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66.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20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이전에 Chromium을 Visual C++로 하는 방법을 설명했었는데요.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78

최근에 Windows 8의 스토어 앱 모드를 크롬이 지원하면서 빌드 방법도 제법 바뀌었습니다. 우선, 바뀐 빌드 방법은 아래의 공식 문서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The Chromium Projects - Build Instructions (Windows) 
; http://www.chromium.org/developers/how-tos/build-instructions-windows

이 글은 위의 문서를 정리한 것에 불과합니다. ^^




기본적인 개발 환경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1. OS Windows 7 Ultimate - 64비트 + SP1 설치
  2. Visual Studio 2010 Ultimate + SP1 설치
  3. Windows 8 SDK 설치: https://developer.microsoft.com/en-us/windows/downloads/sdk-archive/
  4. DirectX SDK 설치 - DXSDK_Jun10.exe: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displaylang=en&id=6812
  5. 환경 변수 정의: GYP_DEFINES=windows_sdk_path="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

공식 문서에는 Windows 8 SDK 헤더 파일 중에서 Visual Studio 2010에 포함된 Visual C++ 컴파일러로는 에러가 나는 구문을 수정하라고 나옵니다.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winrt\asyncinfo.h" 파일의 66라인에 보면 AsyncStatus 정의가 있는데,

enum class AsyncStatus {
  Started = 0,
  Completed, 
  Canceled, 
  Error,
};

여기서 enum class의 class 단어를 주석 처리하거나 삭제하고 저장하면 됩니다.

그다음 Chromium 빌드에 관련된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크롬 소스 코드를 담은 tarball 파일은 D:\chrome_build 폴더에 압축을 해제합니다. 그다음 depot_tools도 다운로드 후 D:\chrome_build\depot_tools 폴더에 압축 해제합니다. depot_tools에 포함된 gclient.bat 파일을 접근할 수 있도록 시스템 환경 변수의 PATH에 D:\chrome_build\depot_tools 경로를 추가합니다.

최종적으로 폴더 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완료됩니다.

chrome_build_vs_1.png

Visual Studio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고 Chromium의 소스 폴더로 이동한 다음 최신 소스 코드로 반영하는 작업을 gclient로 실행합니다.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해 주면 됩니다.

cd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
d:
gclient sync --force

제 경우에는 gclient sync 작업 실행 중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Installing git (avg 1-2 min download) ...
Installing subversion ...
Installing python ...
Your depot_tools checkout is configured to fetch from an obsolete URL
Would you like to update it? [y/N]: Y

...[생략]...

Syncing projects: 12% (14/111) src/breakpad/src
12>________ running 'svn update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events --revision 143130 -
-non-interactive --force --accept theirs-conflict --ignore-externals' in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
12>A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events\onerror-no-constructor.html
12>A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events\onerror-no-constructor-expected.txt
12>Updated to revision 143130.
Syncing projects: 13% (15/111) 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

Error: Can't update/checkout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filesystem if an unversioned directory is present. Delete the directory and try again.


실제로 오류 메시지에 따라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filesystem"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gclient sync --force"를 실행해 주면 이번에는 정상적으로 업데이트가 마무리 됩니다.

소스 코드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으면 이제 빌드를 마지막으로 해줍니다. 역시 Visual Studio 명령행 창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차례대로 수행해 주면 됩니다.

cd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hrome
d:
devenv /build Release chrome.sln /project chrome.vcxproj

일단, 문서에 따르면 위의 절차대로만 해주면 정상적으로 빌드가 된다고 나옵니다. 설령, 빌드 문제가 발생해도... 어떻게 해서든 해결하면 됩니다. ^^ (참고로,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hrome\chrome.sln 파일을 Visual Studio에서 직접 로드해 빌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빌드가 완료되면 다음의 경로에 chrome.exe를 포함한 실행 모듈들이 생성됩니다.

Debug 빌드 -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build\Debug
Release 빌드 -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build\Release




그런데, 제 경우에는 문서에 없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glue 프로젝트를 빌드 중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는데요.

1>------ 빌드 시작: 프로젝트: glue, 구성: Release Win32 ------
1> webkit_glue.cc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um\combaseapi.h(242): error C2061: syntax error : identifier 'pp'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um\combaseapi.h(242): error C3646: '_Post_satisfies_' : unknown override specifier


메모장으로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um\combaseapi.h" 파일의 242라인을 보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나옵니다.

extern "C++"
{

    template<typename T> _Post_equal_to_(pp) _Post_satisfies_(return == pp) void** IID_PPV_ARGS_Helper(T** pp) 
    {
#pragma prefast(suppress: 6269, "Tool issue with unused static_cast")
        static_cast<IUnknown*>(*pp);    // make sure everyone derives from IUnknown
        return reinterpret_cast<void**>(pp);
    }    
}

역시 Visual Studio 2010에 포함된 C++ 컴파일러가 빌드를 못하는 경우 같은데요. 여기서 _Post_equal_to_, _Post_satisfies_에 대한 주석 처리를 다음과 같이 해주면 됩니다.

extern "C++"
{

    template<typename T> /* _Post_equal_to_(pp) _Post_satisfies_(return == pp) */ void** IID_PPV_ARGS_Helper(T** pp) 
    {
#pragma prefast(suppress: 6269, "Tool issue with unused static_cast")
        static_cast<IUnknown*>(*pp);    // make sure everyone derives from IUnknown
        return reinterpret_cast<void**>(pp);
    }    
}

저장하고 빌드하면 이제 저 위치에서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 외에 문제가 하나 더 있었는데요. 사실, 이번에 크롬 빌드를 하면서 예전과 다르지 않겠거니 하고 이전 문서에 따라 Windows SDK 7.0A를 설치했습니다. 7.0A의 경우 빌드 초기부터 8.0 winrt 관련 헤더들이 없는 까닭에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다시 8.0 WinSDK를 설치하게 되었는데요.

