: 12. Managed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469정성태2/28/200736871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3]파일 다운로드1
470정성태3/1/200728420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468정성태2/25/200738127COM 개체 관련: 20. 탭 브라우저의 윈도우 핸들 구하기 [3]
466정성태2/22/200729926Windows: 23. 롱혼 서버 코어 버전 [2]
465정성태2/21/200728610오류 유형: 29. TFS 관련 스케줄 작업 실패
464정성태2/25/200729906오류 유형: 28. TF10217, TF53010, TF14105 오류
463정성태2/21/200722173Team Foundation Server: 15. 포탈 사이트의 보고서 주소를 도메인 명으로 적용
462정성태2/13/200750254.NET Framework: 83. 라이브러리에 다국어 리소스 추가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461정성태2/13/200727081오류 유형: 27. DLinq 예제 오류 : error: 26 - Error Locating Server/Instance Specified
460정성태2/13/200727364.NET Framework: 82. Orcas 1월 CTP에서 Linq 소스 컴파일 방법
459정성태2/17/200731973오류 유형: 26.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3]
458정성태2/12/200728421.NET Framework: 81. LINQ 개발 환경 설정 [1]
457정성태2/8/200732151.NET Framework: 80. LINQ 관련 용어 정리 및 리소스 소개 [2]
456정성태2/6/200730934Windows: 22. 가상화에 대해서.
455정성태2/4/200725504오류 유형: 25. 원격 데스크톱 환경에서의 Virtual Server 관리 환경 제어
454정성태2/4/200722684오류 유형: 24. VPC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509손대성6/24/200725344    답변글 오류 유형: 24.1. [답변]: 오류 유형 : 23. VPC 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453정성태2/4/200731421개발 환경 구성: 21. 서버 측 SoapExtension을 클라이언트에 알리고 싶다
452정성태1/31/200731532VC++: 31. 비스타에서 VS.NET 2005로 COM 프로젝트 빌드시 오류 [2]
451정성태1/31/200730630Windows: 21. Preview Handler 소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