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75. SpeechRecognitionEngine 사용 시 오류 유형 2가지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213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SpeechRecognitionEngine 사용 시 오류 유형 2가지

(업데이트: 2023-03-30) 이 글에 대한 질문은 더 이상 받지 않습니다. (하시다 보면, 제가 왜 이 기술에 대해 흥미를 못 느끼는 지 아시게 될 것입니다. ^^ SpeechRecognitionEngine에 특별한 업데이트가 없는 한 다루지 않을 것입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음성인식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예전에 썼던 다음의 글이 조회수가 5,000에 육박하고 있으니까요. ^^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1228

이번 글은, 아래의 질문에 포함된 예제를 실행해 보면서 겪은 오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음성인식 TTS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1142

제가 "C# 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글을 쓴 이후로 노트북이 바뀌어서 전혀 환경 구성이 안되어 있었는데요. 그래도 일단 "음성인식 TTS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글에 첨부된 소스 코드를 무작정 빌드해서 실행해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다음의 코드를 실행할 때 오류가 발생하는 군요. ^^

SpeechRecognitionEngine recognizer = new SpeechRecognitionEngine("SR_MS_ko-KR_TELE_11.0");

예외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Retrieving the COM class factory for component with CLSID {49428A60-C997-4D0E-9808-9E326C178D58} failed due to the following error: 80040154 Class not registered (Exception from HRESULT: 0x80040154 (REGDB_E_CLASSNOTREG)).


이는 제 컴퓨터에 "Speech Platform"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그런 것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사이트에서 런타임을 다운로드 받고,

Microsoft Speech Platform - Runtime 11.0
;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223568

Microsoft Speech Platform - Runtime Languages (Version 11)
- 한글 음성인식: MSSpeech_SR_ko-KR_TELE.msi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id=27224

다시 시도해 보니, 잘 됩니다.

그 외에 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또 한 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COM 개체의 특성상 레지스트리 등록 시에 x86/x64를 가리게 되는데요. 이 때문에 64비트 운영체제에 "x64_SpeechPlatformRuntime\SpeechPlatformRuntime.msi"을 설치했다면 당연히 .NET 응용 프로그램도 x64로 동작해야 합니다. 만약 x86으로 빌드했다면 COM 개체의 레지스트리 경로가 달라지기 때문에 "Class not registered"가 떨어지는 것이 맞는 결과입니다.




다음의 상황에서 LoadGrammar 메서드 실행 시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peechRecognitionEngine recognizer = new SpeechRecognitionEngine("SR_MS_ko-KR_TELE_11.0");

Choices colors = new Choices();
colors.Add(new string[] { "빨강", "파랑", "초록" });
GrammarBuilder gb = colors.ToGrammarBuilder();

Grammar g = new Grammar(gb);
recognizer.LoadGrammar(g); // 오류 발생

예외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was unhandled
  HResult=-2146233079
  Message=The language for the grammar does not match the language of the speech recognizer.
  Source=Microsoft.Speech
  StackTrace:
       at Microsoft.Speech.Recognition.RecognizerBase.ThrowIfSapiErrorCode(SAPIErrorCodes errorCode)
       at Microsoft.Speech.Recognition.MemoryGrammarContent.Load(SapiGrammar sapiGrammar, Boolean enabled, Single weight, Int32 priority)
       at Microsoft.Speech.Recognition.GrammarContent.Load(SapiGrammar sapiGrammar)
       at Microsoft.Speech.Recognition.Grammar.Load(SapiGrammar sapiGrammar, IRecognizerInternal recognizer)
...[생략]...
       at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
  InnerException: 

오류 메시지에 따르면 언어가 달라서 그런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GrammarBuilder 인스턴스에 언어를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해결됩니다.

SpeechRecognitionEngine recognizer = new SpeechRecognitionEngine("SR_MS_ko-KR_TELE_11.0");

Choices colors = new Choices();
colors.Add(new string[] { "빨강", "파랑", "초록" });

GrammarBuilder gb = new GrammarBuilder();
gb.Culture = new System.Globalization.CultureInfo("ko-KR");
gb.Append(colors);

Grammar g = new Grammar(gb);

recognizer.LoadGrammar(g);




"음성인식 TTS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글에 첨부된 소스 코드에서 초기화를 Form1_Load에서 하고 있는데요. x64 + 윈폼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는 Form1_Load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문제를 찾기가 좀 힘듭니다.

왜냐하면, 그와 같은 조합의 상황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Visual Studio는 예외를 먹어버리고 프로그램은 그냥 비정상 종료되어 버립니다. 그나마 Visual Studio의 디버그 창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남아 있는 정도인데요.

The program '[19588] WindowsFormsApplication3.exe: Managed (v4.0.30319)' has exited with code -1073741819 (0xc0000005) 'Access violation'.

이것은, Windows Forms 응용 프로그램의 고질적인 문제로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예전에 한번 이와 관련해서 쓴 적이 있지요. ^^

Windows Form의 Load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예외가 Visual Studio에서 잡히지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07

이런 것이 있다는 것을 참고하시고 디버깅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3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29정성태12/31/20063393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3493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5961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4339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8406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21725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20892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2808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293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22217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21741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29919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321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30740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6117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6440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9392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9753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7738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4601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8538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3217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42532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3401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3019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969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