이 상태에서 glue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1>------ 빌드 시작: 프로젝트: glue, 구성: Release Win32 ------
1> webkit_glue.cc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shared\wtypesbase.h(260): error C2011: '_COAUTHIDENTITY' : 'struct' type redefinition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0A\include\wtypes.h(501) : see declaration of '_COAUTHIDENTITY'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shared\wtypesbase.h(271): error C2011: '_COAUTHINFO' : 'struct' type redefinition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0A\include\wtypes.h(512) : see declaration of '_COAUTHINFO'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shared\wtypesbase.h(315): error C2011: 'tagMEMCTX' : 'enum' type redefinition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0A\include\wtypes.h(558) : see declaration of 'tagMEMCTX'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shared\wtypesbase.h(348): error C2011: 'tagCLSCTX' : 'enum' type redefinition


이 오류는 glue 프로젝트에 8.0과 7.0A의 Windows SDK가 모두 적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해당 Visual C++ 프로젝트 속성창을 열고 다음과 같이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 폴더를 수작업으로 등록하고 반드시 "부모 또는 프로젝트 기본값에서 상속" 설정을 해제해 주어야 합니다. (하는 김에 Debug와 Release 모두에 적용하는 것이 좋겠지요. ^^)

chrome_build_vs_2.png

변경 후 다시 빌드를 해주면 정상적으로 오류 없이 컴파일이 완료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2-20 10시34분
빌드 후에는 아래와 같은 정도의 배치 파일을 만들어 두어 빌드된 결과물 중에서 추려내면 크롬 브라우저 실행에 문제가 없습니다.

SET BIN=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build\Release
SET DST=D:\Chrome

copy %BIN%\chrome.dll %DST% /y
copy %BIN%\chrome.exe %DST% /y
copy %BIN%\chrome_100_percent.pak %DST% /y
copy %BIN%\chrome_frame_helper.* %DST% /y
copy %BIN%\chrome_launcher.exe %DST% /y
copy %BIN%\chrome_touch_100_percent.pak %DST% /y
copy %BIN%\d3d*.* %DST% /y
copy %BIN%\delegate_execute.exe %DST% /y
copy %BIN%\ffmpegsumo.dll %DST% /y
copy %BIN%\icudt.dll %DST% /y
copy %BIN%\libegl.dll %DST% /y
copy %BIN%\libglesv2.dll %DST% /y
copy %BIN%\metro_driver.dll %DST% /y
copy %BIN%\nacl*.* %DST% /y
copy %BIN%\npchrome_frame.dll %DST% /y
copy %BIN%\pdf.dll %DST% /y
copy %BIN%\ppgooglenaclpluginchrome.dll %DST% /y
copy %BIN%\resources.pak %DST% /y
copy %BIN%\secondarytile.png %DST% /y
copy %BIN%\libglesv2.dll %DST% /y
copy %BIN%\xinput1_3.dll %DST% /y
robocopy %BIN%\Locales %DST%\Locales /XF *.pdb

del %DST%\*.pdb /Q
del %DST%\*.tmp /Q
정성태
2018-10-26 10시57분
[dye] Combaseapi.h 저거 주석 처리해도 안되는데..
[guest]
2023-07-20 10시42분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크로미움(Chromium) 빌드
; https://blog.naver.com/drvoss/223156919147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72정성태1/7/201124111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3696.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4232.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0347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26581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28371.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6331.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27817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2988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963정성태12/13/201027864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2]파일 다운로드1
962정성태12/10/201022756오류 유형: 110. GAC 등록 - Failure adding assembly to the cache: Invalid file or assembly name.
961정성태12/10/201099773개발 환경 구성: 90.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PostgreSQL DB [5]
960정성태12/8/201045066.NET Framework: 195. .NET에서 코어(Core) 관련 CPU 정보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59정성태12/8/201031896.NET Framework: 194.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
958정성태12/7/201028886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2]
957정성태12/6/201031616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3]
953정성태11/28/201036855.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5]
952정성태11/25/201025308.NET Framework: 192. GC의 부하는 상대적인 것! [4]
950정성태11/18/201076659.NET Framework: 191.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17]파일 다운로드2
954정성태11/29/201048663    답변글 .NET Framework: 191.1. [답변] 클릭원스 -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2E4) [2]
949정성태11/16/201027210오류 유형: 109. System.ServiceModel.Security.SecurityNegotiationException
948정성태11/16/201035985.NET Framework: 190.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7]파일 다운로드1
947정성태11/14/201041657.NET Framework: 189. Mono Cecil로 만들어 보는 .NET Decompiler [1]파일 다운로드1
946정성태11/11/201041483.NET Framework: 188. .NET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에서 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파일 다운로드1
945정성태11/11/201025021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944정성태11/11/201031505VC++: 43.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2872: 'IServiceProvider' : ambiguous symbol could be ...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