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66.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207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이전에 Chromium을 Visual C++로 하는 방법을 설명했었는데요.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78

최근에 Windows 8의 스토어 앱 모드를 크롬이 지원하면서 빌드 방법도 제법 바뀌었습니다. 우선, 바뀐 빌드 방법은 아래의 공식 문서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The Chromium Projects - Build Instructions (Windows) 
; http://www.chromium.org/developers/how-tos/build-instructions-windows

이 글은 위의 문서를 정리한 것에 불과합니다. ^^




기본적인 개발 환경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1. OS Windows 7 Ultimate - 64비트 + SP1 설치
  2. Visual Studio 2010 Ultimate + SP1 설치
  3. Windows 8 SDK 설치: https://developer.microsoft.com/en-us/windows/downloads/sdk-archive/
  4. DirectX SDK 설치 - DXSDK_Jun10.exe: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displaylang=en&id=6812
  5. 환경 변수 정의: GYP_DEFINES=windows_sdk_path="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

공식 문서에는 Windows 8 SDK 헤더 파일 중에서 Visual Studio 2010에 포함된 Visual C++ 컴파일러로는 에러가 나는 구문을 수정하라고 나옵니다.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winrt\asyncinfo.h" 파일의 66라인에 보면 AsyncStatus 정의가 있는데,

enum class AsyncStatus {
  Started = 0,
  Completed, 
  Canceled, 
  Error,
};

여기서 enum class의 class 단어를 주석 처리하거나 삭제하고 저장하면 됩니다.

그다음 Chromium 빌드에 관련된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크롬 소스 코드를 담은 tarball 파일은 D:\chrome_build 폴더에 압축을 해제합니다. 그다음 depot_tools도 다운로드 후 D:\chrome_build\depot_tools 폴더에 압축 해제합니다. depot_tools에 포함된 gclient.bat 파일을 접근할 수 있도록 시스템 환경 변수의 PATH에 D:\chrome_build\depot_tools 경로를 추가합니다.

최종적으로 폴더 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완료됩니다.

chrome_build_vs_1.png

Visual Studio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고 Chromium의 소스 폴더로 이동한 다음 최신 소스 코드로 반영하는 작업을 gclient로 실행합니다.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해 주면 됩니다.

cd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
d:
gclient sync --force

제 경우에는 gclient sync 작업 실행 중 다음과 같은 식으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Installing git (avg 1-2 min download) ...
Installing subversion ...
Installing python ...
Your depot_tools checkout is configured to fetch from an obsolete URL
Would you like to update it? [y/N]: Y

...[생략]...

Syncing projects: 12% (14/111) src/breakpad/src
12>________ running 'svn update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events --revision 143130 -
-non-interactive --force --accept theirs-conflict --ignore-externals' in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
12>A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events\onerror-no-constructor.html
12>A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events\onerror-no-constructor-expected.txt
12>Updated to revision 143130.
Syncing projects: 13% (15/111) 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

Error: Can't update/checkout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filesystem if an unversioned directory is present. Delete the directory and try again.


실제로 오류 메시지에 따라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ontent\test\data\layout_tests\LayoutTests\fast\filesystem"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gclient sync --force"를 실행해 주면 이번에는 정상적으로 업데이트가 마무리 됩니다.

소스 코드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으면 이제 빌드를 마지막으로 해줍니다. 역시 Visual Studio 명령행 창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차례대로 수행해 주면 됩니다.

cd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hrome
d:
devenv /build Release chrome.sln /project chrome.vcxproj

일단, 문서에 따르면 위의 절차대로만 해주면 정상적으로 빌드가 된다고 나옵니다. 설령, 빌드 문제가 발생해도... 어떻게 해서든 해결하면 됩니다. ^^ (참고로,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chrome\chrome.sln 파일을 Visual Studio에서 직접 로드해 빌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빌드가 완료되면 다음의 경로에 chrome.exe를 포함한 실행 모듈들이 생성됩니다.

Debug 빌드 -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build\Debug
Release 빌드 - 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build\Release




그런데, 제 경우에는 문서에 없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glue 프로젝트를 빌드 중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는데요.

