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06.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77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별생각 없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행했더니, step2 이후의 글자가 찍히지 않고 프로그램이 그냥 종료되어버렸습니다.

#include "stdafx.h"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HANDLE m_hFile = CreateFile(L"test.log", FILE_APPEND_DATA, FILE_SHARE_READ | FILE_SHARE_WRITE,
        NULL, OPEN_ALWAYS, FILE_ATTRIBUTE_NORMAL, NULL);

    printf("step1\r\n");
    {
        WORD Unicode = 0xFEFF;
        ::WriteFile(m_hFile, &Unicode, 2, NULL, NULL);
    }
    printf("step2\r\n");

	return 0;
}

이벤트 로그를 보니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남아 있습니다.

Event Type:	Information
Event Source:	DrWatson
Event Category:	None
Event ID:	4097
Date:		2013-11-29
Time:		오전 11:25:47
User:		N/A
Computer:	win2k3x86test
Description:
The application, D:\temp\ConsoleApplication1.exe, generated an application error The error occurred on 11/29/2013 @ 11:25:47.359 The exception generated was c0000005 at address 77E655A6 (kernel32!WriteFile)

Event Type:	Error
Event Source:	Application Error
Event Category:	(100)
Event ID:	1000
Date:		2013-11-29
Time:		오전 11:25:47
User:		N/A
Computer:	win2k3x86test
Description:
Faulting application ConsoleApplication1.exe, version 0.0.0.0, faulting module kernel32.dll, version 5.2.3790.5069, fault address 0x000255a6.

오류는 Windows 2003에서만 발생했고 윈도우 2008 R2에서는 오류 없이 실행되었습니다. 혹시나 해서 4번째 인자의 값을 넣어 보았더나 잘 됩니다. ^^

{
    WORD Unicode = 0xFEFF;
    DWORD dwWritten = 0;
    ::WriteFile(m_hFile, &Unicode, 2, &dwWritten, NULL);
}

MSDN 문서를 보니 명백하게 4번째 인자를 NULL로 주어서는 안 된다고 쓰여 있습니다.

WriteFile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fileapi/nf-fileapi-writefile

lpNumberOfBytesWritten [out, optional]

A pointer to the variable that receives the number of bytes written when using a synchronous hFile parameter. WriteFile sets this value to zero before doing any work or error checking. Use NULL for this parameter if this is an asynchronous operation to avoid potentially erroneous results.

This parameter can be NULL only when the lpOverlapped parameter is not NULL.
For more information, see the Remarks section.


Windows 8 PC에서 개발해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해도 이렇게 플랫폼이 다른 환경으로 가면 은근히 문제되는 경우가 있으니 릴리스는 꼭 환경별 테스트를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테스트 환경 덕분에 릴리스 전에 이 문제를 잡아 해결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3-07 12시24분
We're currently using FILE_FLAG_NO_BUFFERING and FILE_FLAG_WRITE_THROUGH, but we would like our WriteFile to go even faster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40306-00/?p=1583

How do FILE_FLAG_SEQUENTIAL_SCAN and FILE_FLAG_RANDOM_ACCESS affect how the operating system treats my file?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120120-00/?p=8493
정성태
2014-03-07 01시46분
[ryujh] NULL 이 아니라 NULL 포인터를 넘겨라는 뜻인가요?
[guest]
2014-03-07 03시08분
@ryujh 님, NULL을 넘겨서는 안 되고 해당 값을 쓰든 안 쓰든 인스턴스를 넘겨줘야 합니다. ^^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87정성태6/10/200828665VS.NET IDE: 56. C#에서 아쉬운 __DATE__, __TIME__ 매크로 [2]
586정성태6/4/200826290오류 유형: 56. WPF 디자이너 - The string was not recognized as a valid DateTime [2]
585정성태6/4/200834583.NET Framework: 101. WPF - ActiveX 컨트롤 호스팅하는 방법 [2]
582정성태5/16/200826345오류 유형: 55.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580정성태4/24/200825417VC++: 34. 64비트 윈도우즈에서의 이벤트 후킹
579정성태4/24/200825241VC++: 33. 변환 후의 RGS 파일 내용을 얻는 방법
577정성태4/16/200826171.NET Framework: 100.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5]
575정성태4/7/200823336오류 유형: 54. TFS Source Control - 명령을 사용할 수 없음 [2]
574정성태3/31/200821454오류 유형: 53. TFS 연결 오류 - The workspace [...] exists on computer [...]
573정성태3/25/200825486Windows: 31. TS Web Access와 UAC [1]
570정성태3/17/200824639오류 유형: 52. TFS 연결 오류 - TF31001 [2]
569정성태3/16/200825780Team Foundation Server: 24.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2) [2]
566정성태2/28/200826920.NET Framework: 99. AppDomain.GetEntryAssembly()를 우회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564정성태2/16/200826562Windows: 30. TS Web Access + Vista SP1 [2]
563정성태2/16/200825928오류 유형: 51. Vista(UAC) + 웹 프로젝트 디버깅: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562정성태2/12/200830180Windows: 29. Windows Server 2008 설치 [4]
561정성태1/10/200823871오류 유형: 50. IE 7 + 잘못된 HTC 파일 경로 = File not found [5]
559정성태1/1/200828687Windows: 28. Vista에서 끌어다 놓기로 GAC 등록하는 방법 [2]
558정성태1/1/200845873개발 환경 구성: 33. 32bit/64bit OLE DB Provider [1]
557정성태12/22/200724217개발 환경 구성: 32. WSCF와 VS.NET 2008
556정성태12/16/200722295기타: 22.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1000 회 이상
555정성태12/16/200725275기타: 21.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500 ~ 999회 글 목록
554정성태12/16/200729664기타: 20.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250 ~ 499회 글 목록
553정성태12/16/200730043기타: 19.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100 ~ 249회 글 목록
552정성태12/16/200723655기타: 18.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000 ~ 099 회 글 목록
550정성태12/16/200722864Team Foundation Server: 23. TFS 2005에서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2]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