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72. PerformanceCounter - Category does not exis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952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PerformanceCounter - Category does not exist.

성능 모니터링 도구를 보면 닷넷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범주의 성능 카운터들이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admin_perf_counter_1.png

이를 이용하기 위해 실제로 코드를 작성하면,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each (var item in PerformanceCounterCategory.GetCategories())
            {
                if (item.CategoryName.IndexOf("CLR") != -1)
                {
                    Console.WriteLine(item.CategoryName);
                }
            }

            Console.WriteLine();

            string categoryName = ".NET CLR Memory";
            var category = new PerformanceCounterCategory(categoryName);
            var counters = category.GetInstanceNames(); // 예외 발생: Category does not exist

            string counterName = "Gen 0 heap Size";
            using (PerformanceCounter perfCounter
                = new PerformanceCounter(categoryName, counterName, "......", true)) // 예외 발생: Category does not exist
            {
                // ......
            }
        }
    }
}

위의 2가지 코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분명히 ".NET CLR Memory" 범주가 있는데도, 이에 대한 정보를 구하려고 하니 없다고 예외를 뿌리고 있는 것입니다.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was unhandled
  Message=Category does not exist.
  Source=System
  StackTrace:
       at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Lib.CounterExists(String machine, String category, String counter)
       at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Initialize()
       at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ctor(String categoryName, String counterName, String instanceName, Boolean readOnly)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String[] args) in d:\...\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26
  InnerException: 

다행히 이에 대한 원인은 다음의 글에서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C#: Accessing PerformanceCounters for the “.NET CLR Memory category”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4705698/c-accessing-performancecounters-for-the-net-clr-memory-category

즉,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는 군요.

비-관리자 권한일 때는 다음의 CLR 성능 카운터를 구할 수 있는 반면,

  • .NET CLR Networking
  • MSSQL$SQLEXPRESS:CLR
  • .NET CLR Data
  • .NET CLR Networking 4.0.0.0

관리자 권한인 경우 다음의 범주를 모두 다룰 수 있습니다.

  • .NET CLR Exceptions
  • .NET CLR Networking
  • .NET CLR Loading
  • .NET CLR LocksAndThreads
  • .NET CLR Remoting
  • .NET CLR Security
  • .NET CLR Interop
  • .NET CLR Memory
  • .NET CLR Data
  • .NET CLR Networking 4.0.0.0
  • .NET CLR Jit
  • MSSQL$SQLEXPRESS:CLR

그나저나... 이런 것은 성능 카운터의 부작용이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구하려는 성능 카운터의 대상이 자신과 동일한 exe인 경우일지라도 그 정보를 구할 수 없다는 것인데, 자신에 대한 성능 정보를 접근하는 것에 특별한 권한이 필요하다는 것은 좀 아이러니하죠. 다른 프로세스라면 이해할 수 있지만!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7-17 11시53분
[ing™] 성능 카운트를 통해 얻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맞는 실행 권한 때문이지 않을까 합니다마. 이건 그냥 유추입니다.
[guest]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45정성태9/10/201239822스크립트: 12. 파이썬 - Win32 DLL 연동 [2]
1344정성태9/10/201232480오류 유형: 163. .NET Framework 4.5 제거 후 Visual Studio 2010 실행 시 Unknown Error
1343정성태9/8/201246278스크립트: 11. 파이썬(Python) 윈도우 개발 환경 [7]
1342정성태9/6/201230461VS.NET IDE: 73. Visual Studio 2012 - XmlCodeGenerator 마이그레이션
1341정성태9/4/201240106Windows: 60. Hyper-V에서 RemoteFX 없이 DirectX 11 제공 [12]
1340정성태9/4/201232186개발 환경 구성: 166. DOS - ping 결과에서 평균 응답 시간값 추출하기 [3]
1339정성태9/4/201234851개발 환경 구성: 165. 새로운 Visual Studio 2012 원격 디버깅 툴 [6]
1338정성태9/4/201236625.NET Framework: 335. C# - (핸들을 이용하여) 모든 열린 파일을 열람 [6]파일 다운로드1
1337정성태8/30/201226244Phone: 7. 디버거로 실습해 보는 윈도우 폰의 Tombstone 상태파일 다운로드1
1336정성태8/30/201243549.NET Framework: 334. 스레드 비정상 종료로 발생하는 CLOSE_WAIT 소켓 상태 [2]파일 다운로드1
1335정성태8/30/201233209Windows: 59. Hyper-V Internal 네트워크 VM의 인터넷 접속
1334정성태8/29/201252648.NET Framework: 333.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FIN_WAIT1, FIN_WAIT2, TIME_WAIT, CLOSE_WAIT, LAST_WAIT) [6]
1333정성태8/27/201255706개발 환경 구성: 164. system32 폴더에 있는 파일의 권한 조정 [2]
1332정성태8/23/201227291Team Foundation Server: 48. TFS - Team Project Collection 이전하는 방법
1331정성태8/23/201230811오류 유형: 162. Database '...' already exists. Choose a different database nam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801)
1330정성태8/22/201231497Team Foundation Server: 47. 5인 이내의 팀, 또는 개인 로컬 소스 관리를 위한 무료 TFS Express
1329정성태8/21/201227010오류 유형: 161. Azure - Storage 삭제가 안되는 경우 [1]
1328정성태8/20/201237598개발 환경 구성: 163. IIS 7 - "MIME Types" 설정 아이콘이 없는 경우
1327정성태8/19/201242615Windows: 58. Windows 8 정식 버전을 설치해 보고... [14]
1326정성태8/19/201228429오류 유형: 160. Visual Studio 2010 Team Explorer 설치 오류
1325정성태8/15/201228406개발 환경 구성: 162. 닷넷 개발자가 컴파일해 본 리눅스
1324정성태8/15/201229979.NET Framework: 332. 함수형 언어의 코드가 그렇게 빠를까? [4]파일 다운로드1
1323정성태8/4/201232107.NET Framework: 331. C# - 클래스 안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 발생하는 dynamic 키워드의 부작용 [2]
1322정성태8/3/201232054개발 환경 구성: 161. Ubuntu 리눅스의 Hyper-V 지원 (마우스, 네트워크)
1321정성태7/31/201231350개발 환경 구성: 160. Azure - Virtual Machine의 VHD 파일 다운로드 [2]
1320정성태7/30/201233434Math: 10. C# - (타)원 영역의 마우스 클릭 판단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