1>------ 빌드 시작: 프로젝트: glue, 구성: Release Win32 ------
1> webkit_glue.cc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um\combaseapi.h(242): error C2061: syntax error : identifier 'pp'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um\combaseapi.h(242): error C3646: '_Post_satisfies_' : unknown override specifier


메모장으로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um\combaseapi.h" 파일의 242라인을 보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나옵니다.

extern "C++"
{

    template<typename T> _Post_equal_to_(pp) _Post_satisfies_(return == pp) void** IID_PPV_ARGS_Helper(T** pp) 
    {
#pragma prefast(suppress: 6269, "Tool issue with unused static_cast")
        static_cast<IUnknown*>(*pp);    // make sure everyone derives from IUnknown
        return reinterpret_cast<void**>(pp);
    }    
}

역시 Visual Studio 2010에 포함된 C++ 컴파일러가 빌드를 못하는 경우 같은데요. 여기서 _Post_equal_to_, _Post_satisfies_에 대한 주석 처리를 다음과 같이 해주면 됩니다.

extern "C++"
{

    template<typename T> /* _Post_equal_to_(pp) _Post_satisfies_(return == pp) */ void** IID_PPV_ARGS_Helper(T** pp) 
    {
#pragma prefast(suppress: 6269, "Tool issue with unused static_cast")
        static_cast<IUnknown*>(*pp);    // make sure everyone derives from IUnknown
        return reinterpret_cast<void**>(pp);
    }    
}

저장하고 빌드하면 이제 저 위치에서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 외에 문제가 하나 더 있었는데요. 사실, 이번에 크롬 빌드를 하면서 예전과 다르지 않겠거니 하고 이전 문서에 따라 Windows SDK 7.0A를 설치했습니다. 7.0A의 경우 빌드 초기부터 8.0 winrt 관련 헤더들이 없는 까닭에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다시 8.0 WinSDK를 설치하게 되었는데요.

이 상태에서 glue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1>------ 빌드 시작: 프로젝트: glue, 구성: Release Win32 ------
1> webkit_glue.cc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shared\wtypesbase.h(260): error C2011: '_COAUTHIDENTITY' : 'struct' type redefinition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0A\include\wtypes.h(501) : see declaration of '_COAUTHIDENTITY'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shared\wtypesbase.h(271): error C2011: '_COAUTHINFO' : 'struct' type redefinition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0A\include\wtypes.h(512) : see declaration of '_COAUTHINFO'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shared\wtypesbase.h(315): error C2011: 'tagMEMCTX' : 'enum' type redefinition
1>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7.0A\include\wtypes.h(558) : see declaration of 'tagMEMCTX'
1>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shared\wtypesbase.h(348): error C2011: 'tagCLSCTX' : 'enum' type redefinition


이 오류는 glue 프로젝트에 8.0과 7.0A의 Windows SDK가 모두 적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해당 Visual C++ 프로젝트 속성창을 열고 다음과 같이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8.0\Include" 폴더를 수작업으로 등록하고 반드시 "부모 또는 프로젝트 기본값에서 상속" 설정을 해제해 주어야 합니다. (하는 김에 Debug와 Release 모두에 적용하는 것이 좋겠지요. ^^)

chrome_build_vs_2.png

변경 후 다시 빌드를 해주면 정상적으로 오류 없이 컴파일이 완료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2-20 10시34분
빌드 후에는 아래와 같은 정도의 배치 파일을 만들어 두어 빌드된 결과물 중에서 추려내면 크롬 브라우저 실행에 문제가 없습니다.

SET BIN=D:\chrome_build\home\src_tarball\tarball\chromium\src\build\Release
SET DST=D:\Chrome

