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확장 도구 AttachToW3WP - w3wp.exe에 대한 디버거 연결을 자동화

지난번 글을 통해서, global.asax.cs 등의 초기 코드에 대한 디버깅이 얼마나 불편한 것인지 설명을 했습니다.

IIS 7.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21

IIS 8.0/8.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22

자, 그럼 이 문제를 Visual Studio 확장을 이용해 개선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목표는 다음과 같이 "TOOLS" / "AttachToW3WP" 메뉴를 추가하고 단지 그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global.asax.cs의 BP에 걸리도록 하는 것입니다.

attach_to_w3wp_1.png



의외로 방법이 그리 어렵진 않습니다. 우선, 다음의 글에 설명된 대로 "Menu Command" 유형의 VSP 프로젝트를 만들고,

Visual Studio 확장(VSIX)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15

기본 생성된 코드에서 "AttachToW3WP" 메뉴를 선택하면 실행될 MenuItemCallback의 기능을 정의해 주면 됩니다.

우선, iisreset 기능 먼저 넣어야 겠지요. 하지만 잘 생각해 보면 iisreset까지는 필요없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w3wp.exe의 초기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단순히 recycle 명령어만 수행해 주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코딩할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MenuItemCallback(object sender, EventArgs e)
{
    // w3wp.exe를 recycle 시킨다.
    // recycle로 새롭게 생성된 프로세스를 attach시키면 되기 때문에 recycle 전에 실행되어 있는 w3wp.exe PID 목록을 반환받는다.
    List<int> currentWorkerProcess = RecycleAppPool();
    if (currentWorkerProcess == null)
    {
        return;
    }

    // currentWorkerProcess 목록을 제외한 w3wp.exe 프로세스를 디버거로 연결한다.
    AttachToW3wp(currentWorkerProcess);
}

recycle 대상이 되는 AppPool은 프로젝트 속성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private List<int> RecycleAppPool()
{
    // 프로젝트 속성에서 recycle 대상이 되는 apppool의 metabase 경로를 구하고,
    string metabasePath = GetProjectItemValue("WebApplication.AspnetCompilerIISMetabasePath");

    if (string.IsNullOrEmpty(metabasePath) == true)
    {
        ShowMessage("Startup project is not a web project type or \"Use Local IIS Web server\" is not checked.");
        return null;
    }

    // 해당 metabase의 apppool을 recycle 시킨다.
    return StartAppPool(metabasePath);
}

string GetProjectItemValue(string propName)
{
    string uniqueName = null;

    try
    {
        // 솔루션에서 Startup 프로젝트로 지정된 프로젝트의 이름을 구하고,
        uniqueName = (string)((object[])(_applicationObject.Solution.SolutionBuild.StartupProjects))[0];
    }
    catch (NullReferenceException)
    {
        return string.Empty;
    }

    // Startup 프로젝트 객체를 반환받은 후,
    Project prj = GetProject(_applicationObject.Solution, uniqueName);
    if (prj == null)
    {
        return string.Empty;
    }

    // IIS Metabase 경로 속성을 구한다.
    foreach (var prop in prj.Properties)
    {
        Property property = prop as Property;
        if (property.Name == propName)
        {
            return property.Value as string;
        }
    }

    return string.Empty;
}

일단, recycle을 시켰으면 이제 새롭게 생성된 w3wp.exe 프로세스에 Visual Studio 디버거를 연결하면 됩니다.

private void AttachToW3wp(List<int> currentWorkerProcess)
{
    // 로컬 PC에 실행된 모든 프로세스를 열람하면서,
    foreach (var proc in _applicationObject.Debugger.LocalProcesses)
    {
        EnvDTE90.Process3 process = proc as EnvDTE90.Process3;
        if (process == null)
        {
            continue;
        }

        // 혹시 recycle 중이지만 아직 살아있는 이전 w3wp.exe가 있다면 넘어가고,
        if (currentWorkerProcess.Contains(process.ProcessID) == true)
        {
            continue;
        }

        // 새롭게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서 w3wp.exe 실행 파일에 대해서만,
        if (process.Name.IndexOf("W3WP.EXE", 0, StringComparison.OrdinalIgnoreCase) != -1)
        {
            bool attached = false;
            try
            {
                // 디버거를 연결한다.
                process.Attach();
                attached = true;
            }
            catch
            {
            }

            if (attached == true)
            {
                // 디버거를 연결 후, 프로젝트의 IIS URL 속성을 가져와서,
                string startupUrl = GetProjectItemValue("WebApplication.IISUrl");
                if (string.IsNullOrEmpty(startupUrl) == false)
                {
                    //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켜 w3wp.exe가 ASP.NET 처리를 시작하게 만든다.
                    RunInternetExplorer(startupUrl);
                }
            }

            break;
        }
    }
}

사실 위의 코드는 상당히 간략화된 유형인데, 좀 더 유연한 동작을 하려면 대상 프로젝트의 .NET Framework 버전에 따라 디버거 엔진을 골라줘야 합니다.

