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예전에, 일반 Win32 DLL이 아닌 MFC 확장 DLL을 공부하면서.
Depends.exe로 export 된 함수를 보면서 인자형에 대해서 하나씩 정리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무식하면... ^^; 손발이 고생한다고 했던가요?
이미 그러한 것을 알아내는 툴을 Microsoft에서 제공하고 있었네요.
다음은 "신영진 (Shin, YoungJin)" <pop@jiniya.net.korea> 님이 답변해 주신 것입니다.

-----------------------------------------------

  C++로 맹글린된 이름의 경우는 파라미터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C++의 함수
  이름에는 파라미터 정보까지 포함하기 때문이죠. 물론 dll에서 그렇게
  익스포트하는 경우는 잘 없지만, 혹시 그런 형태라면 undname 함수에 함수 이름을
  넣으면 파라미터를 알 수 있습니다.

  undname은 ms의 c++ 이름 장식이 된 것을 해석해 주는 유틸리티 입니다. vc++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실제로 VS.NET 도움말에서 "undname.exe"로 인덱스를 찾아보면 자세한 설명을 찾을 수 있습니다.
거기 있는 내용 중에서 실행 예제를 아래에 옮겨봅니다.

C:\>undname ?func1@a@@AAEXH@Z
Microsoft (R) C++ Name Undecorator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1981-2000. All rights reserved.Undecoration
of :- "?func1@a@@AAEXH@Z"
is :- "private: void __thiscall a::func1(int)"

덧붙여서 다음과 같이 신영진님이 친절한 답변을 해주셨습니다.
------------------------------------------------
  참고적으로 해당 유틸리티는 dbghelp.dll에 있는 UndecorateSymbolName으로
  구현됩니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88정성태3/28/202414748닷넷: 2232. C# - Unity + 닷넷 App(WinForms/WPF) 간의 Named Pipe 통신 [2]파일 다운로드1
13587정성태3/27/202412233오류 유형: 900. Windows Update 오류 - 8024402C, 80070643
13586정성태3/27/202417189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
13585정성태3/26/202413556Windows: 262.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에 pid를 추가한 "Process V2"
13584정성태3/26/202416393개발 환경 구성: 708. Unity3D - C# Windows Forms / WPF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3583정성태3/25/202412463Windows: 261. CPU Utilization이 100% 넘는 경우를 성능 카운터로 확인하는 방법
13582정성태3/19/202415539Windows: 260. CPU 사용률을 나타내는 2가지 수치 - 사용량(Usage)과 활용률(Utilization)파일 다운로드1
13581정성태3/18/202413681개발 환경 구성: 707.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13580정성태3/15/202412316닷넷: 2231. C# - ReceiveTimeout, SendTimeout이 적용되지 않는 Socket await 비동기 호출파일 다운로드1
13579정성태3/13/202414297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13578정성태3/11/202415940닷넷: 2230. C# - 덮어쓰기 가능한 환형 큐 (Circular queue)파일 다운로드1
13577정성태3/9/202414631닷넷: 2229. C# - 닷넷을 위한 난독화 도구 소개 (예: ConfuserEx)
13576정성태3/8/202414548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
13575정성태3/7/202416079닷넷: 2227. 최신 C# 문법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 쓸 수 있을까요?
13574정성태3/6/202415020닷넷: 2226. C#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의 IPv6 DualMode 소켓
13573정성태3/5/202413021닷넷: 2225. Windbg - dumasync로 분석하는 async/await 호출
13572정성태3/4/202412567닷넷: 2224. C# - WPF의 Dispatcher Queue로 알아보는 await 호출의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1
13571정성태3/1/202412611닷넷: 2223. C# - await 호출과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70정성태2/29/202414614닷넷: 2222. C# -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69정성태2/28/202413776닷넷: 2221. C# - LoadContext, LoadFromContext 그리고 GAC파일 다운로드1
13568정성태2/27/202414712닷넷: 2220. C# - .NET Framework 프로세스의 LoaderOptimization 설정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67정성태2/27/202414314오류 유형: 898. .NET Framework 3.5 이하에서 mscoree.tlb 참조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3566정성태2/27/202414013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
13565정성태2/23/202411594닷넷: 2219.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개별 System.Security.Permissions 제어
13564정성태2/22/202414848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13563정성태2/21/202413753디버깅 기술: 196. windbg - async/await 비동기인 경우 메모리 덤프 분석의 어려움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