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기타: 40. 오피스 2013 라이선스 리셋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550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오피스 2013 라이선스 리셋하는 방법

사실 라이선스 리셋이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단지, 제가 테스트 환경 구성을 많이 하다 보니 MSDN 구독으로 받은 라이선스가 간혹 소진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때 문제가 됩니다.

가령, 오피스 2013을 처음 설치하고 제품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제품키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office_lic_reset_0.png

그런데, 유효 활성화 수를 모두 사용한 정상(?)적인 제품키를 입력했다면 이제 위의 창을 볼 수 없습니다. 대신, 이후로는 다음과 같이 인증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창으로 바로 넘어가고,

office_lic_reset_1.png

이어서, 허용 가능한 인증 수에 도달했다는 다음의 메시지만을 볼 수 있게 됩니다.

office_lic_reset_2.png

물론, "전화로 등록" 옵션을 선택해도 되지만 제 기억으로 정규 업무 시간이 아닌 경우 고객 지원 담당자와 연락이 안됩니다. 어쨌든, 문제는 "소진되지 않은 다른 제품키"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혹시, UI 상으로 제품키 입력 방법을 아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다행히, 검색을 해보니 이미 입력된 라이선스를 리셋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deactivate/reset office desktop license 
; http://community.office365.com/en-us/forums/172/t/159908.aspx

그러나 아쉽게도 위의 방법은 2010까지만 통용됩니다. 2013에는 OSAUI.exe 프로그램 자체가 없기 때문입니다. 좀 더 검색해 보니, 2013에서의 방법은 ospp.vbs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이 나옵니다. ^^

Office Pro Plus 2013 - can't find osaui.exe 
; http://community.office365.com/en-us/forums/172/t/79060.aspx

실제로 한번 해볼까요? ^^ 우선, 관리자 권한의 CMD.EXE를 띄우고 Office15 폴더로 이동합니다.

C:\>cd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5"

그다음, 현재 활성화된 라이선스 정보를 알아냅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5>cscript ospp.vbs /dstatus
Microsoft (R) Windows Script Host Version 5.8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Processing--------------------------
---------------------------------------
SKU ID: 2c686580-9fb1-5b88-cfba-eae7c0da31ad
LICENSE NAME: Office 15, OfficeProPlusR_Grace edition
LICENSE DESCRIPTION: Office 15, RETAIL(Grace) channel
BETA EXPIRATION: 1601-01-01
LICENSE STATUS:  ---OOB_GRACE---
ERROR CODE: 0x4004F00C
ERROR DESCRIPTION: The Software Licensing Service reported that the application is running within the valid grace period.
REMAINING GRACE: 4 days  (7175 minute(s) before expiring)
Last 5 characters of installed product key: 37ACU
---------------------------------------
SKU ID: 45424839-5103-4d3b-9da6-d07df41b6e39
LICENSE NAME: Office 15, OfficeProPlusMSDNR_Retail edition
LICENSE DESCRIPTION: Office 15, RETAIL channel
BETA EXPIRATION: 1601-01-01
LICENSE STATUS:  ---OOB_GRACE---
ERROR CODE: 0x4004F00C
ERROR DESCRIPTION: The Software Licensing Service reported that the application is running within the valid grace period.
REMAINING GRACE: 29 days  (43179 minute(s) before expiring)
Last 5 characters of installed product key: C5T6G
---------------------------------------
---------------------------------------
---Exiting-----------------------------

위의 라이선스 정보를 지우기 위해서는 각 제품의 마지막에 보여지는 5글자의 제품 키가 필요합니다. 이를 다음의 명령어로 각각 수행해 주시면 해당 라이선스 정보가 모두 삭제됩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5>cscript ospp.vbs /unpkey:37ACU
Microsoft (R) Windows Script Host Version 5.8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Processing--------------------------
---------------------------------------
Uninstalling product key for: Office 15, OfficeProPlusR_Grace edition
<Product key uninstall successful>
---------------------------------------
---Exiting-----------------------------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5>cscript ospp.vbs /unpkey:C5T6G
Microsoft (R) Windows Script Host Version 5.8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Processing--------------------------
---------------------------------------
Uninstalling product key for: Office 15, OfficeProPlusMSDNR_Retail edition
<Product key uninstall successful>
---------------------------------------
---Exiting-----------------------------

잘 지워졌는지 /dstatus 옵션으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5>cscript ospp.vbs /dstatus
Microsoft (R) Windows Script Host Version 5.8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Processing--------------------------
---------------------------------------
<No installed product keys detected>
---------------------------------------
---------------------------------------
---Exiting-----------------------------