copy %BIN%\chrome.dll %DST% /y
copy %BIN%\chrome.exe %DST% /y
copy %BIN%\chrome_100_percent.pak %DST% /y
copy %BIN%\chrome_frame_helper.* %DST% /y
copy %BIN%\chrome_launcher.exe %DST% /y
copy %BIN%\chrome_touch_100_percent.pak %DST% /y
copy %BIN%\d3d*.* %DST% /y
copy %BIN%\delegate_execute.exe %DST% /y
copy %BIN%\ffmpegsumo.dll %DST% /y
copy %BIN%\icudt.dll %DST% /y
copy %BIN%\libegl.dll %DST% /y
copy %BIN%\libglesv2.dll %DST% /y
copy %BIN%\metro_driver.dll %DST% /y
copy %BIN%\nacl*.* %DST% /y
copy %BIN%\npchrome_frame.dll %DST% /y
copy %BIN%\pdf.dll %DST% /y
copy %BIN%\ppgooglenaclpluginchrome.dll %DST% /y
copy %BIN%\resources.pak %DST% /y
copy %BIN%\secondarytile.png %DST% /y
copy %BIN%\libglesv2.dll %DST% /y
copy %BIN%\xinput1_3.dll %DST% /y
robocopy %BIN%\Locales %DST%\Locales /XF *.pdb

del %DST%\*.pdb /Q
del %DST%\*.tmp /Q
정성태
2018-10-26 10시57분
[dye] Combaseapi.h 저거 주석 처리해도 안되는데..
[guest]
2023-07-20 10시42분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크로미움(Chromium) 빌드
; https://blog.naver.com/drvoss/223156919147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86정성태7/17/201916919오류 유형: 557.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지 않은 파티션을 탐색기에서 드라이브 문자와 함께 보여주는 문제
11985정성태7/17/201917073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1]
11984정성태7/9/201925600개발 환경 구성: 451. Microsoft Edge (Chromium)을 대상으로 한 Selenium WebDriver 사용법 [1]
11983정성태7/8/201914939오류 유형: 556. nodemon - 'mocha' is not recognized as an internal or external command, operable program or batch file.
11982정성태7/8/201915011오류 유형: 555.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result: unexpected exception occured (-1002 - 0xfffffc16)
11981정성태7/7/201918084Math: 64. C# - 3층 구조의 신경망(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80정성태7/7/201928221개발 환경 구성: 450. Visual Studio Code의 Java 확장을 이용한 간단한 프로젝트 구축파일 다운로드1
11979정성태7/7/201918495개발 환경 구성: 449. TFS에서 gitlab/github등의 git 서버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
11978정성태7/6/201917720Windows: 161. 계정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PC 간의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1]
11977정성태7/6/201922315오류 유형: 554. git push - error: RPC failed; HTTP 413 curl 22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11976정성태7/4/201916690오류 유형: 553. (잘못 인증 한 후) 원격 git repo 재인증 시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오류 발생
11975정성태7/4/201925484개발 환경 구성: 448. Visual Studio Code에서 콘솔 응용 프로그램 개발 시 "입력"받는 방법
11974정성태7/4/201921214Linux: 22. "Visual Studio Code + Remote Development"로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CentOS 7) C/C++ 개발
11973정성태7/4/201919947Linux: 21. 리눅스에서 공유 라이브러리가 로드되지 않는다면?
11972정성태7/3/201923759.NET Framework: 847. JAVA와 .NET 간의 AES 암호화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1971정성태7/3/201920011개발 환경 구성: 447. Visual Studio Code에서 OpenCvSharp 개발 환경 구성
11970정성태7/2/201918605오류 유형: 552. 웹 브라우저에서 파일 다운로드 후 "Running security scan"이 끝나지 않는 문제
11969정성태7/2/201919089Math: 63. C# - 3층 구조의 신경망파일 다운로드1
11968정성태7/1/201925783오류 유형: 551. Visual Studio Code에서 Remote-SSH 연결 시 "Opening Remote..." 단계에서 진행되지 않는 문제 [1]
11967정성태7/1/201919832개발 환경 구성: 446. Synology NAS를 Windows 10에서 iSCSI로 연결하는 방법
11966정성태6/30/201918804Math: 62. 활성화 함수에 따른 뉴런의 출력을 그리드 맵으로 시각화파일 다운로드1
11965정성태6/30/201919365.NET Framework: 846. C# - 2차원 배열을 1차원 배열로 나열하는 확장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1964정성태6/30/201920933Linux: 20. C# - Linux에서의 Named Pipe를 이용한 통신
11963정성태6/29/201920654Linux: 19. C# - .NET Core Unix Domain Socket 사용 예제
11962정성태6/27/201918320Math: 61.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선형분리 불가능 문제의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61정성태6/27/201917844Graphics: 37. C# - PLplot - 출력 모음(Family File Output)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