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T 서비스의 Main 메서드 안에서 Process.GetProcessesByName 호출 시 멈춤 현상

일반적으로 NT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만듭니다.

public class Service1 : System.ServiceProcess.ServiceBase
{
    static void Main()
    {
        System.ServiceProcess.ServiceBase[] ServicesToRun = 
            new System.ServiceProcess.ServiceBase[] { new Service1() };

        System.ServiceProcess.ServiceBase.Run(ServicesToRun);
    }

    private void InitializeComponent()
    {
        this.ServiceName = "Service1";
    }

    protected override void OnStart(string[] args)
    {
        // 서비스 코드 작성 (예를 들어, WCF Open)
    }
 
    protected override void OnStop()
    {
    }
}

그런데, 제 경우에 Main 메서드에서 ServiceBase.Run을 호출하기 전에 약간의 초기화 작업이 필요해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넣었습니다.

Process[] processes = Process.GetProcesses(...); 
[또는]
Process[] processes = Process.GetProcessesByName(...);

이렇게 놓고 테스트를 하는데, 5대의 VM 중에서 4대에서는 정상적으로 되고 1대에서만 Process.GetProcessesByName에서 스레드가 블록되어 버리고, SCM(Service Control Manager)은 일정 시간 동안 NT 서비스가 실행을 반환하지 않으므로 중간에 서비스를 강제 종료해버렸습니다.

Windows Server 2003 x86 SP2(.NET 2.0 ~ .NET 4.0 설치): 정상 동작
Windows Server 2003 x64 SP2(.NET 2.0 ~ .NET 4.0 설치): 정상 동작
Windows Server 2008 x86 SP2(.NET 2.0 ~ .NET 4.0 설치): 정상 동작
Windows Server 2008 R2 SP1(.NET 2.0 ~ .NET 4.0 설치): 정상 동작
Windows Server 2003 x86 SP2(.NET 1.1): Hang 현상 발생




원인을 찾기 위해 procdump를 이용해 hang 걸린 상태에서 풀 덤프를 받고,

procdump -ma [... pid ...]

"Debug Diagnostic Tool"를 이용해 분석해 보았습니다. (1.2 버전부터 많이 좋아져서 ^^ 이것 때문에 windbg 실행할 일이 많이 줄었습니다. ^^)

Debug Diagnostic Tool v1.2
; http://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26798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Thread 0 - System ID 468
This thread is making an outbound RPC call over LPC to the local machine.

.NET Call Stack

Function 
[DEFAULT] I4 Microsoft.Win32.UnsafeNativeMethods.RegQueryValueEx(ValueClass System.Runtime.InteropServices.HandleRef,String,SZArray I4,SZArray I4,ValueClass System.Runtime.InteropServices.HandleRef,ByRef I4) 
[hasThis] I System.Diagnostics.PerformanceMonitor.GetData(String) 
[hasThis] I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Lib.GetPerformanceData(String) 
[hasThis] Class System.Collections.Hashtable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Lib.get_CategoryTable() 
[hasThis] I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Lib.GetPerformanceData(SZArray String,SZArray I4) 
Full Call Stack

Function   Source 
ntdll!KiFastSystemCallRet    
ntdll!ZwRequestWaitReplyPort+c    
rpcrt4!LRPC_CCALL::SendReceive+230    
rpcrt4!I_RpcSendReceive+24    
rpcrt4!NdrSendReceive+2b    
rpcrt4!NdrClientCall2+22e    
advapi32!RStartServiceW+1c    
advapi32!StartServiceW+1e
wmiaprpl!WmiAdapterWrapper::Open+8d    
advapi32!OpenExtObjectLibrary+699    
advapi32!QueryExtensibleData+473    
advapi32!PerfRegQueryValue+536    
advapi32!LocalBaseRegQueryValue+306    
advapi32!RegQueryValueExW+96    
0x009ca8ad    
[DEFAULT] [hasThis] I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Lib.GetPerformanceData(String)    
[DEFAULT] [hasThis] Class System.Collections.Hashtable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Lib.get_CategoryTable()    
[DEFAULT] [hasThis] I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Lib.GetPerformanceData(SZArray String,SZArray I4)    
[DEFAULT] SZArray Class System.Diagnostics.ProcessInfo System.Diagnostics.NtProcessManager.GetProcessInfos(Class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Lib)    
[DEFAULT] SZArray Class System.Diagnostics.ProcessInfo System.Diagnostics.NtProcessManager.GetProcessInfos(String,Boolean)    
[DEFAULT] SZArray Class System.Diagnostics.ProcessInfo System.Diagnostics.ProcessManager.GetProcessInfos(String)    
mscorwks!CallDescrWorker+30    
mscorwks!MethodDesc::CallDescr+1b8    
mscorwks!MethodDesc::CallDescr+4f    
mscorwks!MethodDesc::Call+97    
mscorwks!ClassLoader::CanAccess+1d6    
mscorwks!ClassLoader::ExecuteMainMethod+49d    
mscorwks!Assembly::ExecuteMainMethod+21    
mscorwks!SystemDomain::ExecuteMainMethod+421    
mscorwks!ExecuteEXE+1ce    
mscorwks!_CorExeMain+59    
mscoree!_CorExeMain+2c    
kernel32!BaseProcessStart+23    