Visual Studio 2013 기준으로 현재 지원되는 Debug Engine의 이름으로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있습니다.

  • Silverlight
  • T-SQL
  • IntelliTrace
  • Native
  • Trace
  • Managed
  • Managed (v3.5, v3.0, v2.0)
  • Workflow
  • Managed/Native
  • Script
  • GPU - Software Emulator
  • Managed (v4.5, v4.0)

그리고, EnvDTE.Project의 Properties 컬렉션에 담긴 속성으로 구할 수 있는 값들은 대략 이렇습니다.

WebApplication.AspNetDebugging: True
WebApplication.AspnetCompilerIISMetabasePath: /LM/W3SVC/10/ROOT/
OutputTypeEx: 2
TargetFrameworkMoniker: .NETFramework,Version=v4.0
ComVisible: False
EnableSecurityDebugging: True
OptionCompare: 0
StartupObject: 
WebApplication.SSLEnabled: False
WebApplication.UseIIS: True
ManifestCertificateThumbprint: 
Trademark: 
Title: WebApplication1
WebApplication.StartExternalUrl: 
WebApplication.IISUrl: http://localhost:8034
AssemblyOriginatorKeyFileType: 1
FileName: WebApplication1.csproj
WebServer: (no eval)
AssemblyOriginatorKeyMode: 0
AssemblyKeyContainerName: 
WebApplication.WindowsAuthenticationEnabled: (no eval)
WebApplication.SecureUrl: 
WebApplication.DevelopmentServerCommandLine: 
WebApplication.SQLDebugging: False
WebApplication.StartPageUrl: 
WebApplication.DefaultServerDirectoryListing: True
WebApplication.DevelopmentServerVPath: /
WebApplication.DevelopmentServerPort: 43746
ProjectType: 0
ReferencePath: 
WebApplication.IsUsingIISExpress: False
PreBuildEvent: 
WebApplication.AnonymousAuthenticationEnabled: (no eval)
WebApplication.SilverlightDebugging: False
WebApplication.StartCmdLineArguments: 
Copyright: Copyright ⓒ  2013
ApplicationIcon: 
WebApplication.CurrentDebugUrl: http://localhost:8034/About.aspx
ExcludedPermissions: 
RunPostBuildEvent: 1
DefaultTargetSchema: 1
RootNamespace: WebApplication1
WebApplication.IsUsingCustomServer: False
ManifestTimestampUrl: 
ManifestKeyFile: 
DebugSecurityZoneURL: 
Product: WebApplication1
PostBuildEvent: 
OptionStrict: 0
DefaultHTMLPageLayout: 1
DelaySign: False
OutputType: 2
WebApplication.StartWorkingDirectory: 
WebApplication.DebugStartAction: 0
NeutralResourcesLanguage: 
OptionExplicit: 1
OutputFileName: WebApplication1.dll
ServerExtensionsVersion: (no eval)
WebApplication.NonSecureUrl: 
WebApplication.ToString: Microsoft.VisualStudio.Web.Application.WAProjectExtender
AssemblyGuid: 7ea9b99e-ec77-460c-afe9-a2857f8e4e8a
GenerateManifests: False
AssemblyVersion: 1.0.0.0
Win32ResourceFile: 
Description: 
URL: file:///d:\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
DefaultClientScript: 0
WebApplication.NativeDebugging: False
TargetFramework: 262144
SignManifests: False
OfflineURL: (no eval)
WebServerVersion: (no eval)
Publish: (no eval)
AssemblyType: 0
FullPath: d:\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
WebAccessMethod: (no eval)
WebApplication.UseIISExpress: False
WebApplication.BrowseURL: http://localhost:8034
WebApplication.NTLMAuthentication: False
WebApplication.OverrideIISAppRootUrl: False
WebApplication.OpenedURL: file:///d:/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
AssemblyKeyProviderName: 
TypeComplianceDiagnostics: False
Company: 
ActiveFileSharePath: (no eval)
AssemblyOriginatorKeyFile: 
WebApplication.StartWebServerOnDebug: True
WebApplication.AutoAssignPort: True
ApplicationManifest: DefaultManifest
AssemblyFileVersion: 1.0.0.0
AspnetVersion: (no eval)
FileSharePath: (no eval)
AssemblyName: WebApplication1
WebApplication.EditAndContinue: True
WebApplication.ServerDirectoryListing: True
LocalPath: d:\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
DefaultNamespace: WebApplication1
LinkRepair: False
WebApplication.StartExternalProgram: 
WebApplication.IISAppRootUrl: 
TargetZone: 
SignAssembly: False

이 중에서 TargetFramework의 값이 262144로 되어 있는 것이 재미있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 해석 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HOWTO: Get the target .NET Framework of a Visual Studio 2008 project from a Visual Studio add-in or macro
; http://www.mztools.com/articles/2008/MZ2008015.aspx

즉, 262144 == 0x40000이므로 .NET 4.0 버전의 Framework인 것입니다.

