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독립 설치 버전 현 시점(2021-05-07)에, 이 글에 있는 archive 링크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습니다. 대신 덧글에 있는 download.microsoft.com의 경로는 유효합니다. (아마도 이 경로는 비주얼 스튜디오 설치 시 서버에서 windbg를 받아오는 경로가 아닌가... 예상됩니다. ^^) "Debugging Tools for Windows"가 예전에는 단독 설치 버전이 제공되었는데 최근 들어 Windows SDK/DDK 내로 합쳐지면서 부가적인 요소들이 함께 설치되도록 바뀌었습니다. Download Debugging Tools for Windows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debugger-download-tools 위의 웹 페이지에 "Install Debugging Tools for Windows as a Standalone Component" 라는 링크가 제공되긴 하지만, 엄밀히 단독 설치 버전은 아닙니다. 물론, 빠른 다운로드 속도로 크게 불편함은 없는데요. 그래도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다 보면, 그래도 한 대 정도는 특정 버전만 설치되어야 제대로 테스트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처럼!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909 그런데, "Download and Install Debugging Tools for Windows"에서 제공되는 모든 링크에서는 "Debugging Tools for Windows"와 함께 .NET 4.0 설치를 해버립니다. 웹 검색을 해보면, 여기저기 듣보잡 웹 사이트에서 단독 설치 버전을 올려 놓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바닥에서 오래 일하다 보면 ^^ "공식 사이트"만을 고집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죠. ^^ 그래서 좀 더 검색을 해보니 다행히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것을 찾았습니다. Debugging Tools for Windows 6.12.2.633 ; http://archive.msdn.microsoft.com/debugtoolswindows dbg_amd64_6.12.2.633.msi ; http://archive.msdn.microsoft.com/Project/Download/FileDownload.aspx?ProjectName=debugtoolswindows&DownloadId=13747 dbg_x86_6.12.2.633.msi ; http://archive.msdn.microsoft.com/Project/Download/FileDownload.aspx?ProjectName=debugtoolswindows&DownloadId=13748 버전도 "Download and Install Debugging Tools for Windows"에서 제공되는 것보다 더 높다는 사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VC++: 68. #pragma warning(disable: ...)로 오류 제어가 안된다면?[이전 글] .NET Framework: 368. Encoding 타입의 대체(fallback) 메카니즘 [연관 글] VC++: 71. codeplex의 Project Austin - 실감나게 책장 넘기는 표현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최초 등록일: 5/3/2013] [최종 수정일: 6/25/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9-25 08시52분 windbg - x86; https://t.co/LWl22vUfAO?amp=1; https://download.microsoft.com/download/4/2/2/42245968-6A79-4DA7-A5FB-08C0AD0AE661/windowssdk/Installers/X86%20Debuggers%20And%20Tools-x86_en-us.msiwindbg - x64 (10.0.18362.1) (Windows Driver Kit 8.1); https://t.co/4yWiCKv0Id?amp=1; https://download.microsoft.com/download/4/2/2/42245968-6A79-4DA7-A5FB-08C0AD0AE661/windowssdk/Installers/X64%20Debuggers%20And%20Tools-x64_en-us.msi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1정성태12/6/201130641.NET Framework: 280. MVC3에서 JavaScriptSerializer 재정의하는 방법11190정성태12/6/201133658오류 유형: 141.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75: 'xxxxx' : illegal use of this type as an expression [1]1189정성태12/6/201141247VS.NET IDE: 70.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로드가 안된다면?1188정성태12/3/201129863개발 환경 구성: 135. 마이크로소프트 TFS 호스팅 서비스 - Preview [3]1187정성태12/2/201134824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1186정성태12/1/201137063.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11185정성태11/29/201126281.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11184정성태11/29/201130368.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1183정성태11/26/201124947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1182정성태11/25/201161676.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11181정성태11/24/201131665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1180정성태11/23/201141417.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11179정성태11/22/201131583.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11178정성태11/19/201128571.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11177정성태11/18/201133791.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11176정성태11/17/201133267.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3]11175정성태11/16/201131255.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1]11174정성태11/15/201130412.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4]1173정성태11/14/201126317.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1]1172정성태11/13/201123173.NET Framework: 267. windbg - GC Heap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1171정성태11/12/201140459.NET Framework: 266.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4]11170정성태11/10/201129780.NET Framework: 265. Named 동기화 개체 생성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1169정성태11/10/201132700.NET Framework: 264. 다중 LAN 카드 환경에서 Dns.GetHostAddresses(local)가 반환해 주는 IP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4]1168정성태11/6/201128954오류 유형: 139. TlbImp : error TI0000 : A single valid machine type compatible with the input type library must be specified1167정성태11/5/201140738개발 환경 구성: 13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5]41166정성태11/5/201126858.NET Framework: 263. byte[] pData = new byte[100000]로 인한 성능 차이? [1]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