Outbound RPC Call:

Protocol Sequence    ncalrpc 
Endpoint ntsvcs 

처음에는 콜 스택이 눈에 잘 안들어와서 문제가 뭔지 몰랐는데, 마지막의 LPC Endpoint 정보에 ntsvcs가 있는 것을 보고 이것이 뭔지 찾아봐야만 했습니다.

Well-known MSRPC named pipes
; http://www.hsc.fr/ressources/articles/win_net_srv/well_known_named_pipes.html

위의 웹 페이지에 보면, ntsvcs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Named pipe: svcctl (ntsvcs alias)
Description: svcctl interface (Services control manager)
Service or process: services.exe
Interface identifier: 367aeb81-9844-35f1-ad32-98f038001003 v2.0

다시 svcctl 정보를 파고 들어가면 다음의 API가 눈에 띕니다.

Interface: 367aeb81-9844-35f1-ad32-98f038001003 v2.0: svcctl
Operation number: 0x13
Operation name: StartServiceW
Windows API: StartService

아하... 이제야 이해가 되는군요.

대강 짐작되는 바는 이렇습니다. Main 메서드에서 Process.GetProcessesByName을 호출했더니, 이것은 내부적으로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Lib.GetPerformanceData를 부릅니다. 성능 카운터 접속은 내부적으로 SCM에게 또 다른 서비스를 시작하라는 "advapi32!StartServiceW" Win32 API를 호출하였고 이것이 LPC 호출로 SCM 프로세스(services.exe)에게 전달된 것입니다.

그 순간에, SCM 프로세스는 이미 Process.GetProcessesByName을 호출한 서비스가 완료되기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dead-lock 상태에 빠져 버린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서비스를 시작시키려고 그랬던 것일까요? 그냥 감이 옵니다. ^^ 콜스택에 보니 "wmiaprpl!WmiAdapterWrapper"라는 정보로 봐서 아마도 WMI가 아닐까 싶었는데, 의외로 이미 해당 서비스(Winmgmt: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는 실행된 상태입니다.

그래도 혹시나 싶어, 정상 동작하던 동일한 운영체제의 Windows Server 2003에서 일부러 WMI 서비스를 정지시키고 테스트를 해보니 정말로 hang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

마찬가지로 .NET에서 성능 카운터 호출로 연결되는 또 다른 기능을 사용해도 (가령: Process.GetCurrentProcess().VirtualMemorySize) 동일한 현상이 재현되었고.

문제를 정리해 보면, 결국 StartServiceW 메서드의 호출을 발생시킨 부모 API 중에서 WMI에 의존하도록 만든 호출이 있다는 것입니다.
advapi32!StartServiceW+1e
wmiaprpl!WmiAdapterWrapper::Open+8d    
advapi32!OpenExtObjectLibrary+699    
advapi32!QueryExtensibleData+473    
advapi32!PerfRegQueryValue+536    
advapi32!LocalBaseRegQueryValue+306    
advapi32!RegQueryValueExW+96    

2대의 PC에서 advapi32.dll을 비교해 보니, 잘 되던 2003 서버는 "5.2.3790.4555"이고 hang 현상이 발생했던 2003 서버는 "5.2.3790.4455"으로 다르긴 합니다.