참고로, 전체 소스코드는 다음의 경로에 공개되어 있으니 원하시는 분은 다운로드해도 됩니다.

AttachToW3WP 
; https://github.com/stjeong/AttachToW3WP

자, 이제 빌드하고 vsix 파일을 시스템에 설치하면 "TOOLS"에 "AttachToW3WP" 메뉴가 생성되고 이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웹브라우저가 실행되면서 global.asax.cs 내부에 BP가 잡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ttach_to_w3wp_2.png

역시 Visual Studio Gallery에 올려져 있기 때문에 Visual Studio 2012/2013 사용자들은 Extension Manager를 이용해 바로 검색해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Visual Studio Gallery - AttachToW3WP
; http://visualstudiogallery.msdn.microsoft.com/14b2a959-446f-406c-bcf0-abe87fc529e7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11-02 09시28분
[Lyn] 와... 멋집니다 저도 이런거 해보고싶네요
[guest]
2013-11-02 10시19분
넵. 지금 당장 하셔서 공개하시면 됩니당. ^^ Lyn 님도 아이디어 많으실 것 같은데요.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40정성태8/25/201435272.NET Framework: 458. 닷넷 GC가 순환 참조를 해제할 수 있을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739정성태8/24/201428900.NET Framework: 457. 교착상태(Dead-lock) 해결 방법 - Lock Leveling [2]파일 다운로드1
1738정성태8/23/201424838.NET Framework: 456. C# - CAS를 이용한 Lock 래퍼 클래스파일 다운로드1
1737정성태8/20/201421746VS.NET IDE: 93. Visual Studio 2013 동기화 문제
1736정성태8/19/201428187VC++: 79. [부연] CAS Lock 알고리즘은 과연 빠른가? [2]파일 다운로드1
1735정성태8/19/201420945.NET Framework: 455.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두 번째 이야기
1734정성태8/13/201422435오류 유형: 237. Windows Media Player cannot access the file. The file might be in use, you might not have access to the computer where the file is stored, or your proxy settings might not be correct.
1733정성태8/13/201428645.NET Framework: 454. EmptyWorkingSet Win32 API를 사용하는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732정성태8/13/201437136Windows: 99.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1731정성태8/11/201429579개발 환경 구성: 235.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명을 탐색기에서 만드는 방법
1730정성태8/11/201424741개발 환경 구성: 234. Royal TS의 터미널(Terminal) 연결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해결 방법
1729정성태8/11/201420618오류 유형: 236. SqlConnection - The requested Performance Counter is not a custom counter, it has to be initialized as ReadOnly.
1728정성태8/8/201433282.NET Framework: 453. C# - 오피스 파워포인트(Powerpoint) 파일을 WinForm에서 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27정성태8/6/201423150오류 유형: 235. SignalR 오류 메시지 - Counter 'Messages Bus Messages Published Total' does not exist in the specified Category. [2]
1726정성태8/6/201421711오류 유형: 234. IIS Express에서 COM+ 사용 시 SecurityException -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발생
1725정성태8/6/201423864오류 유형: 233. Visual Studio 2013 Update3 적용 후 Microsoft.VisualStudio.Web.PageInspector.Runtime 모듈에 대한 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724정성태8/5/201428719.NET Framework: 452.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723정성태7/29/201461352개발 환경 구성: 233. DirectX 9 예제 프로젝트 빌드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22정성태7/25/201423298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1721정성태7/24/201426961.NET Framework: 451. 함수형 프로그래밍 개념 - 리스트 해석(List Comprehension)과 순수 함수 [2]
1720정성태7/23/201424567개발 환경 구성: 232. C:\WINDOWS\system32\LogFiles\HTTPERR 폴더에 로그 파일을 남기지 않는 설정
1719정성태7/22/201428597Math: 13.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Partition Number)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718정성태7/19/201438131Math: 12. HTML에서 수학 관련 기호/수식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 - MathJax.js [4]
1716정성태7/17/201437978개발 환경 구성: 231. PC 용 무료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 genymotion
1715정성태7/13/201432466기타: 47.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 [3]
1714정성태7/11/201422236VS.NET IDE: 92. Visual Studio 2013을 지원하는 IL Support 확장 도구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