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기타: 33. C:\Windows\Installer 폴더의 용량 줄이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54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Windows\Installer 폴더의 용량 줄이기

일단, 결과 먼저 말씀드리면 Installer 폴더의 용량을 줄이는 것은 실패했지만 ^^ 그래도 새로운 도구의 사용법을 익히게 되어서 그 기록을 남깁니다.

VM에 설치된 Windows 2012 서버의 Installer 폴더 용량이 7GB가 넘어서 혹시나 싶어 검색을 해보았는데요. ^^

C:\Windows\Installer Folder is out of control!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sqlserver/en-US/07db294a-79e5-4a5a-916c-6a51e44a5aa4/cwindowsinstaller-folder-is-out-of-control

msizap.exe 프로그램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정보는 다음의 경로에서 얻을 수 있었습니다.

Msizap.exe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msi/msizap-exe

MSIZAP: The real power of using the Windows Installer Cleanup Utility
; http://www.pagestart.com/msizap.html

* msizap.exe는 "Windows SDK"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충 정보를 조합해 보면, 인스톨 실패했을 때 C:\Windows\Installer에 남아 있는 찌꺼기를 지우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특정 제품 자체를 (업데이트 모두 포함해서) 제거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냥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를 이용하겠지만.)

근데, 여러 머신에서 테스트를 해보니 2가지 오류 상황이 나왔습니다. 하나는 다음과 같은 식인데,

D:\Tools>msizap G!
MsiZap V 5.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MsiZapInfo: Performing operations for user S-1-5-21-1990051354-560935109-2448667075-1104
Removing orphaned cached files.
   Error opening DB5888DB2EFC34E399CB33CEE401E95F\InstallProperties subkey of Products key for S-1-5-18 user. Error: 2.
FAILED to clear all data.

해답이 다음의 글에 나옵니다.

Clean Up C:\Windows\Installer 
; http://wyang0.blogspot.kr/2010/06/clean-up-cwindowsinstaller.html

그냥 문제가 발생한 제품을 삭제하면 된다고 하는데요. regedit.exe를 실행시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Installer\UserData" 경로를 찾아가 그 하위에 에러 메시지에 포함된 S-1-5-18 키로 들어가야 합니다. 그럼, 다시 그 하위에 "Products" 키가 나오고 문제가 되는 제품키인 "DB5888DB2EFC34E399CB33CEE401E95F"를 찾아서 삭제해 주면 됩니다.

또 다른 에러 한 가지는 6번 에러가 발생한 경우인데요.

D:\Tools>msizap G!
MsiZap V 5.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MsiZapInfo: Performing operations for user S-1-5-21
Removing orphaned cached files.
   Error enumerating Products key for S-1-5-21 user. Error: 6.
FAILED to clear all data.

이건 아예 사용자 키 수준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인데, 다음의 글을 읽어 보니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Installer\UserData" 경로의 사용자 키를 삭제하면 된다고 합니다.

deleting orphaned files from c:\windows\installer
; http://resque.wordpress.com/2012/04/05/deleting-orphaned-files-from-cwindowsinstaller/

실제로 들어가 보니, 해당 SID 키의 하위로는 Products 키가 없었습니다. 아마도 그 사용자한테 해당하는 제품이 하나도 없는 경우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 이렇게까지 노력했으나 제 VM 서버는 아주 깨끗한 상태였습니다.

D:\Tools>msizap G!
MsiZap V 5.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MsiZapInfo: Performing operations for user S-1-5-21-1990051354-560935109-2448667075-1104
Removing orphaned cached files.
No product/patch data was found.




참고로, SID는 Security Identifier로 S-...로 표현됩니다. 물론 Win32 API를 호출하면 되지만, 코드 작성 없이 곧바로 SID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역시 찾아 보니 방법이 있군요. ^^

Getting the Username from the HKEY_USERS values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2919286/getting-the-username-from-the-hkey-users-values

아래의 키들에 가보면, 하위에 SID 값이 나오고 사용자 명을 포함하는 "home path" 값을 봄으로써 판단할 수 있습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ProfileList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hivelis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7-19 03시04분
[wafe] 저도 Installer 폴더가 7기가인데 정리되는 건 하나도 없네요. 꼭 필요한 걸까 의문스러운데 너무 커요 ㅜ.ㅜ 64GB SSD에서는 너무 부담스럽네요 ^^;
SoftwareDistribution 폴더를 가끔 정리해주는 정도로 관리하고 있는데 Installer 폴더도 링크 걸어서 딴 드라이브로 옮길 수 있을까요?
[guest]
2013-08-01 03시04분
How to Reduce the Size of the Winsxs directory and Free Up Disk Space on Windows Server 2012 Using Features on Demand
; https://techcommunity.microsoft.com/t5/core-infrastructure-and-security/how-to-reduce-the-size-of-the-winsxs-directory-and-free-up-disk/ba-p/257755
정성태
2013-08-06 02시43분
[바생사] 음 저는 D나 E 드라이브로 옮긴후 심볼릭링크로 기존 디렉토리에 걸어놓고 쓰는데요
방법은 아래와 같고요

C용량늘리기
robocopy C:\Windows\Installer d:\Windows\Installer /E /COPYALL /XJ
rmdir C:\Windows\Installer /S /Q
mklink /d C:\Windows\Installer d:\Windows\Installer

첫번째나 두번째줄은 그냥 탐색기로 해도 되고요. 맨마지막 링크만 mklink 명령어로
수행하면 됩니다
[guest]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39정성태9/14/200619273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27510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069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28459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3678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24092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17094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17380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35115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1895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25660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0540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39657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0552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2764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713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2989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2902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647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291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2794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206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651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3783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468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2739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