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89.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66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두뇌를 말랑말랑하게 유지하려고 "알고리즘 트레이닝 북"을 구매했습니다. ^^

Programming Challenges - 알고리즘 트레이닝 북
; http://www.yes24.com/24/Goods/1396784?Acode=101

오일러도 88번까지 풀다가 문제가 더 출제되지 않아서 그만두고 있었는데,

일단... "Project Euler @kr" 88번까지 완료! ^^
; https://www.sysnet.pe.kr/0/0/427

오랜만에 방문해 보니 어느새 113번 문제까지 출제가 되었네요. ^^ 그래도, 책을 구매했으므로 이것 먼저 하고 오일러를 손대야 할 것 같습니다. ^^

우선 첫 번재 문제!

The 3n + 1 problem
; http://www.programming-challenges.com/pg.php?page=downloadproblem&probid=110101&format=html

C# 언어로 만들어 봤는데,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Dictionary<long, int> _cycles = new Dictionary<long, int>();
        List<long> _steps = new List<lon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gram my = new Program();
            my.Run();
        }

        private void Run()
        {
            _cycles.Add(1, 1);

            while (true)
            {
                string txt = Console.ReadLine();

                if (string.IsNullOrEmpty(txt) == true)
                {
                    break;
                }

                string[] numbers = txt.Split(' ');

                long start = UInt32.Parse(numbers[0]);
                long end = UInt32.Parse(numbers[1]);

                if (start > end)
                {
                    long temp = start;
                    start = end;
                    end = temp;
                }

                long ticks = Environment.TickCount;
                int maxLength = GetMaxCycle(start, end);
                long diff = Environment.TickCount - ticks;

                Console.WriteLine(start + " " + end + " " + maxLength + ", elapsed: " + diff);
            }
        }

        private int GetMaxCycle(long start, long end)
        {
            int maxLength = 0;

            for (long i = start; i <= end; i++)
            {
                int cycleLength = GetCycleLength(i);

                if (maxLength < cycleLength)
                {
                    maxLength = cycleLength;
                }
            }

            return maxLength;
        }

        private int GetCycleLength(long i)
        {
            _steps.Clear();

            while (_cycles.ContainsKey(i) != true)
            {
                _steps.Add(i);

                if (i % 2 == 0)
                {
                    i /= 2;
                }
                else
                {
                    i = i * 3 + 1;
                }
            }

            int cycleLength = _cycles[i] + _steps.Count;
            int result = cycleLength;

            if (_steps.Count > 0)
            {
                foreach (long s in _steps)
                {
                    _cycles[s] = cycleLength--;
                }
            }

            return result;
        }
    }
}

아쉽게도 programming-challenges 공식 사이트에서는 C, C++, Java, Pascal 언어만 지원하기 때문에 자바로도 만들어 봤습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class Main {
    static String ReadLn(int maxLength) {
        byte line[] = new byte[maxLength];
        int length = 0;
        int input = -1;
        try {
            while (length < maxLength) {
                input = System.in.read();
                if ((input < 0) || (input == '\n'))
                    break;
                line[length++] += input;
            }

            if ((input < 0) && (length == 0))
                return null;

            return new String(line, 0, length);

        } catch (IOException e) {
            return null;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myWork = new Main();
        myWork.run();
    }

    HashMap<Long, Integer> _cycles = new HashMap<Long, Integer>();
    ArrayList<Long> _steps = new ArrayList<Long>();

    public void run() {
        String input;
        StringTokenizer idata;

        _cycles.put(1L, 1);

        while ((input = Main.ReadLn(255)) != null) {
            idata = new StringTokenizer(input);

            long start = Long.parseLong(idata.nextToken());
            long end = Long.parseLong(idata.nextToken());

            if (start > end) {
                long temp = start;
                start = end;
                end = temp;
            }

            long ticks = System.currentTimeMillis();
            int maxLength = GetMaxCycle(start, end);
            long diff = System.currentTimeMillis() - ticks;

