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IIS - No connection could be made because the target machine actively refused it 127.0.0.1:80

테스트 웹 사이트를 간만에 로컬 PC의 80 포트로 동작시키려고 "Default Web Site"에 설정한 후 웹 브라우저로 방문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 동작을 전혀 안 하는 것입니다.

방문 주소: http://127.0.0.1/test.html

웹 브라우저 오류 메시지: 
This page can't be displayed
  • Make sure the web address http://127.0.0.1 is correct.
  • Look for the page with your search engine.
  • Refresh the page in a few minutes.

이벤트 로그에도 오류가 없고, 더 이상 단서가 없었습니다. 솔직히 이런 식의 오류 상황이야말로 개인적으로 가장 해결하기 힘든 것 중의 하나입니다. ^^

혹시나 싶어서, Fiddler를 이용해 좀 더 세부적인 메시지를 얻을 수 있을까 하는 기대로 동작시켜 보았는데, 다음과 같은 정도의 정보가 나왔습니다.

[Fiddler] The socket connection to 127.0.0.1 failed. 
ErrorCode: 10061. 
No connection could be made because the target machine actively refused it 127.0.0.1:80 

웹 검색을 해도 이와 유사한 문제는 발견할 수 없고, 난감해 하다가 IIS 관리자에서 "Sites" 노드를 통해 해당 웹 사이트가 "Stopped"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

iis_no_response_1.png

휴~~~ ^^ 어쨌든 큰 문제가 아니어서 다행입니다. 다시 Started 상태로 만들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나저나 이런 식의 Stopped 상태는 트리 뷰 목록에도 표현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 실제로 IIS 6.0까지만 해도 "Default Web Site (Stopped)"와 같이 표시되어 있어서 쉽게 구분이 가능했었는데.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59정성태11/10/202220851.NET Framework: 2066. C# - PublishSingleFile과 관련된 옵션 [3]
13158정성태11/9/202216554오류 유형: 826.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13157정성태11/8/202217693.NET Framework: 2065. C# - Mutex의 비동기 버전파일 다운로드1
13156정성태11/7/202221042.NET Framework: 2064. C# - Mutex와 Semaphore/SemaphoreSlim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155정성태11/4/202218132디버깅 기술: 183. TCP 동시 접속 (연결이 아닌) 시도를 1개로 제한한 서버
13154정성태11/3/202219331.NET Framework: 2063. .NET 5+부터 지원되는 GC.GetGCMemoryInfo파일 다운로드1
13153정성태11/2/202219947.NET Framework: 2062. C# -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SYN_SENT, SYN_RECV)
13152정성태11/1/202219000.NET Framework: 2061. ASP.NET Core - DI로 추가한 클래스의 초기화 방법 [1]
13151정성태10/31/202218276C/C++: 161. Windows 11 환경에서 raw socket 테스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50정성태10/30/202215729C/C++: 160. Visual Studio 2022로 빌드한 C++ 프로그램을 위한 다른 PC에서 실행하는 방법
13149정성태10/27/202216591오류 유형: 825. C# - CLR ETW 이벤트 수신이 GCHeapStats_V1/V2에 대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148정성태10/26/202218478오류 유형: 82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net5.0'. Ensure that restore has run and that you have included 'net5.0' in the TargetFramew
13147정성태10/25/202217356오류 유형: 823. Visual Studio 2022 - Unable to attach to CoreCLR. The debugger's protocol is incompatible with the debuggee.
13146정성태10/24/202219097.NET Framework: 2060. C# - Java의 Xmx와 유사한 힙 메모리 최댓값 제어 옵션 HeapHardLimit
13145정성태10/21/202218467오류 유형: 822. db2 - Password validation for user db2inst1 failed with rc = -2146500508
13144정성태10/20/202219715.NET Framework: 2059. ClrMD를 이용해 윈도우 환경의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43정성태10/19/202220215오류 유형: 821. windbg/sos - Error code - 0x000021BE
13142정성태10/18/202229111도서: 시작하세요! C# 12 프로그래밍
13141정성태10/17/202220143.NET Framework: 205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140정성태10/11/202220385C/C++: 159. C/C++ - 리눅스 환경에서 u16string 문자열을 출력하는 방법 [2]
13139정성태10/9/202217292.NET Framework: 2057.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모든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38정성태10/8/202220436.NET Framework: 2056. C# - await 비동기 호출을 기대한 메서드가 동기로 호출되었을 때의 부작용 [1]
13137정성태10/8/202219637.NET Framework: 2055.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13136정성태10/7/202218709.NET Framework: 2054. .NET Core/5+ SDK 설치 없이 dotnet-dump 사용하는 방법
13135정성태10/5/202220086.NET Framework: 2053.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를 분석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13134정성태10/4/202215059오류 유형: 820. There is a problem with AMD Radeon RX 5600 XT device. For more information, search for 'graphics device driver error code 3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