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제네릭 covariance/contravariance 사용할 때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아래 문서의 코드를 그대로 복사해서 컴파일했는데,

Using Variance in Interfaces for Generic Collections (C# and Visual Basic)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programming-guide/concepts/covariance-contravariance/using-variance-in-interfaces-for-generic-collections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lication1,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1>d:\...\Program.cs(35,13,35,37): error CS1502: The best overloaded method match for 'ConsoleApplication1.Program.PrintFullName(System.Collections.Generic.IEnumerable<ConsoleApplication1.Person>)' has some invalid arguments

1>d:\...\Program.cs(35,27,35,36): error CS1503: Argument 1: cannot convert from 'System.Collections.Generic.IEnumerable<ConsoleApplication1.Employee>' to 'System.Collections.Generic.IEnumerable<ConsoleApplication1.Person>'
========== Rebuild All: 0 succeeded, 1 failed, 0 skipped ==========


C# 제네릭이 인터페이스/델리게이트에 대해 분명히 공변/반공변을 지원함에도 불구하고 어찌된 일인지 저런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프로젝트 속성 창을 열어 대상 프레임워크가 .NET 3.5 이하로 설정된 것이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 공변/반공변은 C# 4.0부터 지원하므로 .NET 4.0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2정성태11/11/202416065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10701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11947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11794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12679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10128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9594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9268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12855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11107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11806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12097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12776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10031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11827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12672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11209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10750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11366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11215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10131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10049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9951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11442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3788정성태10/26/20248844Linux: 96. eBPF (bpf2go) - fentry, fexit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7정성태10/26/202412124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