            System.out.println(start + " " + end + " " + maxLength
                    + ", elapsed: " + diff);
        }
    }

    public int GetMaxCycle(long start, long end) {
        int maxLength = 0;

        for (long i = start; i <= end; i++) {
            int cycleLength = GetCycleLength(i);

            if (maxLength < cycleLength) {
                maxLength = cycleLength;
            }
        }

        return maxLength;
    }

    private int GetCycleLength(long i) {
        _steps.clear();

        while (_cycles.containsKey(i) != true) {
            _steps.add(i);

            if (i % 2 == 0) {
                i /= 2;
            } else {
                i = i * 3 + 1;
            }
        }

        int cycleLength = _cycles.get(i) + _steps.size();
        int result = cycleLength;

        if (_steps.size() > 0)
        {
            for (long s : _steps) {
                _cycles.put(s, cycleLength--);
            }
        }

        return result;
    }
}

입력 파일인 data.txt 파일을 다음과 같이 구성해서,

1 10
100 200
201 210
900 1000
1 1000000

C#, Java 버전의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실행 결과가 나옵니다.

D:>ConsoleApplication1.exe < i.txt
1 10 20, elapsed: 16
100 200 125, elapsed: 0
201 210 89, elapsed: 0
900 1000 174, elapsed: 0
1 1000000 525, elapsed: 406

D:>java -classpath . Main < i.txt
1 10 20, elapsed: 0
100 200 125, elapsed: 1
201 210 89, elapsed: 0
900 1000 174, elapsed: 2
1 1000000 525, elapsed: 1186

그나저나... 자바 버전으로 만든 소스코드에서 elapsed 측정을 제외시켜 다음과 같이 출력이 나오도록 변경한 다음,

D:>java -classpath . Main < i.txt
1 10 20
100 200 125
201 210 89
900 1000 174
1 1000000 525

"http://www.programming-challenges.com" 웹 사이트에 제출하면 답이 틀렸다(Wrong answer)고 나옵니다. 웹을 검색해서 다른 사람들의 답과 비교해봐도 답이 틀린 것은 모르겠는데... 암튼 답이 틀렸다고 나옵니다. 혹시 어떤 기준으로 저런 판정이 났는지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어쨌든 재미있군요. 가끔씩 심심할 때마다 풀어봐야겠습니다. ^^


참고로, C++ 버전도 추가.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cstring>
#include <algorithm>
#include <map>
using namespace std;

class Ch1_3n1
{
    int _start;
    int _end;
    map<int, int> _cache;

public:
    Ch1_3n1(int start, int end)
    {
        _start = start;
        _end = end;

        if (_start > _end)
        {
            swap(_start, _end);
        }
    }

    int calc()
    {
        int result = 0;

        for (int i = _start; i <= _end; i++)
        {
            result = max(result, calc3n1(i, 1));
        }

        return result;
    }

    int calc3n1(int n, int depth)
    {
        map<int, int>::iterator it = _cache.find(n);
        if (it != _cache.end())
        {
            return it->second + depth;
        }

        if (n == 1)
        {
            return depth;
        }

        int totalDepth = 0;

        if ((n % 2) == 0)
        {
            totalDepth = calc3n1(n / 2, depth + 1);
        }
        else
        {
            totalDepth = calc3n1(n * 3 + 1, depth + 1);
        }

        _cache.insert(pair<int, int>(n, totalDepth - depth));

        return totalDepth;
    }
};

// https://uva.onlinejudge.org/index.php?option=com_onlinejudge&Itemid=8&category=29&page=show_problem&problem=36
int main()
{
    while (true)
    {
        int start = -1;
        int end = -1;

        cin >> start;
        cin >> end;

        if (start == -1 && end == -1)
        {
            break;
        }

        Ch1_3n1 c(start, end);
        cout << start << " " << end << " " << c.calc() << endl;
    }

    return 0;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10-15 03시09분
[imyoyo] 출력하실 때 문제에서 입력값인 i,j를 입력된 순서 그대로 출력하셔야되요.. swap 된 채로 출력하셨네요 그게 문제가 아닐까요?
[guest]
2016-09-08 04시28분
UVa Online Judge
; https://uva.onlinejudge.org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6정성태12/20/201921041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9029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9443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22391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20598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22467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9617.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21551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21361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20428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8959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9759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9465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0946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7707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1261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3185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9614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28256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9658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9306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7612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0546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9493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8938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9396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