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185. System Center 2012 Operations Manager 설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01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System Center 2012 Operations Manager 설치

이번 글에서는 간단하게 SCOM 2012 설치 과정만 화면 캡쳐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사실 다음의 글을 거의 그대로 따라한 것에 지나지 않지만 제 나름대로 정리를 덧붙였으니 참고가 되는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

System Center Operations Manager 2012 Installation Walkthrough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ptsblog/system-center-operations-manager-2012-installation-walkthrough

우선, 설치를 위해 다음의 사전 작업을 해줘야 하는데요. 제 경우에는 3대의 VM을 만들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을 했습니다.

VM 1: 1) Active Directory 설치

VM 2: 1) AD 가입
      2) SQL Server 2012 설치 (Collation: Latin1_General_CI_AS)
            Full-Text Search 구성 요소 추가
            SQL Server Agent 서비스 (시작 상태 - Automatic)

VM 3: 0) 메모리 4GB (설치 가능한 최소 메모리는 2GB로 되어 있지만, 실제 사용 시 2GB 초과하게 됨)
      1) AD 가입
      2) ".NET Framework 3.5 Features" 활성
      3) IE Enhanced Security Configuration == Off
      4) Remote Registry NT 서비스 시작
      5) Role 추가:
            Application Server - 기본 선택과 함께 다음의 옵션을 추가 활성
                (*) Web Server (IIS) Support
                - Windows Process Activation Service Support
                    (*) HTTP Activation

            Web Server (IIS) - 기본 선택과 함께 다음의 옵션을 추가 활성
                - Health and Diagnostics
                    (*) Request Monitor

                - Security
                    (*) Windows Authentication

                - Application Development
                    (*) ASP.NET 3.5
                    (*) ASP.NET 4.5
                    (*) CGI

                - IIS 6 Management Compatibility
                    (*) IIS 6 Metabase Compatibility

      6) Microsoft Report Viewer 2010 재배포 가능 패키지 설치
        ;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234118

      7) SQL Server 2012 설치 디스크로부터 Reporting Services - Native 구성 요소 추가
            Reporting 서비스 추가한 다음, "Reporting Services Configuration Manager"를 이용해 VM2의 DB 서버로 Report Server 구성

주의할 것은, SQL Server의 Collation 설정이 SCOM과 맞아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Clarification on SQL Server Collation Requirements for System Center 2012
; https://techcommunity.microsoft.com/t5/system-center-blog/clarification-on-sql-server-collation-requirements-for-system/ba-p/346198

제 경우에는 기존 설치된 SQL Server의 Collation 설정이 Korean_Wansung_CI_AS으로 되어 있고, 영문 SCOM 2012를 설치하려고 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This SQL instance collation is not supported. Please select a SQL server and instance with a supported collation. Please see the deployment guide for supported collations.


그래서, "Latin1_General_CI_AS" 설정으로 새롭게 SQL 서버 인스턴스를 설치해야만 했습니다.




설치 디스크를 넣고 Setup.exe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으로 시작합니다.

how_to_install_scom_2012_1.png

Install 링크를 누르면, Setup 창이 뜨고 설치할 구성 요소를 선택합니다. (아래의 화면에서는 "Reporting server"가 해제되어 있지만, 선택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없으면 AppAdvisor 웹 관리 화면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how_to_install_scom_2012_2.png

다음 화면에서는 설치 폴더를 묻는데 기본값으로 두고 진행하면 설치에 따른 검증 작업이 진행됩니다. 이전에 사전 작업대로 준비를 했다면 아무런 오류가 없을텐데, 있어도 상관없습니다. 오류에 따라 설정을 그냥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

how_to_install_scom_2012_3.png

이제 Management Group을 생성해야 하는데요. Active Directory에 첫 번째 Management Server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새롭게 그룹 이름을 지정하면 됩니다.

how_to_install_scom_2012_4.png

다음은 라이선스 동의창이 나오고, 확인을 누르면 "Operational Database"과 "Warehouse database"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2가지 단계가 연이어 나옵니다. 여기서 다른 컴퓨터 또는 현재 컴퓨터에 설치한 SQL Server의 연결 정보를 제공합니다.

how_to_install_scom_2012_5.png

how_to_install_scom_2012_6.png

"Web Console"을 위한 웹 사이트도 지정하는데요. 저는 그냥 기본값으로 두고 진행했습니다.

how_to_install_scom_2012_7.png

다음은, 웹 사이트에 대한 인증을 선택하는데요. 역시 기본값으로 진행!

how_to_install_scom_2012_8.png

이제 서비스를 위한 계정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how_to_install_scom_2012_9.png

제 경우에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도메인 계정 3개를 생성했습니다.

testad\scomadmin: "Domain Users" 계정
                  SCOM을 설치하는 컴퓨터의 "Local Administrators"그룹에 등록

testad\scomreader: "Domain Users" 계정

testad\scomwriter: "Domain Users" 계정

설치 과정 중에 SQL 서버쪽으로의 보안 설정 같은 것들은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계정에 대해서 별도로 해 줄 작업은 없습니다. (계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화면 좌측 하단의 "Installation Guide" 링크를 누르면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렇긴 해도, 나중에 SCOM 에이전트를 원격 배포할 일이 생기는 경우를 위해 편의상 "scomadmin" 계정에 "Domain Admins" 권한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설정하고 뒤이은 화면들은 그냥 기본값으로 두고 확인만 누르면 설치 과정이 완료됩니다. 아래는 정상적으로 설치된 Operations Manager가 실행되었을 때의 화면입니다.

how_to_install_scom_2012_10.png




시스템 변경 사항을 살펴볼까요?

우선, 다음의 5가지 NT 서비스가 추가됩니다.

  • System Center Audit Forwarding : Sends events to a collector for storage in a SQL database.
  • System Center Data Access Service : Microsoft System Center Data Access Service.
  • System Center Management: The System Center Management service monitors the health of the computer. The service may be configured to monitor the health of other computers in addition to this computer. If this service is stopped, detection of failures may not occur. If this service is disabled, any services that explicitly depend on it will fail to start.
  • System Center Management APM: Monitors the health of .NET applications on this computer. If this service is stopped detection of application failures may not occur.
  • System Center Management Configuration: Microsoft System Center Management Configuration service.

IIS에는 4개의 Web Application이 추가되고, .NET 2.0/4.0으로 나뉜 3개의 AppPool이 생성됩니다.

how_to_install_scom_2012_11.png

테스트 삼아서 다음의 URL을 방문해 보셔도 됩니다.

  • http://localhost/OperationsManager/
  • http://localhost/AppDiagnostics
  • http://localhost/AppAdvisor

참고로, 현재 단계에서는 AppAdvisor를 방문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메시지와 함께 동작이 안될 수 있습니다.

Publishing is in progress

Application Advisor Reports have not finished publishing to the Operations Manager data warehouse database.
Wait about 30 minutes, and then try to start Application Advisor again


무시하시면 됩니다. ^^ 메시지의 내용대로 시간 지나면 해결됩니다.

마지막으로, DB에는 "OperationsManagerDW", "OperationsManager" 2개의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기타 나머지 사항은, technet의 공식 문서를 참고하세요. ^^

Operations Manager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system-center/system-center-2012-R2/hh205987(v=sc.12)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6정성태12/20/201921067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9037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449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395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603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2482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9647.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1575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1381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0444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8969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9776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9479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0949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7717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1264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3191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9624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28268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9675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9317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7624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0589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9529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8944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410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