이제 오피스 2013 제품을 하나라도 실행해 주면 다시 제품키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11-20 02시04분
[elegantcoder] 64비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ospp.vbs 파일이 c:\Program files (x86) 아래에 위치하고 있네요 ^^
[guest]
2014-11-20 12시11분
@elegantcoder 사실 상황은 3가지로, 결과는 2가지로 나뉩니다. ^^

32비트 윈도우에 32비트 Office를 설치한 경우: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5
64비트 윈도우에 32비트 Office를 설치한 경우: C:\Program Files (x86)\Microsoft Office\Office15
64비트 윈도우에 64비트 Office를 설치한 경우: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5

본문의 글은 3번째 경우에 해당합니다.
정성태
2015-07-19 02시35분
[조동욱] 다 하고나서 오피스 2013 들어가니까 오류 2503뜨는데 어떻게 하죠?
[guest]
2017-08-18 01시05분
[jin] 위와 같이 했는데 또 다른 에러코드가 명령창에 떴습니다.
에러코드: 0xC004F025 인데요
이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guest]
2017-08-18 01시15분
검색해 보니까, 0xC004F025 오류 코드는 Access Denied에 해당하는군요. 본문에 보면 제가 "관리자 권한의 CMD.EXE"라고 썼는데요. 아마도 jin 님의 경우에는 cmd.exe를 일반 권한으로 띄운 것 같습니다.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69정성태3/19/201819811오류 유형: 457. error MSB3103: Invalid Resx file.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Windows.Forms, ...' or one of its dependencies.
11468정성태3/19/201818584오류 유형: 456.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0x80131401 예외 발생
11467정성태3/19/201818919오류 유형: 455. Visual Studio Installer - 업데이트 실패
11466정성태3/18/201818833개발 환경 구성: 355. 한 대의 PC에서 2개 이상의 DirectX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1463정성태3/15/201820985.NET Framework: 733. 스레드 간의 read/write 시에도 lock이 필요 없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1462정성태3/14/201825815개발 환경 구성: 354. HTTPS 호출에 대한 TLS 설정 확인하는 방법 [1]
11461정성태3/13/201827465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1]
11460정성태3/13/201819145디버깅 기술: 11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11459정성태3/13/201820751오류 유형: 453. Debug Diagnostic Tool에서 mscordacwks.dll을 찾지 못하는 문제
11458정성태2/21/201821554오류 유형: 452. This share requires the obsolete SMB1 protocol, which is unsafe and could expose your system to attack. [1]
11457정성태2/17/201825364.NET Framework: 732. C# - Task.ContinueWith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1456정성태2/17/201831681.NET Framework: 731. C# - await을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455정성태2/17/201821052오류 유형: 451. ASP.NET Core -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compilation of a resource required to process this request.
11454정성태2/12/201830227기타: 71. 만료된 Office 제품 키를 변경하는 방법
11453정성태1/31/201821938오류 유형: 450. Azure Cloud Services(classic) 배포 시 "Certificate with thumbprint ... doesn't exist." 오류 발생
11452정성태1/31/201827164기타: 70. 재현 가능한 최소한의 예제 프로젝트란? [3]파일 다운로드1
11451정성태1/24/201820670디버깅 기술: 111. windbg - x86 메모리 덤프 분석 시 닷넷 메서드의 호출 인자 값 확인
11450정성태1/24/201837669Windows: 146. PowerShell로 원격 프로세스(EXE, BAT) 실행하는 방법 [1]
11449정성태1/23/201823813오류 유형: 449. 단위 테스트 -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VideoRecorderEngine' or one of its dependencies. [1]
11448정성태1/20/201822184오류 유형: 448.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0619 관련 오류 발생
11447정성태1/20/201823533.NET Framework: 730. dotnet user-secrets 명령어 [2]파일 다운로드1
11446정성태1/20/201823417.NET Framework: 729. windbg로 살펴보는 GC heap의 Segment 구조 [2]파일 다운로드1
11445정성태1/20/201821938.NET Framework: 728. windbg - 눈으로 확인하는 Workstation GC / Server GC
11444정성태1/19/201821323VS.NET IDE: 125. Visual Studio에서 Selenium WebDriver를 이용한 웹 브라우저 단위 테스트 구성파일 다운로드1
11443정성태1/18/201823181VC++: 124. libuv 모듈 살펴 보기
11442정성태1/18/201819834개발 환경 구성: 353. ASP.NET Core 프로젝트의 "Enable unmanaged code debugging" 옵션 켜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