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예전에, 일반 Win32 DLL이 아닌 MFC 확장 DLL을 공부하면서.
Depends.exe로 export 된 함수를 보면서 인자형에 대해서 하나씩 정리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무식하면... ^^; 손발이 고생한다고 했던가요?
이미 그러한 것을 알아내는 툴을 Microsoft에서 제공하고 있었네요.
다음은 "신영진 (Shin, YoungJin)" <pop@jiniya.net.korea> 님이 답변해 주신 것입니다.

-----------------------------------------------

  C++로 맹글린된 이름의 경우는 파라미터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C++의 함수
  이름에는 파라미터 정보까지 포함하기 때문이죠. 물론 dll에서 그렇게
  익스포트하는 경우는 잘 없지만, 혹시 그런 형태라면 undname 함수에 함수 이름을
  넣으면 파라미터를 알 수 있습니다.

  undname은 ms의 c++ 이름 장식이 된 것을 해석해 주는 유틸리티 입니다. vc++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실제로 VS.NET 도움말에서 "undname.exe"로 인덱스를 찾아보면 자세한 설명을 찾을 수 있습니다.
거기 있는 내용 중에서 실행 예제를 아래에 옮겨봅니다.

C:\>undname ?func1@a@@AAEXH@Z
Microsoft (R) C++ Name Undecorator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1981-2000. All rights reserved.Undecoration
of :- "?func1@a@@AAEXH@Z"
is :- "private: void __thiscall a::func1(int)"

덧붙여서 다음과 같이 신영진님이 친절한 답변을 해주셨습니다.
------------------------------------------------
  참고적으로 해당 유틸리티는 dbghelp.dll에 있는 UndecorateSymbolName으로
  구현됩니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28정성태6/12/202022694.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7정성태6/12/202026938오류 유형: 616. Visual Studio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대한 원인 분석 [5]
12226정성태6/11/202026386개발 환경 구성: 493. OpenVPN의 네트워크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225정성태6/11/202023324개발 환경 구성: 492.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클라이언트 측 구성
12224정성태6/11/202032819개발 환경 구성: 491.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서버 측 구성 [1]
12223정성태6/9/202030980.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파일 다운로드2
12222정성태6/3/202021647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12221정성태6/3/202021266Windows: 170.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
12220정성태6/3/202026056.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12219정성태6/1/202024350.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2218정성태5/27/202022824.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
12217정성태5/24/202021537오류 유형: 615. Transaction count after EXECUTE indicates a mismatching number of BEGIN and COMMIT statements. Previous count = 0, current count = 1.
12216정성태5/15/202024668.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14]파일 다운로드1
12215정성태5/12/202030204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10]파일 다운로드1
12214정성태5/5/202023531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1]
12213정성태5/3/202023255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12212정성태5/1/202020508개발 환경 구성: 487.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12211정성태4/27/202023303개발 환경 구성: 486. WSL에서 Makefile로 공개된 리눅스 환경의 C/C++ 소스 코드 빌드
12210정성태4/20/202025476.NET Framework: 903.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1) - app.config을 이용한 바인딩 리디렉션 [1]파일 다운로드1
12209정성태4/13/202020753오류 유형: 614.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 (2)
12208정성태4/12/202018882Linux: 29.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
12207정성태4/2/202020134스크립트: 19. Windows PowerShell의 NonInteractive 모드
12206정성태4/2/202021546오류 유형: 613. 파일 잠금이 바로 안 풀린다면? - The process cannot access the file '...' because it is being used by another process.
12205정성태4/2/202018533스크립트: 18. Powershell에서는 cmd.exe의 명령어를 지원하진 않습니다.
12204정성태4/1/202019602스크립트: 17. Powershell 명령어에 ';' (semi-colon) 문자가 포함된 경우
12203정성태3/18/202022841오류 유형: 612. warning: 'C:\ProgramData/Git/config' has a dubious owner: '...'.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