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오픈소스로 풀린 하드 디스크 관리 도구 - WindowSMART 원래 shareware였다는데 오픈소스로 풀린 툴입니다. WindowSMART ; https://windowsmart.codeplex.com/ 시스템 내부적인 정보를 구하는 부분만 C++로 만들어져 있고 나머지는 C#으로 되어 있습니다. 설치 파일은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WindowSMART - Download ; https://windowsmart.codeplex.com/releases 설치하고 나면, 라이선스 키를 입력해야 합니다. 무료라서 라이선스 키도 풀렸고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licensing@dojonorthsoftware.net.slab ; https://www.codeplex.com/Download?ProjectName=windowsmart&DownloadId=751350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하드 디스크에 대한 각종 S.M.A.R.T 정보를 보여줍니다. (온도까지!) 문제가 있는 하드를 한번 볼까요? ^^ 본 김에 SSD 하드 정보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위의 SSD는 2012년 12월에 구매했던 것인데 거의 1년이 다 되어 가는군요. 직업적으로 사용했으니 하루 거의 10시간 정도씩 사용했을 텐데 겨우 4% 정도의 생명력만 깎인 셈입니다. 노트북 자체의 생명력을 길게 잡아서 6년 잡는다고 해도 별다른 고장이 없는 한 SSD는 노트북의 수명동안은 넉근히 버텨줄 것으로 보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VS.NET IDE: 82. Visual Studio에서 Attach 메서드를 이용해 디버깅을 시작한 경우 Breakpoint가 안 잡힌다면?[이전 글] 오류 유형: 192.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연관 글] 오류 유형: 202. Hyper-V 서비스 시작 오류 - Not enough storage is available to complete this operation.오류 유형: 258. 이벤트 로그 - Starting a SMART disk polling operation in Automatic mode. [최초 등록일: 11/5/2013] [최종 수정일: 11/5/2013]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61정성태2/26/202017683오류 유형: 597. manifest -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12160정성태2/26/202018183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12159정성태2/26/202015239오류 유형: 596. Visual Studio - The project needs to include ATL support12158정성태2/25/202017798디버깅 기술: 165. C# - Marshal.GetIUnknownForObject/GetIDispatch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112157정성태2/25/202017877디버깅 기술: 164. C# -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및 해결 방법112156정성태2/25/202016432오류 유형: 595. LINK : warning LNK4098: defaultlib 'nafxcw.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12155정성태2/25/202015887오류 유형: 594. Warning NU1701 - This package may not be fully compatible with your project12154정성태2/25/202015244오류 유형: 593. warning LNK4070: /OUT:...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12153정성태2/23/202019367.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112152정성태2/23/202018465.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112151정성태2/22/202019212.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112150정성태2/21/202019472.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112149정성태2/20/202018300.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12148정성태2/19/202020705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12147정성태2/19/202018482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12146정성태2/18/202019252.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112145정성태2/18/202019067.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112144정성태2/13/202019243.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112143정성태2/13/202015890.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112142정성태2/12/202018263.NET Framework: 889. C# 코드로 접근하는 MethodDesc, MethodTable112141정성태2/10/202017265.NET Framework: 888. C# -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 [2]112140정성태2/10/202017753.NET Framework: 887. C#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112139정성태2/9/202019037.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12138정성태2/9/202022995.NET Framework: 88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6]112137정성태2/9/202016309오류 유형: 592. [AhnLab] 경고 - 디버거 실행을 탐지했습니다.12136정성태2/6/202017254Windows: 168.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