결국, 정상적으로 윈도우 업데이트가 안되던 운영체제가 문제였던 것입니다.

휴~~~ 이래서 테스트 장비는 다양해야 합니다. ^^

그러고 보니, 해결 방법을 빼놓았군요. 그냥 초기화 코드를 Main 메서드가 아닌 Service 클래스의 OnStart로 옮기는 것으로 간단하게 마무리 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4-29 08시29분
[ryujh] 안녕하세요.

이 글을 읽다가

'원인을 찾기 위해 procdump를 이용해 hang 걸린 상태에서 풀 덤프를 받고'

여기서 부터 저라면 어떻게 할 수 없었을 텐데... 끝까지 읽으니까 감탄만 나오네요.

요즘은 개발이 아니고 고객지원을 하다보니 디버그도 필요하고 공부할게 더 많아지는 군요.

이상입니다.
[guest]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49정성태4/28/201619894.NET Framework: 575.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10948정성태4/28/201623835.NET Framework: 574. .NET - 눈으로 확인하는 SharedDomain의 동작 방식 [3]파일 다운로드1
10947정성태4/27/201621720.NET Framework: 573. .NET CLR4 보안 모델 - 4. CLR4 보안 모델에서의 조건부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0946정성태4/26/201624520VS.NET IDE: 106. Visual Studio 2015 확장 - INI 파일을 위한 사용자 정의 포맷 기능 (Syntax Highlighting)파일 다운로드1
10945정성태4/26/201618297오류 유형: 327. VSIX 프로젝트 빌드 시 The "VsTemplatePaths"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오류 발생
10944정성태4/22/201619527디버깅 기술: 80.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찾는 방법
10943정성태4/22/201624381디버깅 기술: 79.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NET DLL을 추출/저장하는 방법 [1]
10942정성태4/19/201619702디버깅 기술: 78. windbg 사례 - .NET 예외가 발생한 시점의 오류 분석 [1]
10941정성태4/19/201619600오류 유형: 326. Error MSB8020 - The build tools for v120_xp (Platform Toolset = 'v120_xp') cannot be found.
10940정성태4/18/201622876Windows: 116. 프로세스 풀 덤프 시간을 줄여 주는 Process Reflection [3]
10939정성태4/18/201623898.NET Framework: 572. .NET APM 비동기 호출의 Begin...과 End... 조합 [3]파일 다운로드1
10938정성태4/13/201623470오류 유형: 325. 파일 삭제 시 오류 - Error 0x80070091: The directory is not empty.
10937정성태4/13/201631676Windows: 115. UEFI 모드로 윈도우 10 설치 가능한 USB 디스크 만드는 방법
10936정성태4/8/201642382Windows: 114. 삼성 센스 크로노스 7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USB 디스크로 새로 설치하는 방법 [3]
10935정성태4/7/201626669웹: 32. Edge에서 Google Docs 문서 편집 시 한영 전환키가 동작 안하는 문제
10934정성태4/5/201625384디버깅 기술: 77. windbg의 콜스택 함수 인자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 [1]
10933정성태4/5/201631016.NET Framework: 571. C# - 스레드 선호도(Thread Affinity) 지정하는 방법 [8]파일 다운로드1
10932정성태4/4/201623293VC++: 96. C/C++ 식 평가 - printf("%d %d %d\n", a, a++, a);
10931정성태3/31/201623565개발 환경 구성: 283.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3]
10930정성태3/30/201621522.NET Framework: 570. .NET 4.5부터 추가된 CLR Profiler의 실행 시 Rejit 기능
10929정성태3/29/201631635.NET Framework: 569.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의 역할파일 다운로드1
10928정성태3/28/201637347.NET Framework: 568. ODP.NET의 완전한 닷넷 버전 Oracle ODP.NET, Managed Driver [2]파일 다운로드1
10927정성태3/25/201626549.NET Framework: 567. System.Net.ServicePointManager의 DefaultConnectionLimit 속성 설명
10926정성태3/24/201626092.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0925정성태3/24/201620388.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924정성태3/22/201621058오류 유형: 324. Visual Studio에서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생성 시 Failed to initialize the PowerShell host 에러 발생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