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78. Visual Studio 2012 Express - ImportCardinalityMismatchException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69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2012 Express - ImportCardinalityMismatchException

이전에 설치해 둔 Visual Studio Express for Desktop 버전으로 윈폼 프로젝트를 로드한 후, 솔루션 폴더에서 프로젝트 항목을 펼치면 여지없이 비정상 종료가 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벤트 로그에 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이 보이는데요.

오류 버킷 -562875298, 유형 5
이벤트 이름: CLR20r3
응답: 사용할 수 없음
Cab ID: 0

문제 서명:
P1: wdexpress.exe
P2: 11.0.51106.1
P3: 5098b5f8
P4: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
P5: 4.0.30319.18053
P6: 51906d58
P7: 16c
P8: 4f
P9: JT1X0453KJCJF34Q1KKIEV0ZVYPHQ53A
P10: 

응용 프로그램: WDExpress.exe
Framework 버전: v4.0.30319
설명: 처리되지 않은 예외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습니다.
예외 정보: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ImportCardinalityMismatchException
스택:
   위치: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Hosting.ExportProvider.GetExports(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Primitives.ImportDefinition,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Hosting.AtomicComposition)
   위치: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Hosting.ExportProvider.GetExportsCore(System.Type, System.Type, System.String,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Primitives.ImportCardinality)
   위치: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Hosting.ExportProvider.GetExportedValueCore[[System.__Canon, mscorlib,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System.String,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Primitives.ImportCardinality)
   위치: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Hosting.ExportProvider.GetExportedValue[[System.__Canon, mscorlib,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System.String)
   위치: System.ComponentModel.Composition.Hosting.ExportProvider.GetExportedValue[[System.__Canon, mscorlib,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위치: Microsoft.VisualStudio.ComponentModelHost.ComponentModel.GetService[[System.__Canon, mscorlib,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위치: Microsoft.VisualStudio.Progression.CommonIconHelper.Initialize(System.IServiceProvider)
   위치: Microsoft.VisualStudio.Progression.LanguageService.CSharp.IconHelper.Initialize(System.IServiceProvider)
   위치: Microsoft.VisualStudio.Progression.LanguageService.CSharp.CSLanSvcProvider.InitializeProvider()
   위치: Microsoft.VisualStudio.Progression.LanguageService.CSharp.CSLanSvcProvider.EnsureInitialized()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InternalRealCall(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위치: MS.Internal.Threading.ExceptionFilterHelper.TryCatchWhen(System.Object, 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System.Delegate)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Operation.InvokeImpl()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Operation.InvokeInSecurityContext(System.Object)
   위치: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Boolean)
   위치: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Boolean)
   위치: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Operation.Invoke()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ProcessQueue()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WndProcHook(IntPtr, Int32, IntPtr, IntPtr, Boolean ByRef)
   위치: MS.Win32.HwndWrapper.WndProc(IntPtr, Int32, IntPtr, IntPtr, Boolean ByRef)
   위치: MS.Win32.HwndSubclass.DispatcherCallbackOperation(System.Object)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ExceptionWrapper.InternalRealCall(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위치: MS.Internal.Threading.ExceptionFilterHelper.TryCatchWhen(System.Object, 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System.Delegate)
   위치: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LegacyInvokeImpl(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Priority, System.TimeSpan, System.Delegate, System.Object, Int32)
   위치: MS.Win32.HwndSubclass.SubclassWndProc(IntPtr, Int32, IntPtr, IntPtr)

또는, "디자인" 화면을 갖는 cs 파일을 열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하면서 열리지 않기도 합니다.

제약 조건과 일치하는 올바른 내보내기를 찾을 수 없습니다.
ContractName
Microsoft.VisualStudio.Utilities.IContentTypeRegistryService
RequiredTypeIdentity
Microsoft.VisualStudio.Utilities.IContentTypeRegistryService

한 가지 의심되는 점이 있다면 최근에 윈도우 업데이트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흠... 그에 반해 VM에 설치되어 있던 Visual Studio는 업데이트가 귀찮아서 "Update 1"만 적용해 놓은 상태였는데요. ^^ 혹시나 싶어 "Update 3"으로 적용하니 문제가 사라졌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66정성태2/13/202214502.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파일 다운로드1
12965정성태2/13/202214517.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12964정성태2/11/202215117.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63정성태2/11/202215659.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5027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5146.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14371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15462.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16315.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12957정성태2/6/202215220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2956정성태2/4/202214775.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2]파일 다운로드1
12955정성태2/4/202214133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12954정성태2/4/202213403VS.NET IDE: 173. 비주얼 스튜디오 - Output 창에 색상이 지정된 출력 결과가 "[39m[22m" 식의 문자로 나오는 문제
12953정성태2/2/202213444Linux: 48. Windows 11 + WSL 우분투 GUI 환경에서 한글 출력
12952정성태2/2/202214356.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1정성태2/2/202213812.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0정성태2/1/202214065.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12949정성태2/1/202213404.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파일 다운로드1
12948정성태1/30/202214110.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947정성태1/30/202215294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12946정성태1/28/202213985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14123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12944정성태1/28/202217534.NET Framework: 1143. C# - Entity Framework Core 6 개요
12943정성태1/27/202216756.NET Framework: 1142. .NET 5+로 포팅 시 플랫폼 호환성 경고 메시지(SYSLIB0006, SYSLIB0011, CA1416) [1]파일 다운로드1
12942정성태1/27/202216208.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파일 다운로드1
12941정성태1/26/202217441오류 유형: 790. AKS/k8s - pod 상태가 Pending으로 지속되는 경우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